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가장 안전한 먹거리 내가 직접 키워요”

‘도시농부’들이 떴다!

“가장 안전한 먹거리 내가 직접 키워요”

1/4
  • 먹거리에 대한 불신이 팽배한 요즘, 텃밭이나 옥상에서 자기 먹을 식재료를 직접 생산하는 도시농부가 늘고 있다.
  • 도시에서 농사를 지어 소비자와 나누는 자생적 시장까지 생겨났다.
  • ‘나’뿐 아니라 ‘우리’를 살리고, 도시에서 자취를 감춘 이웃 공동체를 되살리는 도시농부 운동을 취재했다.
“가장 안전한 먹거리 내가 직접 키워요”

상암 두레텃밭에서 일하는 도시 농부들.

“파주에서 재배한 콩과 간수만으로 만든 두부 드셔 보세요. 첨가물을 넣지 않고 전통 방식으로 만든 두부입니다.”

“암사동에서 직접 키운 육종마늘과 고추로 만든 고추장, 그리고 콩부터 메주까지 제대로 만든 된장…, 저희 엄마가 만드셨어요. 한번 맛보세요.”

일요일인 6월 9일. 서울은 기온이 33도까지 올라갔다. 햇빛을 가리기 위해 쳐놓은 천막 아래 앉아 있던 상인이 “머리 위에 히터를 틀어놓은 게 아니냐”고 할 만큼 더운 날씨였다. 그런데도 서울 종로구 혜화동 아르코미술관 앞은 왁자지껄했다. 날씨 때문에 평소보다 적은 편이라고는 하지만 꽤 많은 사람이 ‘마르쉐@혜화’를 찾았다. 이 더운 날, 이들은 왜 이곳에 모였을까.

지난해 10월 처음 문을 연 마르쉐@혜화는 농부와 요리사, 수공예 작가들이 직접 재배한 농작물과 직접 만든 음식, 수공예품을 들고 나와 소비자를 만나는 장터다. 장터라는 뜻의 프랑스어 ‘마르쉐(Marche)’에 장소 앞에 붙는 전치사 ‘at(@)’을 더해, 어디에서든 장터를 열 수 있다. 지금은 혜화동에서 열고 있기 때문에 ‘@혜화’이지만 다른 지역에서 열린다면 그 지역 이름을 붙이면 된다. 마르쉐@서초가 지난 4월에, 마르쉐@서울광장이 6월에 열렸고, 곧 마르쉐@연남동도 열릴 예정이다.

마르쉐@혜화에서는 서울과 수도권 지역의 도시농부들이 직접 기른 계절 채소, 유정란, 각종 곡식과 충남 홍성, 경북 문경 등으로 귀농한 농부들이 정성들여 길러온 곡식, 과일을 만날 수 있다. 또한 텃밭채소로 만든 비빔밥, 국수, 음료를 현장에서 맛볼 수 있다.



그러나 마르쉐에서 판매하는 것은 그저 물건들만이 아니다. 마르쉐를 운영하는 마르쉐친구들의 송성희 씨는 이곳을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접 만나 이야기를 나누는 곳”이라고 소개했다.

‘판매’보다는 ‘공유’의 장터

“내가 어떻게 만들고 경작했는지에 대해 생산자와 소비자가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면 유기농 인증, 무농약·저농약 인증 마크보다 더 믿을 수 있는 먹거리가 될 것입니다. 마르쉐는 이런 이야기가 오고가는 장터라 할 수 있습니다.”

그는 또 “산업사회가 되면서 먹거리가 공산품처럼 돼버렸는데, 공산품을 구매하는 방식이 아니라 누군가가 공들여서 정성을 다해 키워낸 것을 관계 안에서 나누고, 진정한 의미의 교환과 나눔으로 살려보고 싶었다”며 마르쉐를 연 취지를 설명했다. 그의 말처럼 마르쉐는 대형마트나 백화점, 시장과 비교해 소박한 규모였지만 정직하게 기른 채소와 정성들여 만든 음식이 판매가 아니라 ‘공유’되고 있었다.

마르쉐@혜화를 구경하다 낯선 음식이 눈에 띄었다. 재료는 배추와 무이지만 그것으로 만든 음식은 처음 보는 것이었다. ‘유자매의 몽시락’을 판매하는 유미영 씨는 “우리는 고춧가루가 들어간 김치를 주로 먹는데 그전에는 초나 간장으로 김치를 담가 먹었다. 이건 초기의 김치를 재현한 것”이라며 자신이 만든 김치에 대해 설명했다. 자신이 먹을 음식을 스스로 만들어 먹자는 취지를 담아 ‘꿈의 도시락’이란 뜻의 이름을 지었다는 유자매의 몽시락은 홍대텃밭다리에서 도시농부들이 키워낸 채소를 활용해 만들었다.

1/4
글·사진 임은선 │자유기고가 eunsun.imk@gmail.com
목록 닫기

“가장 안전한 먹거리 내가 직접 키워요”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