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세계 디자인 무대 돌풍 주역, 카이스트 배상민 교수

“I DESIGN, therefore I AM”

  • 백경선 자유기고가 sudaqueen@hanmail.net

세계 디자인 무대 돌풍 주역, 카이스트 배상민 교수

1/4
  • 국제 공모전 7회 수상
  • 단순 디자인 아닌 아이디어 상품 개발
  • 10년 동안 하루 3시간 이상 자본 적 없어
  • 디자인의 매력은 ‘나눔’
  • “한국의 ‘디자인 철학’ 만들고 싶다”
세계 디자인 무대 돌풍 주역, 카이스트 배상민 교수

세계적 권위의 디자인 공모전인 독일 ‘레드닷(Red Dot)’에서 대상을 차지한‘롤리-폴리 화분’.

“IDESIGN therefore I AM.”

디자인을 하면서 자신의 존재감을 확인한다는 이가 있다. 바로 카이스트(KAIST) 산업디자인학과 배상민(裵相旻·36) 교수다. 그가 이끄는 팀이 세계적 권위의 디자인 공모전인 독일 ‘레드닷(Red Dot)’에서 대상과 최우수상을 휩쓸었다.

독일 ‘IF’, 미국 ‘IDEA’와 함께 세계 3대 디자인 공모전으로 꼽히는 레드닷은 제품 디자인·커뮤니케이션 디자인·콘셉트 디자인 3개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한다. 2007년엔 전세계 47개국에서 6000여 점의 작품이 출품돼 각축을 벌인 결과 106개 작품이 베스트로 선정됐고, 각 부문에서 1점씩 3개의 작품이 ‘Best of the best award(대상)’로 선정됐다. 배상민 교수팀은 콘셉트 부문에서 식물에 물을 주는 시기를 알려주는 ‘롤리-폴리 화분’으로 대상을, 옷의 재질이나 빨래 방법 등을 담은 ‘클로스태그(cloth TAG)’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싱가포르에서 열린 시상식에 참석하고 막 돌아온 그를 카이스트 연구실에서 만났다.

“11월30일 싱가포르에서 시상식이 열렸어요. 제품과 커뮤니케이션 부문은 독일에서, 콘셉트 부문은 싱가포르에서 시상식이 열려요. 싱가포르 레드닷 디자인 박물관에 수상작들을 전시하고요.”



수상 소감을 묻자 그는 “제품 디자인은 협업”이라면서 자신이 혼자 일군 성과가 아님을 강조했다. 그리고 열심히 참여해준 ‘ID+IM’ 디자인 연구실 연구원들에게 고마움을 전했다. 그의 디자인연구실 이름이자 브랜드 이름인 ‘ID+IM’은 ‘I DESIGN, therefore I AM’의 약자다. 이 외에도 ‘ID’는 ‘Innovative Design(혁신적인 디자인)’, ‘Instinctive Design(직감적인 디자인’, ‘Interactive Design(상호적인 디자인)’을 상징하기도 한다. 그리고 ‘IM’은 디자인을 하는 그 자신, 즉 주체를 의미한다. 제품에 작가의 철학을 담아야 한다는 그의 생각을 반영한 것이다.

“한국에서는 디자인 철학을 찾아보기 어려워요. 철학이 없으면 디자인을 한 주체는 사라지고 제품만 남죠. 작가정신이 깃든 디자인, 철학이 담긴 디자인을 만드는 데 우리 ‘ID+IM’이 앞장서고자 하는 마음을 담았습니다.”

“평생 받을 상 2년 동안 다 받아”

2006년에는 대만국제디자인공모전에서 금상과 장려상을 받기도 했다. 출품한 작품 3개 모두 수상하는 기록을 세웠다. 2007년 역시 대만디자인공모전에서 ‘와인텔러’라는 작품으로 장려상을 받았으며, 런던디자인공모전에서도 수상한 경력이 있다.

“2005년 9월에 카이스트로 온 이후 2년 동안 상을 7개나 받았어요. 흔치 않은 일이죠. 아마 평생 받을 상을 지난 2년 동안 다 받은 것 같아요. 겸손한 마음으로 더욱 열심히 해야죠.”

‘레드닷’에서 대상을 수상한 롤리-폴리 화분은 밑바닥이 오뚝이 아랫부분처럼 반원형으로 생겼다. 식물이 필요로 하는 물의 양을 설정하고 물을 주면 화분 내부의 무거운 부분과 물탱크 부분의 무게가 균형을 이뤄 처음에는 똑바로 서 있다. 그러다 시간이 흘러 화분에 물이 줄어들면 물탱크 부분의 무게가 가벼워지면서 무게의 균형이 흐트러지고 화분이 기울게 된다. 식물을 키우는 사람은 그 화분의 기울기를 보고 물을 줘야 할 때를 판단할 수 있다. 이 작품에 대해 그는 “꽃을 의인화한 것”이라고 설명한다. 롤리-폴리 화분의 꽃도 사람처럼 목이 마르면 쓰러지고, 물을 마시면 다시 일어나기 때문이다.

1/4
백경선 자유기고가 sudaqueen@hanmail.net
목록 닫기

세계 디자인 무대 돌풍 주역, 카이스트 배상민 교수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