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웰스파고은행의 본점
리먼 브러더스 사태가 발생하기 정확히 2개월 전인 7월17일.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충격이 본격화하면서 연일 폭락하던 뉴욕 증시가 276포인트 넘게 상승하는 대이변이 일어났다. 미국 양대 모기지업체인 프레디맥과 패니메이가 무너지면서 싸늘해진 투자심리를 일순간 되돌려놓은 이날의 주인공은 웰스파고(Wells Fargo)였다. 한국인에게는 다소 낯선 이름의 은행이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둔 이 은행이 이날 순익 17억5000만달러, 매출 115억달러를 올렸다는 2분기 실적을 발표하자 뉴욕 증시가 급반등한 것. 276.74포인트(2.52%)는 하루 상승폭으로는 3개월여 만에 최고치였다. 웰스파고의 주가는 이날 하루에만 32%나 치솟았다.
| ||||||||||||||||||||
| ||||||||||||||||||||
|
# 장면 2
10월10일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는 웰스파고의 와코비아은행 인수 계획을 승인할 방침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와코비아은행 인수를 놓고 웰스파고와 경쟁했던 시티그룹이 인수를 포기한 다음날 미 정부가 웰스파고의 손을 들어준 것이다. 시티는 웰스파고에 앞서 와코비아의 은행 부문을 22억달러에 매입하겠다고 제안, 인수 직전까지 갔다. 그러나 웰스파고가 와코비아의 비은행 부문을 포함해 151억 달러의 인수가격을 제시, 시티를 제쳤다.
두 장면은 ‘월스트리트의 이단자’로 취급받던 웰스파고가 월가의 구원투수로 인정받으며 미국 금융의 중심으로 자리를 굳히는 순간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앨런 그린스펀 전 FRB(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이 말한 “100년에 한 번 올까 말까 한 위기”를 웰스파고는 완벽한 도약의 찬스로 만든 것이다.
10월 중순 현재, 9월15일(현지 시간) 리먼 브러더스가 파산보호 신청을 내고 미국 금융위기가 본격화된 지 2개월이 흘렀다. 그동안 미국 내 상위 10위 상업은행(CB) 중 와코비아(4위), 워싱턴 뮤추얼(6위), 컨트리와이드 내셔널(9위) 세 회사가 간판을 내렸다. 5위권 투자은행(IB) 중에선 메릴린치(3위), 리먼 브러더스(4위), 베어스턴스(5위) 등 3곳이 이미 문을 닫았거나 닫을 처지에 놓였다. 이보다 더 놀라운 뉴스는 세계 금융사에서 영원히 지지 않을 것 같던 시티가 굴욕스럽게도 1위에서 4위로 추락했고, 웰스파고가 JP모건체이스와 BOA(뱅크 오브 아메리카)에 이어 당당히 3위에 이름을 올린 것이다.
일요일에도 문 여는 지점 있어
해외지점이 런던과 홍콩, 타이베이 3곳에 불과하고, 해외사업 비중이 전체 매출의 2%에도 미치지 못하는 은행. 미국 내에서도 전체 50개 주 가운데 절반가량인 26개 주에서만 영업하는 은행. 그러면서도 파죽지세의 성장을 기록하는 웰스파고의 비결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
오늘의 웰스파고를 만든 리처드 코바세비치 전 웰스파고 회장이 ‘은행의 미래’에 대해 언급한 짤막한 답변에서 해답을 찾을 수 있을 듯하다.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고객중심 사고를 견지하는 데 실패할 경우 어떤 은행도 살아남을 수 없다.”
웰스파고는 이 단순한 원칙을 일선 창구에서 어떻게 실현하고 있을까. 기자는 올여름 웰스파고 본점이 위치한 샌프란시스코 금융타운에서 북쪽으로 20여km 떨어진 노스비치(North Beach) 지점을 찾았다. 5명의 뱅커(banker)와 6명의 텔러(teller·창구 출납직원)를 거느린 소규모 지점이다.
“매월 700개 이상의 신규 계좌를 개설하고 있습니다. 뱅커 한 명당 100개가 조금 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