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인과 바다’<br>어니스트 헤밍웨이 지음, 이인규 옮김, 문학동네, 270쪽, 8000원
그는 멕시코 만류에서 조그만 돛단배로 혼자 고기잡이를 하는 노인이었다. 팔십사일 동안 그는 바다에 나가서 고기를 한 마리도 못 잡았다. 처음 사십 일 동안은 한 소년이 그와 함께 나갔다. 하지만 사십 일이 지나도록 고기를 한 마리도 잡지 못하자 소년의 부모는 노인이 이젠 정말이지 돌이킬 수 없게 ‘살라오’, 즉 운수가 완전히 바닥난 지경이 되었다고 소년에게 말했다. … 매일같이 빈 배로 돌아오는 노인의 모습을 볼 때마다 소년의 마음이 아팠다. - 어니스트 헤밍웨이 지음, 이인규 옮김, 문학동네, ‘노인과 바다’ 중에서
해안선이 단순하고, 얕아보였다. 포구에서 배가 나가면 얼마나 멀리까지 갈까. 수평선을 눈으로 찾았다. 한 노인이 어둠을 가르며 노를 저어 빠르게 나아가는 환영(幻影)이 생생하게 살아났다. 수평선 위아래로 엷게 구름이 끼어 있었다. 오른쪽으로 고개를 천천히 돌려보았다. 포구 끝에서 시선이 멈추었다. 한 노인이, 아니 그 옆에 한 소년이 멀리 바다를 바라보며 서 있었다. 잘못 보았나, 눈을 한번 깜박여보았다. 여전히 두 사람은 포개지듯 바다를 향해 서 있었다. 나도 모르게 노인 쪽으로, 동시에 소년 쪽으로 발길을 옮겼다. 여행의 묘미는 목적했던 곳에 도달하는 과정에 뜻밖에 만나는 장면이나 사람, 사태, 즉 돌발성이다. 그들에게 걸어가는 사이, 나는 마치 태평양을 횡단해 북미 캐나다로, 캐나다에서 중남미 멕시코로, 그리고 그곳에서 또다시 유카탄 반도를 지나 카리브 해의 섬나라 쿠바까지 온 목적과 행로가 머릿속에서 깡그리 지워진 채, 마치 그들을 만나러 온 것만같이 신기할 정도로 반가운, 그래서 지레 느꺼운 기분에 휩싸였다. 거기, 그들, 노인과 소년이 있다니!
노인은 비쩍 마르고 야위었으며 목덜미에 주름살이 깊게 패어 있었다. 두 뺨에는 열대 바다가 반사하는 햇빛으로 생긴 양성 피부암 때문에 갈색 반점이 번져 있었다. … 노인의 모든 것이 늙거나 낡아 있었다. 하지만 두 눈만은 그렇지 않았다. 바다와 똑같은 빛깔의 파란 두 눈은 여전히 생기와 불굴의 의지로 빛나고 있었다. … 소년에게 고기 잡는 법을 가르쳐준 사람은 노인이었다. 소년은 노인을 사랑했다. -앞의 책
노인이, 그리고 소년이 함께 있는 바닷가 포구의 정경. 포구에는 그들과 나, 그리고 하늘과 바다뿐이었다. 나는 행운의 여행자였고, 나는 그 행운을 사랑했다. 읽고, 또 읽어 이미 오랫동안 함께 살아온 식구나 정인(情人) 되어버린 소설(허구) 속 주인공들처럼 내 앞에 그들이 있었다. 생애 첫 만남이지만, 나는 그들에게 말을 걸 작정이었다. 뭐라 할 것인가. 진정, 그들은 누구인가. 소년은 노인의 손자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그러나 그들에게 다가가는 동안 나는 노인이 바다를 사랑하는 만큼 소년을 사랑하고 있음을 알았다. 소년 또한 그만큼 노인을 사랑하고 있음을 알았다. 만약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가 없었다면, 그리하여 태평양을 건너, 멀기도 하지만 다양하기도 한 경로를 밟아 그곳까지 오는 동안 그의 소설과 함께하지 않았다면 나는 그들을 보는 순간, 그들이 누구이고 어떤 관계인지를 떠나, 그들이 자신만큼, 혹, 그 이상 서로를 얼마나 사랑하고 있는지 감지하지 못했을 것이었다.
노인은 언제나 바다를 ‘라 마르(la mar)’라고 생각했다. 그것은 사람들이 바다를 다정하게 부를 때 쓰는 스페인어였다. 바다를 사랑하는 사람들도 이따금 바다를 나쁘게 말하긴 하지만 그런 때도 항상 바다를 여자처럼 여기며 말했다. 젊은 어부들 가운데, … 바다를 남성인 ‘엘 마르(el mar)’라고 불렀다. 그들은 바다를 경쟁자나 투쟁 장소, 심지어 적처럼 여기며 말했다. 하지만 노인은 언제나 바다를 여성으로 생각했고, 큰 호의를 베풀어주거나 거절하는 어떤 존재로 생각했다. 만약 바다가 사납고 악한 행동을 한다면 그건 바다도 어쩔 수 없어서 그런 것이었다. -앞의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