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여정부 출범과 더불어 예총의 위상과 역할은 그 어느 때보다도 위협을 받고 있다. 문화관광부 소속기관 및 단체장에 민예총 계열 인사들을 대거 인선한 것만 봐도 알 수 있지 않나. 현정부는 문화계마저 코드 인사로 얼룩지게 할 생각인가.”(성균관대 정진수 교수)
10월7일 서울 장충동 소피텔 앰배서더호텔에서 열린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이하 예총) 정기 심포지엄은 예총 관계자 300여 명이 참가해 한 목소리로 현 정부의 인사정책과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이하 민예총)의 급부상을 성토했다. 이날 심포지엄 주제는 ‘참여정부에서 예총의 위상과 역할’‘중심을 잃어버린 우리의 문화예술단체들’로 최근 예총의 위기감을 말해주었다. 심포지엄의 주제 선정과 관련해 박주순 예총 사업과장은 “현 정부의 편파인사가 극에 달하면서 이를 묵인해선 안 된다는 분위기가 형성됐다”고 설명했다. 지난 40여 년 동안 문화예술인들의 구심점이었던 예총이 이처럼 위기감에 휩싸인 까닭은 무엇인가.
참여정부 출범 6개월이 지난 지금 문화계는 예총과 민예총으로 대변되는 보수·진보 단체간 갈등이 표면화되고 정부 인사정책에 대한 불만이 곳곳에서 분출되는 등 분란에 휩싸였다. 9월19일에는 차범석 예술원장을 비롯해 정진수, 윤호진, 유인촌, 심재찬 등 연극계 원로와 중진으로 구성된 100명이 문화관광부(이하 문광부) 문화기관단체장 편파인사와 문화예술진흥원(이하 문예진흥원)의 문화예술위원회(이하 위원회)로의 전환을 반대하는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정부가 민예총이라는 특정 조직의 구성원 일색으로 문화기관 단체장을 인선하는 것은 정치권력을 이용해 예술계를 편 가르기 하려는 의도가 아니냐”며 “문예진흥기금을 배분하는 문예진흥원을 위원회로 바꾸면서 기금마저 특정세력이 독점하려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정기 국정감사에서도 문예진흥원과 문화부 산하 단체장 인사 문제가 도마에 올랐다. 15, 20, 21대 예총 회장을 역임한 한나라당 신영균 의원은 “현재 진보계열인 민예총 중심의 문화계 판짜기가 이루어지고 있다”며 “이창동 장관이 부임한 후 편 가르기식 편중인사로 문화예술계의 분열과 대립이 심화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40년 예총시대 막 내리나
1962년 문화예술인들의 친목과 권익옹호를 위해 창립된 예총은 음악협회·국악협회·문인협회·사진작가협회·연예협회·미술협회·연극협회·건축가협회·무용협회·영화인협회 등 10개 회원단체, 전국 시도에 100여 개 지부, 회원수 15만에 이르는 거대 단체다.
그러나 예총의 전신인 전국문화단체총연합회(1947년 결성) 시절까지 거슬러 올라가면 반세기가 넘는 세월 동안 예총이 문화계에 군림하면서 지나치게 ‘권력’과 가까워졌다는 비판도 받고 있다. 일단 문화부 산하 문예진흥원장 등 주요 문화예술단체장은 예총 출신이 독식하다시피 했고, 현역의원인 한나라당 신영균 의원 외에 16, 17대 조경희 회장(예술원 회원)이 노태우 대통령 시절 정무장관을 지냈고, 19대 강선영 회장은 예총회장 시절 민자당 전국구로 14대 국회의원(현재 한나라당 상임고문)을 지내는 등 예총 회장 자리가 정계 진출의 발판처럼 인식돼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