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장님, 오래간만이여요. 아직도 여전히 싸이에서 열심히 활동하시는군요. 전 아무래도 싸이 체질은 아닌가벼. 게을러서 거의 안하고 있거든요. 요즘 피곤해 죽겠슴다. 한번 만나서 왕수다 하시죠. 잘 지내셔요.”(직원2)
“PC 고장으로 요즘은 사무실에서만 잠깐 잠깐, 몰래 몰래 싸이질 하고 있지요. 왕수다는 언제든지 좋지요. 언제 날짜 잡아서 연락하지요.”(회사 대표)
‘母性 리더십’
화장품 회사 클라란스 코리아의 박남희(朴男姬·42) 사장과 직원들이 싸이월드에서 주고받은 대화다. 대화를 나눈 사람들의 관계가 대화 속에 고스란히 드러나 있지만 실제로도 그런지 의심스러울 정도다. 사장과 직원들이 나눈 얘기로 보기엔 믿기 어려운 내용이 많아서다. 직원들이 ‘결재 처리를 많이 해 수고했다’ ‘요즘 피곤해 죽겠다’는 말을 사장 앞에서 대놓고 털어놓는 광경은 상상하기 쉽지 않다.
더욱이 이 회사가 매월 매출액 신기록을 갱신하면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회사라면 사장이 어떤 리더십으로 회사를 이끌고 있는지 궁금해진다. 클라란스는 19개국에 지사와 현지법인을 두고 연간 1조1000억원대의 매출을 올리고 있는 프랑스 화장품 회사다.

클라란스 코리아 박남희 사장
이런 사실이 알려지자 직원들은 ‘박 이사에게 인정받아야 유능한 사원이 된다’는 생각을 갖게 됐고, 더욱 그의 마음에 들기 위해 노력했다. 1998년 세계적인 피부보호용 화장품 비오템을 맡은 그는 두 아이의 어머니답게 자녀를 키우듯 직원들을 대하는 ‘모성 리더십‘으로 4년여 만에 매출을 10배 이상 신장시켰다. 그는 “일이 되게 하려면 내 위와 아래 직원들의 의견을 듣고 조율하는 것이 우선이다. 그렇게 결정한 다음에는 강력하게 밀어붙여야 한다”고 말한다.
지난해 6월 클라란스 코리아 대표로 발탁된 뒤에도 이런 리더십은 효력을 나타냈다. 충분한 대화를 통해 직원들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해주는 데 진력한 것. 최근엔 개인의 가상공간을 만들 수 있는 인터넷 사이트 싸이월드에 자신의 사이버 룸을 만들어놓고 마치 언니나 이모처럼 다정다감한 글을 남겨 직원들의 방문을 유도한다. 또한 직원들이 개설한 싸이월드 방에 들어가 글을 남겨놓기도 하고, 방을 꾸밀 수 있는 아이템을 선물로 사주기도 한다. 자신의 월급을 털어 커피 자판기를 구입, 회사에 기증해 직원들을 감동시키기도 했다.
클라란스 코리아 양혜라 대리는 “사장님이 너무 다정해서 때론 내가 회사 대표와 얘기하고 있는 건지, 가족과 대화하고 있는 건지 헷갈릴 때도 있다”고 했다.
잭 웰치 전 GE 회장은 “경영자는 한 손에는 물뿌리개를, 다른 한 손에는 비료를 들고 꽃밭에서 꽃을 가꾸는 사람”이라고 했는데, 박 사장에게서 그런 모습이 떠올려진다.
“읽고, 생각하고, 행동하라”

이메이션 코리아 이장우 사장
이메이션은 1996년 ‘포스트잇’으로 유명한 3M에서 분사한 기업이다. 3M의 사업분야 가운데 디스켓 저장장치 사업군을 떼어내 독립한 이메이션은 세계 60곳에 현지법인을 둔 다국적 기업.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디스켓과 CD 등은 대부분 이메이션 제품이라 국내 시장점유율은 단연 1위다.
전세계 60개 현지법인 중에서 이메이션 코리아는 가장 빨리 성장하는 법인의 하나다. 1997년 외환위기 때는 회사가 자본잠식 상태에 빠지는 최악의 상황을 맞았지만 이장우 사장은 인원감축 없이 회사를 정상화시켰다. 이후 최근 4∼5년 동안 그는 매출액 증가율, 순이익 증가율 등 성장성을 나타내는 지표에서 60개 현지법인중 상승률 3위에 올려놓는 수완을 발휘했다.
해마다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다 보니 미국 본사에서도 한국법인만큼은 경영에 간섭하고 있지 않다. 이 사장은 한국법인이 설립된 1996년 이후 줄곧 CEO 자리를 지켜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