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권말특집 | 국민과 함께하는 고려대의료원

세계적 연구중심병원 국가 미래 이끌 의료 싱크탱크

PART 1 고려대의료원 - 경쟁력 & 비전

세계적 연구중심병원 국가 미래 이끌 의료 싱크탱크

1/2
  • ● 최첨단 융복합의료센터 KU-MAGIC 프로젝트
  • ● 국가 위기상황마다 사회적 책임 다해
세계적 연구중심병원 국가 미래 이끌 의료 싱크탱크

의료 소외지역에 불을 밝혀온 고려대의료원이 질병으로부터 자유로운 삶을 도모하는 KU-MAGIC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사진제공·고려대의료원

어떤 어려운 상황에서든 꽃을 피우는 의료기관이 있다. 1928년 9월 문을 연 조선여자의학강습소가 그렇다. 우리나라 최초 여성 의학교육기관으로서 일제치하, 유교적 관습, 여성차별이라는 시대의 어둠을 밀어내고 결실을 거두었다. 이 강습소를 시작으로 훗날 대한민국 대표 대학병원이 탄생하는데, 바로 지금의 고려대의료원이다.

1983년 9월 1일 발족한 고려대의료원은 효율적인 관리체계 및 운영, 우수한 의료진 확보 및 최신 의료장비 도입 등으로 선진 의료 환경을 조성하면서 국민건강 지키기에 앞장서왔다. 특히 대규모 병상 증설은 의료 소외지역에 불을 밝힌 결정적인 계기로 꼽힌다. 1990년 고려대 구로병원이 600병상으로 늘었고, 이듬해 고려대 안암병원도 710병상으로 확충했다. 이와 함께 국내 최고 시설과 장비가 들어왔고, 정예 의료진이 포진했다.

‘민족 고대’의 사회적 책임

국민건강을 책임져온 고려대의료원은 사회 곳곳에서 역량을 발휘했다. 1971년 국내 최초 법의학연구소를 설립해 법의학 연구의 기틀을 마련했고, 1976년 세계 최초로 유행성출혈열 병원체 한탄바이러스(Hantaan Virus)를 발견했다. 1989년 실용화에 성공한 이 백신은 현재 ‘한타박스’라는 이름으로 아시아 전역에서 판매 중이다.

1987년에는 민주항쟁의 도화선이 된 고(故) 박종철 군 사건의 진상을 밝히는 데 결정적인 구실을 했다. 박군의 사인이 고문에 의한 것임을 규명하고 이를 용기 있게 증언한 것이다. 이는 의료기관이 권위주의 시대를 청산하는 동시에 민주주의 시대를 여는 데 이바지한 특별한 사례로 꼽힌다.



고려대의료원은 국가적 재난 상황에서도 대학병원의 임무를 완수했다. 지난해 세월호 참사 당시 고려대 안산병원은 피해자를 대상으로 한 1차 치료와 상담치료를 도맡았다. 고려대의료원은 이를 계기로 고려대 안산병원에 대형재난사고를 대비하는 단원재난의학센터를 설립했다.

올해 메르스 사태 때도 고려대의료원은 국내 의료계의 구심점 노릇을 했다. 안암병원과 구로병원이 지역사회 감염 예방은 물론 타 지역 환자까지 완치한 것이다. 그 결과, 단 한 명의 원내 감염자가 발생하지 않았다. 최고 수준의 격리병실과 음압시설을 갖췄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고려대의료원이 대한민국 의료계에 표준을 제시할 수 있었던 요인은 ‘연구’에 있다. 고려대의료원은 매출액 대비 8% 이상을 연구개발(R&D)에 투자한다.

인프라 확충을 위한 지원도 아끼지 않는다. 지난해 고려대의료원은 고위험 병원체를 확인 및 진단할 수 있는 생물안전 연구시설(BSL-3)을 완공해 질병관리본부 인증을 받았다. 이를 통해 고려대의료원은 국내 신약 및 백신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세계적 연구중심병원 국가 미래 이끌 의료 싱크탱크

KU-MAGIC 프로젝트의 골자는 고려대의료원, 의과대학, 보건과학대학, 생명과학대학, 이과대학, 공과대학, 약학대학, 간호대학을 잇는 최첨단 융복합의료센터를 구축하는 것이다. 사진제공·고려대의료원



1/2

관련기사

목록 닫기

세계적 연구중심병원 국가 미래 이끌 의료 싱크탱크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