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호영 기자
자식을 군대에 보낸 부모들의 불안감은 커질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군에서 수류탄 투척훈련을 안 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훈련 없이 강군(强軍)을 키울 수는 없다.
그런데 인터넷에서 눈길을 끄는 동영상을 봤다. 한 병사가 수류탄의 안전핀을 제거한 채 던지지 않고 손에 쥐고 있었다. 몇 초 후 수류탄이 ‘펑’ 하고 터졌다. 파편이 흩어지고 화약 먼지가 가득했지만, 병사는 손은 물론 어디 한 곳 다친 데 없이 멀쩡했다. 군에서 사용하는 연습용 수류탄이라고 했다. 저런 제품으로 훈련하면 병사들이 소중한 생명을 잃거나 부상하는 안타까운 일은 없겠다 싶었다.
연습용 수류탄에 대한 궁금증이 일었다. 수소문 끝에 이 연습용 수류탄을 개발한 오세홍(58) 한국씨앤오테크 대표를 만났다. 경북 문경에 본사를 둔 한국씨앤오테크는 군과 경찰의 전력 향상에 필요한 연습용 기자재와 각종 필요장비를 만들어 납품하는 회사다. 최근 제2공장을 완공하고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먹어도 되는 친환경 제품”
▼ 동영상에 나오는 연습용 수류탄이 신기하다.
“우리 군에서 사용하는 실제 수류탄과 모양과 무게가 똑같다. 안전핀을 제거하고 던지면 폭음과 섬광, 파편이 튀는 것까지 똑같다. 하지만 손에 쥔 채 터뜨려도 다치지 않는 안전한 수류탄이다.”
▼ 무슨 재질로 만들었나.
“수류탄 몸통은 흙과 석분(돌가루)으로, 사람이 먹어도 안전하다. 석분은 병원에서 위 조영검사를 할 때 먹는 하얀 액체와 같은 성분이다. 뇌관은 옥수수 성분으로 만든 플라스틱이다. 폭발 후 3개월 안에 모두 생분해돼 자연으로 돌아가니 환경오염 우려도 전혀 없다. 성능도 자신 있다. 우천시는 물론 영하 30℃, 영상 50℃에서 24시간 노출해도 정상 작동한다.”
▼ 어떻게 개발하게 됐나.
“군납을 하면서 친분을 쌓은 작전장교들이 종종 연습용 수류탄에 대한 고민을 토로했다. 당시 연습용 수류탄은 쇠로 만든 제품으로 사용하기 불편했다. 한번 던지고 나면 몸통을 회수해야 하기에 훈련이 제대로 안 됐다. 연습 도중 손가락 골절이나 절단 같은 사고도 나곤 했다. 군 훈련 규정에도 연습용 수류탄으로 충분히 연습해 자신감을 가진 후 실제 수류탄을 던지게 돼 있지만, 사정이 이렇다 보니 곧장 실제 수류탄으로 훈련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니 늘 사고에 대한 불안감이 컸다. 그 얘기를 듣고 2001년부터 개발을 시작했다.”
세계 곳곳 수출
한국형 수류탄의 모양과 무게에 맞춰 흙, 나무, 종이, 시멘트, 고무 등 갖가지 재료를 동원해가며 만들어봤다. 쉽지 않았지만 전문가들을 찾아다니며 하나하나 문제점을 해결해나갔다. 그렇게 해서 2003년 세계 최초의 친환경 연습용 수류탄이 나왔다.
“개발한 뒤에도 군에서 채택할 때까지 3년이 걸렸다. 회사가 망하려다 겨우 살아났다. 아무리 좋은 제품을 개발해도 기존 납품 회사가 버티고 있으면 뚫고 들어가기가 정말 힘들다. 사람들이 내게 1000만분의 1의 확률을 뚫었다고 했을 정도다.”
2005년 시험 보급을 시작으로 연간 200만~250만 발씩 지금까지 2000만 발 정도를 군에 납품했다. 9월의 수류탄 사고 영향으로 내년엔 납품 물량이 더 늘어날 예정이다. 그는 “우리 제품이 병사들의 안전한 훈련에 도움이 되면 좋겠다”고 했다.
▼ 외국에도 이런 제품이 있나.
“아직까지 없다. 2005년 프랑스 무기 전시회에서 처음 공개했는데, 당시 프랑스 군사 전문잡지에 소개될 정도였다. 계속해서 세계 무기 전시회에 참가하며 홍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