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아버지께서 한국방정환재단에 재산을 기증하시며 나는 재단과 인연을 맺게 되었다. 그때만 해도 아버지의 재산이니 당신의 뜻을 존중해드리면 된다고 생각했고, 이사를 맡아서 살펴볼 뿐이었다. 당신께서 앞으로 너희도 혹시 재산이 만들어지면, 함께하면 좋겠다고 하셨을 때도 그저 좋은 일이니 그리 할까 하는 정도였다. 그러다가 2008년 이사장의 책임을 맡게 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재단 일에 참여하게 되었다.
알면 참으로 사랑하게 되고, 사랑하면 참이 보인다
여러 가지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가장 중요한 사업은 소파 선생의 호를 딴 ‘작은(小)물결(波)문고’ 보급 사업이다. 이는 저소득층 어린이들을 방과 후에 보살피는 지역아동센터에 문고를 설치하고 도서를 보급하는 사업이다. 그리고 2009년부터 시작한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조사 연구다. 이 지수는 우리 재단이 후원, 연세대 사회발전연구소가 기획연구, 현대리서치에서 조사해 매년 발표하고 있다. 4년 연속 우리나라 어린이·청소년의 주관적 행복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낮게 나타나고 있다는 현실이 가슴 아프지만, 문제를 깨달으면 꼭 해결해낸 현대사에서 보여준 우리 사회의 저력을 믿어본다. 언젠가 이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조사가 필요 없어질 때를 기다리면서.
때때로 소파 선생님 연구에 필요하다며 소장하고 있는 자료가 있느냐는 문의가 오곤 한다.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누구나 동요나 글, 어린이날의 들뜬 기분 등을 통해 소파 선생에 관한 기억 몇 가지를 담아두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분을 제대로 알고, 또 그 시대에 어떤 고민을 안고, 어떻게 어린이운동을 하셨는지에 대해선 잘 알지 못한다. 그래서 2010년에 근대사-천도교운동 전공자인 정용석 박사를 소개받아 일단 소파 선생 관련 자료를 모으기 시작했다.
“알면 참으로 사랑하게 되고, 사랑하면 참이 보이고, 볼 줄 알게 되면 모으게 되니 그것은 한갓 모으기만 하는 것이 아니다(知卽爲眞愛 愛卽爲眞看 看卽畜之而非徒畜也).”-유한준의 김광국 화첩 발문 중에서.
바로 이런 일이 내게도, 재단에도 일어났다. 일단 모았더니, 질문이 더 많아지기 시작한 것이다. 우선 근대어는 현대어와 참으로 많이 다르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래서 제대로 읽기도 어렵고, 뜻을 명확히 이해하기도 어려웠다. 그 당시 상황을 이해하지 않고서는 왜 그리 많은 필명, 예명이 있는지, 또 소파 선생이 왜 ‘어린이’라는 잡지를 출판했는지, 이 잡지가 얼마나 널리 읽혔는지 연쇄적인 궁금증이 일었다. 그 미디어를 통해 우리 아동문학계, 나아가 사회운동의 일환으로서 아동운동에 대한 맥락을 모르고서는 문자 해석도 어려운 지경이었다.
그래서 지난해부터 다시 국문학자 한 분과 역사학자 두 분에게 소파 선생 연구를 의뢰하게 되었고 최근 그 첫 번째 결과물이 나왔다. 1편은‘새로 찾은 방정환 자료, 풀어야 할 과제들’, 2편은 ‘방정환과 어린이 지(誌) 주요 집필진의 투고 동향’, 3편은 ‘소년들, 조선을 보다-1920년대 어린이 지 독자 공동체의 형성과 변화’에 관한 것이다. 연구 작업을 지켜보면서 ‘어린이’지에 예명과 필명이 많이 쓰인 이유를 유추할 수 있었다. 저작권 문제가 민감한 지금으로선 가당치 않은 일이지만 1920년대에는 지식인도 적었고, 경제적으로도 매우 척박해서 다양한 필명과 예명을 동원해 필진을 채울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 때문에 아직도 소파 선생의 작품인지가 명확지 않은 글들, 또 소파 선생의 글인데 다른 사람의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경우가 많다. 하여 소파 선생의 업적과 활동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천도교의 영향, 소년운동사, 색동회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 일본 아동문학이나 잡지와의 비교 분석 등을 새로운 과제로 삼기로 했다.
또한‘어린이’지의 주요 필진 연구를 통해서는 소년운동 지도자, 출판기획자, 기자, 문학가, 교육자, 동화구연가 등 다양한 영역에서 다재다능함을 넘어 최초의 문화콘텐츠 개발자이자 기획자로서 활동하며 한국 근대 문화 전반에 기여한 방정환을 재조명할 필요성을 느꼈다. 그 당시 어린이와 청소년에겐 요즘 아이돌 스타와 같은 존재가 소파 선생이었다고 한다. 소파 선생이 구연동화를 하러 전국 방방곡곡을 돌아다닐 때마다 그를 만나고 싶어 하는 어린 친구들이 몰려들어 열렬히 환호했다고 한다.

아동잡지 `어린이`의 표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