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3년 연속 ‘DJSI 월드’ 선정

GS건설 다양한 사회공헌활동

3년 연속 ‘DJSI 월드’ 선정

1/2
3년 연속 ‘DJSI 월드’ 선정
최근 경영의 화두는 지속가능경영이다.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 지수 월드’(Dow Jones Sustainability Indexes World, 이하 DJSI 월드)는 미국의 다우존스 인덱스와 스위스의 지속가능경영 평가기관 SAM이 공동으로 전 세계 상위 2500개 기업의 재무성과와 경제성, 환경성, 사회성 등을 평가해 글로벌 표준기업을 선정하는 것으로,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가장 객관적인 지표로 꼽힌다. 동시에 ‘따뜻한 기업’이나 ‘착한 기업’의 객관적 척도로 주목받고 있다.

GS건설이 3년 연속 DJSI 월드에 선정됐다. 2010년, 2011년에 이어 2012년에도 DJSI 월드에 편입된 것. 2012년에는 340개 기업이 DJSI 월드에 선정됐는데, 이 가운데 건설회사는 GS건설을 비롯해 6곳에 불과하다.

DJSI 월드에 선정된 것만으로도 쾌거인데, 희소식이 하나 더 있다. GS건설이 건설 및 자재 분야에서 2012년 ‘DJSI 수퍼섹터 리더 기업’으로 선정된 것이다. DJSI 수퍼섹터 리더 기업이란 DJSI 월드에 포함된 기업을 19개 분야로 나누어 평가한 결과 분야별로 최고 점수를 획득한 기업을 의미한다.

GS건설 측은 “지속가능경영은 기업의 생존과 직결되는 것”이라며 “향후 지속가능경영 활동을 더욱 활발하게 추진해 글로벌 톱티어(Top tier) 건설사의 위상에 걸맞은 책임을 다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꿈과 희망의 공부방’



GS건설의 지속가능경영 활동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적극 실천하고 있는 점이다. 우선 건설회사의 특성을 살려 저소득계층의 주거환경을 개선해주는 집수리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안전행정부와 연계해 ‘희망의 집수리 사업’을 체결, 홀몸 어르신 가구 집수리 활동 등을 활발하게 벌이고 있다.

또한 GS건설 본사가 위치한 지역인 서울 중구청과 자매결연을 하고 회사 주변의 홀몸 어르신들에게 매월 생활보조금을 지원한다. 더불어 임직원들이 직접 홀몸 어르신을 방문해 안부를 묻고 생활 실태를 확인하는 봉사활동도 전개하고 있다.

GS건설 현장이 있는 지방자치단체와 연계해 봉사활동을 펼치기도 한다. 예를 들어 2007년 유류 유출사고가 났던 충남 태안이나 여름철 태풍 등의 자연재해를 입은 지역처럼 도움의 손길이 절실한 곳에 ‘찾아가는 봉사활동’을 벌이는 것.

저소득층 가정을 위한 김장김치 나눔 행사도 GS건설의 대표적인 사회공헌활동이다. 직원과 직원 가족들이 김치를 담가 저소득층 가정에 전달하는 이 행사는 2011년부터 김장철인 겨울은 물론 여름에도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경기도 광주 한사랑마을에서 진행된 김장김치 나눔 행사에는 GS건설 가족 147명이 참여했다. 오전에는 김치를 담그고, 오후에는 한사랑마을 장애우들을 대상으로 생활보조 봉사활동을 펼쳤다. 자녀들과 함께 이 행사에 참여하는 직원의 비율이 점점 늘고 있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지난해에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사회공헌활동을 정착시키기 위해 사회복지, 교육문화, 환경안전 등의 3개 부문을 핵심으로 활동 영역을 재편했다. 이 중 가장 중점을 두는 사업은 ‘꿈과 희망의 공부방’ 지원 사업이다.

어린이재단과 함께 진행하는 ‘꿈과 희망의 공부방’ 지원 사업을 통해 GS건설은 매년 40명의 청소년을 선정해 공부방을 꾸며주고 있다. 2011년 5월 꿈과 희망의 공부방 1호점을 시작으로 지난 6월 말 100호점을 설립했다. 공부방이 완성된 이후에는 직원들이 직접 개별 멘토로 나서 수혜 아동들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주고 있다.

3년 연속 ‘DJSI 월드’ 선정

어린이재단과 함께 매년 40명의 어린이에게 공부방을 만들어주고 있다.



1/2
백경선│자유기고가 sudaqueen@hanmail.net
목록 닫기

3년 연속 ‘DJSI 월드’ 선정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