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해윤 기자
대기업이 주도하는 면세점 영역에 단기필마로 뛰어들어 인천국제공항 서편 탑승동을 ‘점령’한 중소기업 면세점이 있다. 시티플러스가 운영하는 시티면세점이다. 인천공항공사는 지난 3월 일반 기업과 중소·중견 기업으로 나눠 인천공항면세점 사업자 입찰을 했는데, 시티플러스는 제3기 면세점 사업자로 선정돼 10월 31일 문을 열었다. 대기업 틈바구니에서, 그것도 다들 ‘손해 보며 판다’는 인천공항면세점 사업에 뛰어든 중소기업은 어떻게 생존할 수 있을까.
안혜진(52) 시티플러스 공동대표는 “거대한 전차에 올라탄 골리앗들 사이를 자갈돌을 쥐고 가로지르는 다윗의 심정”이라고 했다. 수학교사 출신답게 그의 설명은 논리적이었지만, 다윗의 답답한 마음을 호소할 때는 눈에 눈물이 맺혔다.
대기업 할인 경쟁에 한숨
▼ 인천공항면세점 사업에 후발주자로 뛰어들었는데.
“시티면세점은 인천국제공항 서편 DF10 구역(924㎡)에 자리 잡았다. 대기업(롯데·신라·신세계)이 8개 구역, 중소기업(시티플러스·SM·엔타스·삼익악기)이 4개 구역 운영자로 선정됐다. 시티면세점과 SM면세점은 대기업 면세점처럼 향수·화장품·주류·담배 등 전 품목을, 나머지 두 곳은 주류·담배 등 한정된 품목을 취급한다. SM이 하나투어 자회사인 점을 감안하면 대기업 면세점과 전 품목을 놓고 경쟁하는 중소기업은 시티면세점이 유일한 셈이다.”
▼ 오랜 노하우와 자금력을 앞세운 대기업과 전 품목에서 경쟁하는 게 녹록지 않을 듯하다.
“솔직히 힘들다. 면세점은 초기 투자비용이 많이 들고, 유명 브랜드는 중소기업 면세점 입점을 꺼린다. 대기업 면세점은 바잉 파워(buying power, 구매력)가 커 마진율이 50~65%에 달한다. 마켓 선점 비율을 중요시하는 대기업들은 수익구조가 나빠도 그것을 올바르게 개선하지 않고 멤버십 가입 회원에게 10% 할인해주고, 여행사나 관계 회사가 남발한 할인쿠폰을 들고 오는 고객들에게 5~10% 추가 할인을 해줘도 살아남는다. 우리가 그렇게 하면 마이너스다. 그렇다고 같은 공간에 자리하고 있는 동일한 사업장에서 비슷한 양상이라도 대기업 프로모션 행사를 따라 하지 않을 수 없으니, 한쪽으로 기울어진 운동장을 달리는 기분이다.”
▼ 운동장을 평평하게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거시적으로 면세점 유통구조를 바라볼 시점인 것 같다. 과도한 프로모션 비용과 높은 임차료는 결국 입점업체와 소비자의 몫이다. 유통시장에서 상품가격의 왜곡을 불러오고, 유통 질서를 교란한다. 이 상황에서 내성(耐性)이 약한 중소기업은 분명한 한계를 보이게 될 거다. 우리는 출혈 경쟁으로 싸우지 않을 것이고, 가격경쟁과 상품 구성에서 차별화 요소를 강화하고, 시티면세점만의 색을 가지려고 노력할 거다. 생각해보라. 백화점의 빈번한 세일, 프로모션 행사에 더 이상 고객은 반응하지 않는다. 1년 중 5개월을 세일하고, 1년 내내 하는 사은 행사는 과잉경쟁의 결과물이다. 이러한 악순환 및 과잉 경쟁을 막기 위한 제도적 가이드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결국 소비자에게 가장 좋은 프로모션은 정직한 가격이고, 바람직한 면세 유통구조다.”
지난 9월 인천공항공사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이노근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인천공항이 여객터미널에 입점한 상업시설로부터 받은 5년(2010~14)간 임대료는 3조6071억 원이다. 그러나 3기 면세점 사업자들이 올해부터 5년간 낼 임대료는 6조4600억 원으로 크게 늘었다. 공기업인 인천공항공사는 “국민 호주머니 털어 부동산 재벌이 됐다”는 비난을 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