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루벤스는 안토니오 코레아를 그리지 않았다”

‘조선 복식을 입은 남자’ 모델 논란

“루벤스는 안토니오 코레아를 그리지 않았다”

2/2
“루벤스는 안토니오 코레아를 그리지 않았다”

<그림 3> ‘프란시스코 하비에르의 기적’의 부분 그림. <그림 4> ‘조선 복식을 입은 남자’의 복원 그림.

잘려나간 가장자리

루벤스 소묘의 주인공을 조선인으로 보는 또 다른 증거는 ‘조선 철릭’이다. 곽 교수는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복식사학자 석주선 선생의 견해를 인용한다. 하지만 이 옷은 깃이 넓고 동정이 없어 조선 철릭이라기보다는 같은 시기 예수회 선교사 니콜라스 트리고나 마테오 리치가 입던 중국 철릭에 가까워 보인다. 목깃에 달린 얇은 동정이 조선 철릭의 특징인데, 소묘 속 동양인이 입은 철릭에는 동정이 없다. 만약 관모와 복식이 조선인의 것이 아니라면 이를 근거로 소묘 주인공을 조선인으로 보는 주장은 근거를 잃게 된다.

또 하나. 루벤스의 소묘는 완전한 상태가 아니다. 애당초 루벤스가 완성한 소묘 작품은 현재 상태보다 조금 더 컸을 것으로 보인다. 무슨 이유에선지 가장자리를 잘라내고 크기가 줄었는데, 그 증거는 작품의 가장자리 디테일에서 드러난다.

소묘의 가장자리에는 상하좌우에 테두리 선이 그어져 있다. 그런데 테두리 선을 가까이 들여다보면 테두리 선을 넘어 종이 끝까지 소묘 선들이 진행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작품 하단부도 똑같이 잘려나갔다. 좌우는 절단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다.

따라서 소묘의 주인공이 쓴 관모는 각이 진 방건 형태가 아니라 높이가 훨씬 더 올라가는 원통형이며, 빈 제단화의 동양인이 머리에 쓴 관모와 동일한 형태로 추정할 수 있다. 이에 터 잡아 복원하면 전혀 다른 그림이 된다(그림 3, 4). 곽 교수는 소묘 작품의 상하단 디테일을 흘려보거나 놓친 것으로 보인다. 아니면 자신의 ‘방건 논리’를 관철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무시했을 수도 있다.



방건과 조선 철릭이 조선인이라는 주장의 근거라면 루벤스 소묘의 모델은 조선인이 될 수 없다. 조선인이 어쩌다 이국의 복식을 입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지만, 같은 논리로 태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말레이시아 사람이 그랬을 가능성도 똑같이 존재하기에 이런 주장은 별 의미가 없다.

“루벤스는 안토니오 코레아를 그리지 않았다”

<그림 5> 국립중앙박물관 걸개그림.

‘불가능에 가까운 확률’

그림의 주인공이 조선인이 아니라면 그가 안토니오 코레아일 가능성도 없다. 하지만 곽 교수의 주장대로 1607~08년 루벤스가 로마에서 조선인 안토니오를 만나 모델이 돼달라고 요청하고 소묘 작업을 했다는 추리가 성립하려면 어떤 조건들이 충족돼야 할까.

루벤스에게 1607~08년은 로마 키에사 누오바 교회의 발리첼라 제단화 수령 거부, 교회 주제단부 장식 프로그램의 전면적 수정과 재작업, 또한 건강과 재정 문제로 피가 바짝바짝 마르는 때였다. 그런데 이런 시기에 △장차 10년쯤 뒤에 안트베르펜 예수회 교회의 있을지 없을지도 모를 제단화 주문에 대비해 △예수회 선교활동을 벌이던 인도, 중국, 일본을 대표할 인물상을 모색하고 △유럽에서 모델을 구하기가 상대적으로 수월한 중국인은 제쳐놓고 △예수회 선교와도 상관없고 외교관계도 없어 유럽 전체에 한 명 있을까 말까 한 조선인을 굳이 수소문해서 안토니오를 찾아낸 뒤 △그에게 혹시 동양의 고관대작이나 외교 관료, 고위 성직자가 걸칠 만한 의관을 갖고 있는지 확인하고 △의관을 정제해 초상 소묘의 모델로 서줄 것을 요청하고 △가뜩이나 없는 살림에도 상당한 모델료를 지불했다.

또한 안토니오는 왜구에게 납치돼 노예로 팔린 뒤 파란만장한 역경과 거친 역사의 파고를 넘나들면서도 자신의 신분과 어울리지 않는 황금색 비단 철릭과 사치스러운 이국풍 가죽 신발, 높은 관모를 고이 간직하고 있다가 플랑드르 화가의 모델을 설 때 요긴하게 활용했다.

정말 그랬을까. 그럴 수 있었을까. 곽 교수의 추리는 불가능에 가까운 확률이 수차례 중첩됨으로써 논리의 개연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루벤스는 안토니오 코레아를 그리지 않았다”
노성두

1959년 경남 산청 출생

한국외대 독일어과 졸업, 독일 쾰른대 철학 박사(서양미술사 전공), 이탈리아 어문학 박사

現 시민아카데미 인문학습원 교장

저서 및 논문 : ‘성화의 미소’ ‘그리스 미술 이야기’ ‘레오나르도 다빈치 회화론’ 등


현재로서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루벤스의 동양인 모델은 1617년경 안트베르펜 또는 인근 도시를 방문한 예수회 선교 관련 인물이거나 외교사절의 일원이 아닐까. 복식사 연구와 문헌 연구가 더 축적되면 언젠가 실마리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한다. 루벤스의 동양인 모델이 400년을 건너뛰어 대한민국 국립중앙박물관에 대문짝보다 더 큼직하게 걸린 자신의 초상을 봤다면 어떤 표정을 지었을지 궁금하다(그림5).

신동아 2015년 12월호

2/2
노성두 | 미술사학자 nohshin2@naver.com
목록 닫기

“루벤스는 안토니오 코레아를 그리지 않았다”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