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김무성 “국민 외엔 물갈이 권한 없다” 유승민 “김무성 공천 룰 지지”

‘新 K-Y 연대’ 뜬다?

김무성 “국민 외엔 물갈이 권한 없다” 유승민 “김무성 공천 룰 지지”

1/3
  • ● ‘친박 거물’ 최경환 복귀에 공동전선?
  • ● 脫朴 의원들 “K-Y, 죽지 않으려면 뭉쳐야”
  • ● 단기 ‘공천 공동대응’, 장기 ‘차기 당권·대권’ 빅딜?
김무성 “국민 외엔 물갈이 권한 없다” 유승민 “김무성 공천 룰 지지”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유승민 전 원내대표는 내년 4월 총선, 나아가 2017년 대선을 앞두고 청와대와 친(親)박근혜계의 날카로운 공격을 받으며 동병상련을 앓는다. 유승민 의원 측에서 보기에, 박근혜 대통령은 유 의원은 물론 그의 측근들까지 용납 않겠다는 메시지를 거듭 보낸다. 당내 친박계 핵심 인사들은 순차적으로 ‘김무성 대안론’ ‘김무성 불가론’을 제기한다.
박 대통령은 “진실한 사람이 선택받도록 해달라”고 했다. 6월 25일 말한 ‘배신의 정치 심판’ 2탄 격이다. 두 발언 다 문맥으로 보면 정치권 전체가 대상이지만, 행간으로 보면 유 의원과 그의 측근들이 표적이다. 여권에선 유승민계가 다수 포진한 대구·경북 물갈이론도 번진다.
친박계에선 김무성 대표를 비토하는 듯한 이야기도 잊을 만하면 나온다. 핵심인 홍문종 의원은 “외치(外治) 하는 대통령과 내치(內治) 하는 총리를 두는 것이…”라며 개헌론을 꺼냈다. ‘반기문 대통령-친박 총리 조합’설에 대해 “그런 그림의 전제하에 우리가 이원집정부제를 하자는 것은 아니다”면서도 “옳고 그름을 떠나 가능성 있는 이야기”라고 했다.
여권 내에선 청와대와 친박계가 총선 5개월을 남겨두고 모종의 작업에 돌입한 것 같다는 말이 나온다. 한 여권 인사는 “전 대통령 특보 윤상현 의원의 ‘김무성 대타’ 찾기와 ‘유승민계 와해’가 동시에 벌어지는 것처럼 비친다”고 말했다.
친박계였다가 지금은 박 대통령과 멀어진 전 의원 A씨는 “유승민은 대통령이 직접 공격하고, 김무성은 친박계가 대통령의 뜻을 받들어 대리전을 치르는 양상이다. 두 사람을 내치는 데 ‘박심(朴心, 박 대통령 의중)’이 작용하느냐는 논란이 있는데, 박심이 실렸음은 유치원생도 다 알지 않느냐”고 했다.
그러나 김무성과 유승민, 두 사람은 박 대통령과 각을 세우는 일을 피한다. 되도록 말을 아낀다. 두 사람이 현 정국 및 총선 공천과 관련해 어떤 말을 하는지 들어봤다. 두 사람은 특정 언론과 대면 인터뷰를 거의 하지 않는다. 전화 통화로 대화를 시도했다.

“국민의 권한”
김 대표는 11월 14일 저녁 전화 통화에서 “얘기하지 않겠다”는 말을 되풀이했다. 다만 청와대의 뜻보다는 국민의 뜻이 더 중요하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 홍문종 의원의 이원집정부제는 결국 김 대표가 지난해 10월 상하이에서 언급한 ‘오스트리아식 이원집정부제’와 같은 것 아닌가요?
“그렇죠.”

▼ ‘반기문 대통령-친박 총리론’이 ‘김무성 견제’ 차원이라고 봅니까.
“나는 모르겠어요. 말하지 않겠어요.”



▼ 유승민 의원 등을 겨냥한 ‘TK 물갈이론’에 대해선 어떤 생각인지요.
“지금도 대통령의 의중을 못 읽고 있는데…사실 물갈이는 국민만이 할 수 있는 것 아닌가요? 국민의 권한인 거죠. 다른 데는 권한이 없어요.”
여기서 ‘다른 데’는 아마 청와대를 지칭하는 말일 것이다. 즉, ‘청와대는 공천 물갈이를 할 권한이 없다’는 의미다.

“저야 모르죠, 대통령 마음을”
같은 날 통화가 된 유승민 의원도 비슷한 반응을 보였다. 11월 7일 타계한 유 의원의 부친 유수호 전 의원 빈소엔 여야 현역 국회의원 113명이 다녀갔다. 새누리당 의원 159명 가운데 102명이 조문했다. 유 의원은 상중(喪中)임에도 전화 통화에 응했다.

▼ TK 물갈이가 박 대통령의 속마음이라고 봅니까.
“저는 전혀 할 말이 없어요. 아직 상중인데 정치 얘기를 하는 건 옳지 않고, 당분간은 말을 안 하려 해요.”

▼ ‘공천이 부당하게 되면 가만있지 않겠다’고 했는데요.
“그 말을 한 뒤에 공천 문제에 대해선 일절 말을 하지 않아요. 지금은 공천 룰이 정해진 것도 아니잖습니까. 각자가 떠들기만 하는 상황이라 어떻게 되는지 지켜봐야겠죠(유 의원은 원내대표직 사퇴 파동 때 자신의 편에 선 대구 지역 초선 의원 7명 등이 공천에서 불이익을 받으면 가만있지 않겠다는 말을 한 바 있다).”

1/3
허만섭 기자 | mshue@donga.com 송국건 | 영남일보 서울취재본부장 song@yeongnam.com
목록 닫기

김무성 “국민 외엔 물갈이 권한 없다” 유승민 “김무성 공천 룰 지지”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