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황호택 기자가 만난 사람

신년음악회 지휘한 세계적 마에스트로 정명훈

“지휘 때마다 暗譜… 그래도 언제나 未完”

  • 글: 황호택 동아일보 논설위원 hthwang@donga.com

신년음악회 지휘한 세계적 마에스트로 정명훈

1/8
  • ● 재능 탁월한 한국 음악가 많지만, 오케스트라는 세계 수준에 한참 미달
  • ● 아이들이 자신에 맞는 재능 찾아 스스로 결정할 때까지 기다려라
  • ● 클래식에서 팝으로 넘어가는 건 부정적… 팝에서 클래식으로 오는 게 좋다
  • ● 음악과 요리 모두 즐기는 나는 행복한 사람
  • ● 소리 내야 음악가이지 막대기 하나 휘두른다고 음악가인가
  • ● 하나부터 아홉까지는 가족, 음악은 열 번째
신년음악회 지휘한 세계적 마에스트로 정명훈
마에스트로 정명훈(51)을 좋아하는 한국 팬이 많다. 2004년 신년음악회가 열린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엔 단 한 곳도 빈 자리가 없었다. 브람스 교향곡 1번 연주가 끝나자 박수 갈채가 2∼3분 동안 홀을 메웠다.

정명훈은 스승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의 특기였던 브람스 교향곡 1번을 10년 넘게 연구하며 자신의 브람스를 만들어가고 있다. 브람스가 21년에 걸쳐 작곡한 교향곡 1번은 고난을 극복하고 승리하는 희망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정명훈도 2004년을 맞은 조국의 동포들에게 희망을 전하고 싶었던 것일까.

정명훈은 서울에 오면 북한산 자락에 있는 구기동 빌라에 머문다. 같은 층에 누나 정명화(첼리스트·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씨와 처형이 산다. 원래 신년음악회 다음날 빌라에서 인터뷰를 하기로 약속했으나 정명훈의 가족 행사 때문에 장소가 바뀌었다. 인테리어에 조예가 깊은 부인이 꾸며놓은 집 구경을 하고 인터뷰가 끝난 뒤 이른바 ‘정명훈 요리’를 감상할 기회가 오지 않을까 은근히 기대했으나 어그러져 아쉬웠다.

유럽에서 주로 활동하는 정명훈은 프랑스 프로방스에도 그림처럼 아름다운 집을 갖고 있다. 집 앞으로는 올리브 농장이 펼쳐지고 뜰에는 요리 재료를 재배하는 텃밭이 있다.

인터뷰는 구기동 집 근처 가나아트센터에서 진행됐다. 같은 장소에서 한 시간 앞서 YTN 백지연씨가 정명훈을 인터뷰했다. 중복되는 질문을 피해 보려는 생각에서 “방청할 수 있겠느냐”고 묻자 백씨는 “방송국 스태프 외에 다른 사람이 있으면 긴장한다”며 완곡하게 사절했다.



정씨가 인터뷰를 하는 동안 바로 옆 레스토랑에서는 부인 구순열씨가 재즈 기타리스트인 둘째아들 선(21), 이모인 박용길 장로(고 문익환 목사 부인) 등과 함께 차를 마시고 있었다. 한 시간 가량 기다리자 정명훈이 백지연 인터뷰를 끝내고 우리 자리로 왔다.

“세계 수준 되려면 20년 걸린다”

-어제 예술의전당에서 신년음악회 지휘하는 걸 봤는데요. 감동적이었습니다. 브람스 교향곡 1번을 선택한 특별한 이유가 있습니까.

“클래식 음악은 기막히게 좋은 곡이 너무 많아 고르기 힘들어요. 한국의 오케스트라를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곡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했습니다. 코리안 심포니 오케스트라는 작년에도 지휘를 해봤습니다. 브람스의 곡을 리허설하면서 단원들과 깊이있는 음악적 소통을 할 수 있었습니다. 이틀간 리허설 했는데 기대한 것보다 훨씬 좋았습니다. 연습기간이 짧고 자주 지휘하는 오케스트라가 아닌데도 연주가 아주 잘됐습니다.”

-한국 오케스트라의 수준을 세계 수준과 비교하면 어떻습니까.

“세계 수준과는 아직 비교할 수 없지요. 한국에는 개인적 재능이 탁월한 음악가가 많지만 오케스트라는 세계 수준에 미치지 못해요.”

여기까지 말했을 때 옆자리에 있던 형 명근씨가 “너 그 이야기 할 때는 조심해야 돼”라고 영어로 동생에게 주의를 주었다. 명근씨는 서울에서 음악공연 비즈니스를 하는데 명훈의 한국·일본 지역 매니지먼트를 겸하고 있다.

“오케스트라 하나를 제대로 키운다는 게 여간 힘든 일이 아닙니다. 지휘자도 탁월해야 하고 서포트하는 매니지먼트도 중요합니다. 정부나 대기업에서 훌륭한 오케스트라를 키우겠다는 의지를 가져야 합니다. 매년 올 때마다 조금씩 나아지고는 있어요.”

-세계 수준에 비해 한참 미달이라는 말입니까.

“그렇죠.”

-한국 오케스트라 발전을 위해 일해보고 싶은 생각은 없습니까.

“늘 그런 생각을 갖고 있었어요. 그런데 나이가 들수록 책임지는 자리는 힘듭니다. 88올림픽을 2년 앞둔 1986년에 정부에서 세계적인 오케스트라를 만들어줄 수 있겠냐고 묻더군요. 절대 불가능하다고 답했죠. 내가 원하는 조건을 다 들어주더라도 세계 수준의 오케스트라를 만들려면 20년이 걸린다고 말했죠. 일본 수준까지 가려면 10년이 걸리고요. 지금 다시 그 질문을 받더라도 똑같이 말할 겁니다.”

1/8
글: 황호택 동아일보 논설위원 hthwang@donga.com
연재

황호택기자가 만난 사람

더보기
목록 닫기

신년음악회 지휘한 세계적 마에스트로 정명훈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