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애 류성룡의 초상화
선조 때 인물로 조선 중후기 사상사의 기둥이던 율곡 이이(1536~1584)의 말이다. 이이는 탐욕과 권력욕에 눈이 먼 리더, 국가와 지배층의 수탈로 죽어가는 국민을 안타깝게 여겼다. 그의 눈에 비친 조선은 ‘나라’가 아니었다. 이이는 “반드시 토붕와해(土崩瓦解·흙이 무너지고 기와가 깨짐)할 것”이라고 준엄히 경고했다. 그의 예측은 10년도 안 돼 적중했다. 그는 이런 말을 남겼다.
“백성은 먹을 것에 의지하고 나라는 백성에게 의지하는데, 백성들이 먹을 것이 없다면 백성이 없는 것이며, 백성이 없다면 나라도 없는 것이다(伏以民依於食, 國依於民, 無食則無民, 無民則無國).”
이이는 ‘위에선 빼고, 아래는 더해주는’ 방식으로 개혁하고자 했다. 그러나 그의 계획은 기득권 공동체의 집요한 저항에 꺾였다. 이이는 한창 나이인 마흔아홉에 세상을 떠났다.
이이의 개혁론에 대해선 비판과 찬사가 공존한다. 어떤 이는 ‘구체성이 없는 선언적 수준’이라고 평가절하한다. 그러나 조선 후기의 대표적 실학자 이익 같은 이는 “나라가 열린 이후로 세상일을 아는 이는 오직 율곡과 반계(유형원) 뿐이다”라며 이이의 사상을 극찬했다. 이익은 율곡 이후에 나온 수많은 개혁사상가·실천가의 문제의식이 율곡이 던진 화두를 넘지 못했다고 봤다.
‘조선의 장자방’
이순신(1545~1598)의 친구로 널리 알려진 서애 류성룡(1542~1607)은 율곡의 개혁론을 실천해 조선을 구하고자 했다. 류성룡은 율곡이 밝힌 현실의 난제를 적극 살피면서 해법을 찾아 동분서주했다. 이이가 문제를 출제한 선생님이라면, 서애는 출제 의도를 간파하고 가장 정확한 모범답안을 작성한 수제자였다.
이이는 조선 제왕학의 획을 그은 ‘성학집요(聖學輯要)’를 저술하고, 개혁사상의 뼈대를 세운 ‘만언봉사(萬言封事)’와 ‘만언소(萬言疏)’를 써서 조선 중후기의 이데올로그가 됐다. 서애는 율곡의 실패와 기득권 세력의 우물 안 개구리식 사고방식이 불러온 사상 초유의 국난을 겪으면서 뼈를 깎는 반성의 기록인 ‘징비록(懲毖錄)’을 저술했다. 서애는 전란의 한복판에서 율곡의 화두를 낱낱이 파헤쳐 대안을 제시하고 실행해 나라를 구하려 애썼다. 서애는 율곡이 예견한 위기보다 훨씬 더 살벌했던 비극의 시대를 살았기에 그의 저작이나 행동은 율곡의 그것과는 달리 머릿속 관념이 아니라 손과 발에서 나왔다. 그의 주장에는 백성의 분노와 핏물이 튀는 전쟁터의 아우성이 담겨 있다.
류성룡에 대해 스승인 퇴계 이황은 일찍이 “하늘이 낸 사람”이라고 했다. 정조(正祖)는 그를 가리켜 “참으로 우리나라의 유후(留侯·장자방)”라고 평했다. 류성룡은 사람을 알아보는 능력, 즉 ‘지인지감(知人之鑑)’이 누구보다 뛰어났다. 조선을 멸망의 위기에서 구해낸 임진왜란 3대 대첩(이순신 한산대첩, 권율 행주대첩, 김시민 진주대첩) 뒤엔 지인지감의 천재 류성룡이 있었다.
온갖 비난을 무릅쓰고 무명의 인물인 정5품 형조 정랑 권율을 4단계 뛰어넘은 정3품 의주 목사로, 종6품 정읍 현감 이순신을 6단계 뛰어넘은 정3품 전라 좌수사로 발탁한 사람이 바로 류성룡이다. 허균은 “류성룡이 이순신을 등용한 한 건(件)이 나라를 중흥시킨 큰 기틀”이라고 평가했다. 이익은 이순신을 평가하면서 “진실로 류성룡이 결연히 (이순신을) 발탁하지 않았다면 개천에서 굶어 죽었을 것”이라고 했다. 정조, 허균, 이익은 이순신이라는 고리를 통해 류성룡을 ‘하늘이 낸 조선의 장자방’이라고 본 것이다.
이이와 이순신은 조선시대 기준으로는 먼 친척이 아니었다. 이이가 이순신보다 7세 위지만 가문의 항렬로는 이순신이 아저씨뻘이다. 이순신이 38세 때(1582년)인 전라도 발포만호(종4품) 시절 군기경차관 서익의 불시검열로 파직되자 선조의 비서 노릇을 하던 류성룡은 이순신에게 이조판서 이이를 찾아가 해법을 모색토록 조언했다. 이이가 이순신의 명성을 듣고 류성룡에게 주선을 요청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순신은 “친척이라 만나볼 수는 있지만, 관직을 임명하는 자리인 이조판서이기에 만날 수 없다”며 거부했다.
1583년 이이가 병조판서로 북방의 여진족 침입 대비를 고심하던 때, 이순신은 그 현장인 함경도 건원보에서 여진족 울지내를 유인해 격퇴, 이이의 시름을 덜어줬다. 이이의 후원을 받아 출세할 상황이었으나 이순신은 부친상을 당했고 이이도 곧 병사하면서 길이 끊어졌다. 아마도 이이가 더 오래 살았다면 류성룡이 아니라 이이가 이순신의 후원자가 됐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