
아이디스 ‘쇼룸’에서는 건물 내외부 모습을 한눈에 볼 수 있다.
무언의 목격자, DVR
“부산 사격장 화재 원인 오리무중”(노컷뉴스 11월16일), “부산 사격장, 화재 원인 `담뱃불` 급부상”(매일경제 11월16일), “부산사격장 화재 원인’분진폭발’?”(연합뉴스 11월19일) 등 화재 원인을 둘러싼 언론 보도도 엇갈렸다. 이 사건에 대한 전말은 ‘무언의 목격자’를 통해 세상에 그 진상이 알려졌다. 사격장에 비치돼 있던 8대의 CCTV를 통해 촬영된 화재 당시 영상이 녹화장치에 고스란히 남아 있었던 것.
부산 사격장에 있던 디지털녹화장치는 아이디스가 10년 전인 1999년 납품한 PC 기반의 초기 제품이었다. 고장 없이 하루 24시간 1년 365일 쉬지 않고 영상기록을 녹화해왔기에 화재 당시 장면을 복원해낼 수 있었던 것. DVR(Digital Video Recorder·CCTV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디지털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에 녹화된 CCTV 영상을 복원해 화재 원인 분석에 활용한 국립과학수사연구소는 이 사건 수사를 종결한 뒤 공로를 인정해 아이디스에 표창장을 수여했다.
“DVR의 내구연한은 보통 4년에서 5년 정도 됩니다. 그런데 10년 동안 이상 없이 작동했다는 소식을 듣고 저희도 깜짝 놀랐습니다. 품질 면에서 확실하게 검증을 받은 셈이라 뿌듯하기도 했습니다만, 가급적 내구연한을 지켜 사용하시라고 권하고 싶습니다.”(아이디스 김영달 사장)
부산 사격장 화재 원인 규명 외에도 아이디스 제품 덕에 범죄 용의자를 검거한 일은 비일비재하다. 대표적인 사건으로 2007년 울산 주유소 ‘폭주족 습격사건’을 들 수 있다. 이 사건의 용의자 10대 폭주족들은 주유소에 설치된 아이디스 DVR에 기록된 영상 분석을 통해 검거됐다. 2006년 10월 국민은행 PB센터 VIP룸 권총강도 사건 역시 아이디스의 고화질 영상기록 덕에 범인을 검거할 수 있었다.
사건, 사고 현장뿐 아니라, 우리가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삶의 현장 곳곳 어디에서든 아이디스 DVR은 우리의 일거수일투족을 기록하고 있다. 국내 시중 은행의 약 80%가 사용하고 있다고 하니, 은행을 방문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아이디스 DVR에 그 모습이 담겼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전 대덕테크노밸리에 자리 잡은 아이디스 건물 3층에는 ‘쇼룸’이 마련돼 있다. 이곳에서는 아이디스 건물 내외부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을 모니터를 통해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과거 보안장비가 단순히 화면으로 상황을 보여주는 수준이었다면, 최근에는 물체의 이동을 감지해서 알려주거나, 새로운 물체가 카메라에 잡힌 뒤 일정 시간이 지나면 경고음을 울리는 등 훨씬 ‘스마트’해졌다고 한다. 신홍인 품질보증팀 부장은 “모니터를 오랫동안 주시하고 있으면, 화면 속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감지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 같은 맹점을 보완하기 위해 영상을 비춰주는 화면의 테두리 색깔이 변하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고 보니 아이디스 건물 외곽 도로변을 비추는 화면에서 택시나 자동차 등 물체가 이동할 때에는 빨간색으로 테두리가 변하고, 아무런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을 때에는 녹색으로 변했다. 아이디스 DVR은 한꺼번에 여러 곳의 상황을 점검해야 하는 공공건물 등에 주로 쓰인다. 국내에서는 인천공항과 강원랜드, 코엑스, 공항터미널 등이 대표적이다.
해외에서 아이디스 DVR은 더 유명하다. 미국 항공우주국 NASA와 유니버설 스튜디오, 뉴욕 지하철, 중국의 푸둥 공항, 호주의 오페라하우스 등 이름만 대면 알 만한 해외 유명 시설에 아이디스 제품이 설치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