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소설들은 몇 가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이 소설을 쓴 사람들의 나이가 많아야 서른을 넘지 않는다는 점. 둘째, 그들 세대에 딱 들어맞는, 그러나 다소 과장돼 있는 사랑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는 점. 셋째, 글쓰기 능력보다는 유머 감각에 의존한다는 점. 세 번째 특성은 이들 중 상당수가 ‘유머 게시판’에 연재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절정에 여기서 다루고자 하는 ‘귀여니’의 소설 ‘그놈은 멋있었다’가 있다.
‘사이버문학의 2차 공습’
‘귀여니’(본명: 이윤세)의 ‘그놈은 멋있었다’(전2권, 도서출판 황매)가 출간된 2003년 3월15일을 후세의 문학 연구자들은 ‘사이버 문학의 2차 공습일’로 기록할지도 모른다. 출간된 지 두 달도 채 되지 않아 20만부 이상이 팔려 나간 이 작품(?)은 한국 출판에 판타지 문학 열풍을 불러온 이영도의 ‘드래곤 라자’(전12권, 황금가지)에 이어 다시 한번 우리에게 사이버 문학의 힘을 분석해보도록 요청하고 있다.
이 작품은 지금까지 80만부 이상이 팔렸으며 고교생들(주로 남학생들)의 필독서로 자리잡은 ‘드래곤 라자’와 비교된다. 귀여니의 ‘그놈은 멋있었다’는 이영도의 ‘드래곤 라자’와 세 가지 측면에서 같고 두 가지 측면에서 결정적으로 다르다.
두 작품의 공통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 공간을 자양분으로 삼고 자라나서 현실 공간으로 침투해 들어왔다는 점. ‘드래곤 라자’는 1997년 10월3일부터 PC통신 하이텔의 ‘창작 연재란’에 연재되기 시작해 100만에 달하는 조회 수를 얻었으며 1998년 5월에 종이책으로 출간된 지 6개월도 안 돼 50만부 이상이 팔려 한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 ‘그놈은 멋있었다’는 2001년 8월부터 포털 사이트 ‘다음’의 한 인터넷 카페에 연재되기 시작해 30만명에 이르는 회원을 확보했으며 올 3월에 소설로 나온 이래 계속 소설 부문 베스트셀러에 올라 있다.
둘째, 이영도와 귀여니 두 사람 모두 신춘문예 등을 통한 등단 절차, 문예지 중심의 문단 활동, 작품집 출간이라는 전통적인 문학 출판의 코스를 밟지 않았다는 점. 거칠게 말하면 ‘문단 공인 작가’가 아니라는 점이다.
필자는 1987년 복거일의 ‘비명을 찾아서’(문학과지성사)가 처음 나왔을 때를 기억한다. 당시 문학을 공부하는 학생이었던 필자는 ‘얼마나 좋은 작품이기에 등단도 안 한 작가의 작품을 출판했을까’ 하고 기이하게 생각했고, 출판사에서는 ‘워낙 좋은 작품이라서 등단 절차 없이 전작으로 출판하기로 했다’고 작품 뒤쪽에 애써 변명의 글을 달았다.
1991년에는 하일지의 ‘경마장 가는 길’(민음사)이 같은 형태로 출판됐고, 이제는 이런 출판 형태가 그다지 드문 일이 아닐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영도 이후’와 ‘이영도 이전’에는 쉽게 넘어설 수 없는 문턱이 존재한다.
이영도의 ‘드래곤 라자’가 성공한 이후 상당수의 문학청년이 위계를 갖춘 상상의 공동체인 ‘문단 입문’을 통하기보다는 사이버 공간에 자신의 글을 연재함으로써 대중의 맨 얼굴과 직접 맞닥뜨리는 쪽을 통해서 자기 글을 사회화하는 전략을 택하게 됐다. 이들은 문학 원로들의 승인이라는 귀찮은 통과의례를 거치기보다는 상상의 동료(독자)들에게 인정받음으로써 따분하고 짜증나는 입사식을 좀 더 재미나게 통과하려고 애쓴다. 그 결과 PC통신과 인터넷의 소설 연재 공간엔 하루에 수천 편의 소설이 등록되는 글쓰기 열풍이 몇 년째 계속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