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하튼 미국은 적어도 군사력에서 세계 유일의 초강대국임을 다시 한 번 과시했다. 고대 로마제국이나 동아시아의 한(漢)제국을 훨씬 뛰어넘는 지배력이다. 이 ‘현대의 제국’은 앞으로도 지배력을 유지할 수 있을까. 전쟁이 끝난 지금 던져볼 필요가 있는 의미심장한 질문이다.
세계적인 경제지 ‘이코노미스트’의 편집장 빌 에모트는 ‘20:21 비전: 도전받는 평화, 의심받는 자본주의’(더난출판사)에서 그럴 것이라고 예상한다. 그는 전세계적으로 불고 있는 반미 정서가 역설적으로 미국의 힘을 그대로 보여준다고 말한다.
바깥 세상 없는 미국은 불가능
그에 따르면 제국으로서의 미국은 무력으로 다른 나라를 점령하기보다 상대적으로 유연하고 자비로운 방식으로 지배력을 행사한다. 그런 방식의 지배가 20세기에 전세계적으로 자본주의와 민주주의의 확산을 가져왔으며, 21세기에도 세계가 안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려면 미국 같은 지배적인 국가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곁들인다. 책 제목에 나오는 ‘20:21’이란 숫자의 의미가 바로 여기에 있다.
저자는 미국식 자본주의에 대해서도 긍정적이다. 미국의 자본주의체제는 유럽과 달리 청산이나 해고 같은 창조적 파괴에 익숙하기 때문에 지금까지 성공적으로 살아남았고, 앞으로도 살아남을 것이라는 게 그의 예측이다. 유럽이 복지국가와 사회민주주의 이념에 붙들려 부담을 느낄 때 미국은 언제라도 한결 가볍게 앞서 나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 그가 결론적으로 어떤 충고를 할 것인지 짐작하긴 어렵지 않다. 미국 이외의 나라들은 미국이 주도하는 세계질서와 자본주의체제에 성공적으로 적응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에모트의 시각은 다분히 현실주의자의 그것이다.
에모트의 논지가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혹시 제국이 쇠퇴할 가능성은 없을까? 이런 궁금증이 든다면 프랑스 국립인구연구소 자료국장으로 역사학자인 에마뉘엘 토드의 ‘제국의 몰락: 미국 체제의 해체와 세계의 재편’(까치)을 읽어보자. 토드는 미국은 보호자가 아니라 약탈자에 불과하며, 결코 완전한 제국으로 나아가지 못할 것이고, 심지어 세계 유일의 초강대국에서 여러 강대국들 사이의 하나로 쇠퇴할 것이라 주장한다.
그는 우선 ‘세계의 인구와 경제가 유라시아에 집중, 통합돼 가는 반면 미국은 신대륙 한편에 고립돼 있다’는 브레진스키의 지적, ‘제국이 외교적·군사적 힘을 사방에 펼쳐놓은상태는 상대적으로 경제력이 쇠퇴할 때 나타나는 고전적 현상’이라는 폴 케네디의 지적을 인용한다. 브레진스키나 폴 케네디는 미국의 대표적인 주류 지식인에 속한다. 주류의 목소리를 빌려 ‘외곽을 때리는’ 토드의 솜씨가 사뭇 절묘하다.
경제적으로 볼 때 1945년 미국의 총생산은 전세계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하지만 1990년대에 세계 경제의 미국 의존도는 크게 낮아졌다. 지난 10년간 미국의 무역적자는 1000억달러에서 4500억달러로 늘었고, 이 차액은 외국자본의 유입으로 메워졌다. 이는 무엇을 뜻하는가. 미국 없는 미국 바깥 세상은 가능해도, 바깥 세상 없는 미국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요컨대 미국인들은 미국 바깥 세계 없이는 현 생활수준을 유지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