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자동차업계에서 ‘글로벌 판매 800만 대’는 선두업체 도약의 상징이다. 일본의 도요타는 2006년 글로벌 판매 800만 대를 기록한 지 2년 만에 제너럴모터스(GM)를 제치고 세계 1위에 등극했다. 폴크스바겐은 2011년 800만 대 달성을 즈음해 ‘2018년 세계 1위’를 공언했다. 현재 두 회사는 글로벌 판매 1000만 대를 기록하며 업계 1위를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GM, 르노닛산, 현대기아차가 그 뒤를 바짝 쫓고 있다.
현대기아차도 지난해 마침내 글로벌 판매량 800만 대를 돌파했다. 1986년 미국에 엑셀을 처음으로 수출한 이후 30년이 채 안 된 시점에 거둔 성과로 글로벌 자동차업계에서 보기 드문 고속질주였다. 이와 관련,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은 지난해 12월 15일 “만족하기엔 갈 길이 멀다. 800만 대는 새로운 시작이며 출발점”이라며 의미를 부여했다.
고(故) 정주영 전 현대그룹 명예회장은 1968년 경부고속도로 건설을 앞두고 자동차 수요가 증가할 것을 예상하고 자동차산업에 뛰어들었다. 1974년에는 포니를 시작으로 기술 독립을 선언했고, 88서울올림픽 이후 ‘마이카 시대’에 부응하며 쾌속 질주를 계속했다. 아들 정몽구 회장은 1998년 기아차 인수에 성공한 뒤 미국, 유럽, 중국, 인도 등지에서 현지 생산에 나서며 본격적으로 몸집을 불려갔다. 2000년 글로벌 판매 248만 대에 불과하던 현대기아차가 15년 뒤 800만 대를 뛰어넘는 성과를 내는 데 밑거름이 되었다.

2011년 미국 디트로이트 모터쇼에서 ‘신 브랜드 경영’을 선포하는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
정주영 전 명예회장이 한국 자동차업계의 초석을 놓았다면 정몽구 회장은 현대차를 글로벌 기업으로 키워냈다. 이제 시선은 정 회장의 아들 정의선(45) 현대차 부회장에게 쏠린다.
현대기아차가 세계 판매 800만 대를 성취한 데는 정 부회장의 숨은 공로도 컸다. 아버지를 적절한 거리에서 보좌하고 임직원들과의 커뮤니케이션 통로를 자임하며 적잖은 기여를 했다. 아버지가 몸집을 불린 현대기아차를 군더더기 없이 세련된 몸매로 가꾸는 ‘질적 성장’도 그의 업적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정 부회장은 고려대 경영학과와 미국 샌프란시스코대 경영학과(MBA)를 졸업한 뒤 일본 이토추(伊藤忠)상사 뉴욕지사에서 근무했다. 1999년 현대차 자재본부 이사로 입사하면서 3세 경영의 맥을 잇는다. 자재본부는 자동차 제조에 필요한 부품을 조달하고 협력업체를 관리하는 부서. 자동차회사의 기초가 되는 부품과 원자재를 관리하며 경영의 기초를 배우는 건 현대가(家)의 오랜 전통이다. 이후 그는 2002년 현대차 국내영업본부 부사장, 2003년 기아차 기획실장 부사장을 거쳐, 2005년 기아차 대표로 승진했다. 처음으로 경영 능력을 입증해야 할 때가 온 것이다. 업계와 언론은 물론 일반인도 커다란 관심을 보였다.
1998년 부도 이후 현대차에 인수된 기아차는 인수 이듬해 흑자로 돌아섰지만, 국내 레저용 차량(RV ) 시장의 위축과 환율 하락 악재 속에 다시 적자로 돌아선 상황이었다. 특단의 조치가 필요했다. 정 부회장은 장고(長考) 끝에 ‘디자인 경영’ 카드를 꺼냈다. 기술이 평준화한 상황에서 성능이 비슷하다면 디자인을 차별화해야 한다고 판단한 것. 국내외 전문가들을 만나 의견을 나누고, 여러 해외 모터쇼를 둘러보며 오랜 기간 고민해 내린 결론이었다.

2월 24일 청와대에서 열린 ‘문화체육 활성화를 위한 기업인 오찬’. 왼쪽부터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구본무 LG그룹 회장, 박근혜 대통령, 박용현 두산연강재단 이사장, 정의선 현대차 부회장, 손경식 CJ그룹 회장, 박영주 이건산업 회장,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