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료 불모지 구로에 들어선 고려대 구로병원은 서울 서남부 대표 병원으로서 명성을 쌓았다. 사진제공·고려대 구로병원
독일에서 날아든 낭보는 구로동 주민을 감격시켰다. 구로동에서 60년간 살아온 이대성 씨는 “1980년 초반만 해도 제대로 치료를 받지 못해 고통을 호소하는 주민과 구로공단 노동자가 한두 명이 아니었다”며 “고려대 구로병원이 들어선다는 소식에 지역 주민이 만세를 불렀다”고 회상했다.
이런 이유로 의료계는 고려대 구로병원의 개원을 두고 ‘의료 불모지 구로동에 꽃이 폈다’고 말한다. 흥미로운 점은 지역사회에 봉사하기 위해 세운 구로병원이 오늘날 대한민국 의료계를 이끈다는 사실이다.
‘환자 중심 진료’ 표방
실제로 구로병원은 서울 서남부 대표 병원으로서 명성을 쌓았다. 수상 이력이 이를 증명한다. 구로병원은 2010년 대한민국 보건산업대상을 수상한 데 이어 2011년 보건복지부 의료기관 인증 ‘생명의학연구윤리 FERCAP’ 국제인증을 받았다. 2012년에는 ‘대학병원 부문 가장 신뢰하는 브랜드 대상’을, 올해 10월엔 ‘대한민국 나눔국민대상’을 받았다.
국가로부터 연구 및 교육 능력도 인정받았다. 2013년 자매병원인 안암병원과 더불어 보건복지부 지정 연구중심병원으로 선정된 것이다. 지난해에는 국내 처음으로 보건복지부 지정 서울지역 외상 전문의 집중육성병원으로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구로병원이 성장 고속도로에 올라탄 건 2008년. 그해 1600억 원을 투자해 신관을 건축하고 본관을 리모델링하며 팔색조 변신을 꾀했다. 그 결과 개원 당시 300병상에 불과했던 소형 병원이 33년 만에 1057병상을 갖춘 대형 병원으로 변모했다.
규모가 커진 만큼 병원을 찾는 발걸음도 늘었다. 현재 구로병원을 찾는 1일 환자 수는 약 3500명, 연간 환자 수는 95만 명(외래 기준)에 이른다.
규모만 커진 게 아니다. 구로병원은 암 전용 140여 병상을 확보하고, 중증외상 중환자실을 확충했다. 이는 병원이 외형적인 발전만을 추구하지 않고 환자의 편의성을 높이려 고심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