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선 이후 범여권 진로의 열쇠를 쥐고 있는 정동영 후보. 2008년 1월 전당대회에서 대리인을 내세워 당권을 장악한 뒤 복귀할 가능성이 있다.
비록 대선에서는 패했지만, 4개월여 뒤에 18대 총선이라는 또 한 번의 승부를 앞두고 있다는 점에서 범여권은 곧바로 체제 정비를 통해 총선 준비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신당의 한 초선의원은 “대선이 정치의 알파이자 오메가는 아니다”라며 “대선은 패했지만, 18대 총선이라는 또 한 번의 승부가 남아 있다. 남은 기간 전열을 정비해 총선에서 어떤 성적을 거두느냐가 다음 대선에서 정권을 되찾을 수 있는지를 가늠하는 바로미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와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 민주당 이인제 후보 등 범여권 후보로 분류돼온 세 사람은 대선 기간 내내 끊임없이 단일화 요구를 받아왔다. 그럼에도 단일화가 끝내 불발된 데는 지지율 격차가 워낙 커 단일화 효과로 대선 판세를 뒤집기 어려웠다는 점이 일차적 요인으로 꼽힌다. 후발주자이던 문국현 후보나 이인제 후보의 경우 자칫 아까운 후보 자리만 내주고 대선 패배라는 멍에를 함께 져야 하는 상황을 피하려 했다는 것.
특히 혈혈단신으로 창조한국당을 창당한 문국현 후보는 대선 완주를 통해 ‘가능성’을 확인한 뒤 대선 이후 범여권 분화를 염두에 두고 세(勢) 확대를 꾀하고 있다는 평가가 많았다. 정치컨설팅업체 폴컴의 윤경주 대표는 “문국현 후보의 대선 완주는 내년 총선을 위한 포석의 의미가 강하다”며 “민주개혁세력의 대선 패배에 대한 정치적 책임을 지지 않음으로써 18대 총선에서 자생력을 확보하려는 것 같다”고 말했다. 비록 대선은 끝났지만, 범여권의 이전투구는 계속될 듯싶다. 총선 주도권을 잡기 위한 경쟁에 곧바로 돌입할 것이기 때문이다.
“신당은 아직 건설 중”
대선에서 패배한 대통합민주신당은 곧바로 전당대회 준비에 착수, 대선 패배 후유증을 최소화하고 전당대회를 통해 당의 면모를 새롭게 할 것으로 보인다. 2007년 8월5일 창당된 신당은 대통령 선거일을 불과 4개월여 앞두고 급조돼 아직 정당의 완전한 형태를 갖췄다고 보기 어려운 게 사실이다. 그래서 당의 정체성도 제대로 확립되지 못했을 뿐 아니라, 일반 국민 속에 모세혈관처럼 뻗어 있어야 할 당의 하부조직도 취약한 상태다.
신당의 한 재선의원은 “신당은 창당 이후 지난 4개월 동안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국민경선을 치르고, 이후 선대위 체제로 전환돼 대통령선거를 치른 것 외에 정당으로서 면모를 갖출 시간적 여유가 거의 없었다”고 했다. 이 때문에 대선 이후 불과 4개월여 만에 또다시 전국 단위의 총선을 치러야 하는 신당은 1월말 전당대회(이하 전대)를 통해 새 지도부를 선출하고 이를 계기로 당의 하부조직을 튼튼하게 건설해야 할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
신당의 한 중진의원도 “당은 아직 건설 중에 있다”며 “대선을 치르는 동안 당이 제 모습을 갖추지 못한 한계로 적지 않은 어려움을 겪었다”고 말했다. 16개 시도당은 물론 전국 243개 지역위원회 등도 촘촘히 꾸려지지 못한 상황에서 대선을 치르다 보니 선거를 치러내는 데 한계가 적지 않았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