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씨의 남편인 강모 변호사는 법조인 집안의 일원이다. 그의 부친은 이름만 대면 누구나 알 만한 변호사. 강씨는 어릴 때부터 법대 진학을 당연하게 여겼고, 대학에 들어가자마자 사법시험을 준비해 두 번의 실패 끝에 합격했다. 검사생활 7년째 되던 해 변호사 사무실을 개업했다.
두 사람은 중매로 만났다. 강남의 유명 ‘마담뚜’가 다리를 놨다. 시작은 중매였지만, 과정은 연애결혼과 다를 바 없었다. 무엇보다 자라온 환경이나 부모와 자신들의 사회적 지위가 비슷해 말도 잘 통했고 취미며 관심사도 잘 맞았다. 그래서인지 결혼 10주년을 눈앞에 둔 지금도 서로를 아주 만족스러워한다. 두 사람은 초등학교 1학년인 딸과 강남의 50평대 아파트에 산다.
김씨는 교육열도 남다르다. 올봄 딸아이를 상류층 자제가 많이 다닌다는 사립 초등학교에 어렵사리 입학시켰다. 김씨도 사립 초등학교를 나왔다. 딸은 지난해까지 영어 유치원과 어린이 레포츠클럽에 다녔다. 영어 유치원 수업료는 월 80만원. 레포츠클럽은 연회비가 350만원이지만, 해외 연수 등 다양한 이벤트에 참가할 때는 따로 돈을 내야 했으므로 실제로는 1년에 1000만원 정도 들었다. 이젠 ‘국제적 수준의 문화적 소양’을 학교에서 가르쳐준다고 하니 김씨로서는 여간 마음 편한 게 아니다. 중학교부터는 외국으로 유학을 보낼 계획이다.
그는 상류층 사교클럽인 S클럽 멤버다. 어렸을 적부터 드나든 클럽이라 이젠 집처럼 편안하게 느껴진다. 고만고만한 수준의 사람들과 외국 대사, 기업인들을 많이 접할 수 있어 온종일 병원 울타리에 갇혀 지내는 김씨로선 인맥 쌓기에 그만이다. 특히 엄마를 따라온 아이가 자연스럽게 영어를 배울 수 있다는 점도 마음에 든다. 일요일이나 휴가 때는 가족과 함께 RV를 몰고 교외로 놀러간다. 차를 살 때 RV를 선택한 이유는 단 하나. 가족의 안전을 위해서였다.
여가시간은 꼭 가족과 함께 보내려고 노력한다. 가끔 친구나 동료들과 어울리지만 밤 늦게까지 과음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회식이 있어도 저녁식사에 와인 한 잔 곁들이는 정도다. 약속이 없는 저녁이나 주말에는 멤버십 피트니스센터나 수영장 등에서 운동을 한다.
돈, 명예, 문화적 소양
하지만 여가시간에 레저만 즐기는 것은 아니다. 1년에 두세 차례 의료봉사활동을 떠나기도 한다. 그때마다 딸을 데려간다. 지난해에는 외국의 오지 마을로 딸과 함께 의료봉사를 다녀왔다. 딸이 눈물을 글썽거리며 “나도 커서 불쌍한 사람들 도와줄거야”하고 말하는 것을 보고 마음이 뿌듯했다. 김씨는 틈만 나면 딸에게 “우리가 가진 것을 어려운 사람들에게 나눠주며 살아야 한다”고 말해준다.
돈은 많이 벌지만, 꼭 필요한 물건이 아니면 잘 사지 않는다. 사실 돈을 쓰고 다닐 시간적, 심적 여유가 없다. 그래서 옷도 주로 단골집에서 맞춘다. 구입한 옷을 집이나 직장까지 배달해주니 편하다. 물론 좋아하는 브랜드만 입는다. 유행을 쫓는답시고 익숙지도 않고 비싸기만 한 옷을 살 생각은 없다.
김씨는 “내가 한국의 상류층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그저 돈만 많은 졸부는 아니다”고 잘라 말했다. 어쩌다 운이 좋아 벼락부자가 된 게 아니라 할아버지대부터 열심히 노력해서 부를 축적했다는 것이다. 물론 자신도 의사가 되기까지 엄청난 노력을 쏟아부었고, 지금도 환자들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다른 병원보다 진료나 서비스의 질이 떨어진다는 것은 자존심 때문에라도 용납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는 “돈과 명예,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이를 사회에 환원할 줄 알아야 진정한 상류층”이라며 “그런 상류층이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