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밀착 취재

여권의 총선 출마자 영입 비화

“엄 앵커, 역사에 몸을 던집시다”

  • 글: 송국건 영남일보 정치부 기자 song@yeongnam.com

여권의 총선 출마자 영입 비화

1/4
  • 열린우리당은 총선 승리를 위해 ‘뉴 페이스’ 영입에 혼신의 힘을 다하고 있다. 그 정점에 노무현 대통령이 있다고 한다. 노 대통령측은 3월 중순 ‘정동영 바람’이 주춤해질 경우 ‘2차 총선 올인 전략’을 기획하고 있다는데….
여권의 총선 출마자 영입 비화

고위공직자 총선 징발령 얘기가 나오는 가운데 노무현 대통령 부부(앞줄 가운데)는 1월 25일 국무위원 및 대통령 수석비서관들과 함께 청와대 뒤 북악산을 등반했다.

“심청이 죽을 줄 알면서도 아버지를 위해 인당수에 뛰어든 것처럼 필요하다면 죽더라도 총선에 다 뛰어들어야 한다는 게 대선 공신들의 생각이다.” 2003년 2월 노무현 대통령이 공식 취임하기 직전 대통령직인수위에 있던 배기찬 전 청와대 행정관(대구 북을 출마)이 밝힌 ‘인당수론’이다.

노 대통령의 또다른 386측근도 당시 “대선 승리는 절반의 성공에 불과하다. 국회에서 입법권을 확보해야 참여정부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선 승산에 관계없이 일단 많은 사람을 데려와 총선에 투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의 17대 총선 ‘올인’ 전략은 2002년 말 대선 승리 직후부터 구상되고 있었다. 특히 취임 이후 측근비리와 불법 경선·대선 자금 문제 등으로 일다운 일을 제대로 해보지도 못하고 특검과 청문회 공세에 시달리다 보니 총선 올인의 필요성은 더욱 절실해졌다.

올인의 핵심은 ‘인당수론’에서도 알 수 있듯 ‘가용 인력 총동원령’이다. 노 대통령의 인재 풀이 워낙 빈약한 데다, 민주당마저 떨쳐내고 열린우리당을 만든 상황에서 조금이라도 경쟁력이 있어 보이는 주변인물은 모두 선거에 징발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여권 지도부에서 형성됐다. 노무현 대통령후보 정무특보를 지낸 염동연씨가 2004년 2월9일 청와대 문재인 당시 민정수석, 정찬용 인사수석, 강금실 법무장관, 이창동 문화관광장관 등 총선에 나서지 않으려는 인사들을 “악처” 운운하며 신랄하게 비판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여권 올인 전략의 최상층부에는 누가 뭐래도 노 대통령이 있다. 염 전 특보는 자신의 발언에 노 대통령의 의중이 실려 있는 것이냐고 묻자 “그럴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의 뜻에 따라 총선 총동원령을 실무적으로 지휘하고 있는 열린우리당 이강철 영입추진단장에게 염 전 특보의 발언에 대한 생각을 물었다. 이 단장은 “맞는 말 아니냐”고 맞장구쳤다. 이것이 노 대통령과 핵심측근들 사이의 기류다. 이 단장은 “대통령이 어려울 때 도와야 하고, 당에위기감이 팽배한 상황에서 스스로 (출마) 결심을 해줬어야 했다”고 덧붙이기까지 했다.



그렇다면 노 대통령은 총선 올인을 위해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했을까. 이 단장은 “대통령이 누구 누구를 지목해 이들을 접촉해 보라는 식의 지시는 하지 않았다”면서 “낯을 가리는 노 대통령의 성격상 사람을 앞에 앉혀 놓고 정색을 하면서 출마를 권유하지도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여권의 한 핵심 관계자는 노 대통령이 강금실 장관과 문재인 수석 등에게 직접 출마를 권유했다는 보도에 대해 “하도 말들이 많으니까 농담삼아 ‘열린우리당이 그렇게 원하는데 출마해보지 그러느냐’는 정도의 말은 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강금실 장관이 노 대통령과 담판을 하는 자리에서 ‘출마하느니 차라리 장관을 그만두겠다’고 배짱을 내밀었다는 일부 보도에 대해서도 그는 “서로 농담조로 한 이야기”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노 대통령이 ‘비중이 큰’ 일부 영입대상 인물에 대해 직간접적으로 출마를 권유했다는 정황은 곳곳에서 확인되고 있다. 출마하지 않겠다고 버티는 몇몇 인사들에게 대통령이 농담조로 한 말도 당사자들에게는 큰 압력으로 느껴졌을 것이다.

문재인 전 수석은 2월12일 사퇴의사를 밝히는 기자간담회 자리서 ‘대통령이 직접 출마를 권유했느냐’는 물음에 “명시적으로 권한 적은 없다”면서도 “최근 저와 정찬용 인사수석에 대해 출마를 바라는 내외부의 분위기가 높았고, 감당하기 힘들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저와 정 수석은 대통령에게 출마할 뜻이 없다고 말했으며, 대통령도 양해했다”고 덧붙여 노 대통령과 출마 문제를 놓고 이야기를 나눴음을 확인해 주기도 했다.

또 열린우리당 간판으로 대구 수성을 출마가 확정된 윤덕홍 전 교육부총리의 경우 노 대통령에게 직접 출마를 권유받았음을 실토한 바 있다. 윤 전 부총리는 2003년 12월17일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대학수학능력시험, 학생부CD 파문 등에 책임을 지고 취임 9개월 만에 퇴진하면서 “대통령과 열린우리당에서 (총선에 출마해) 도와달라고 했지만 대통령에게 ‘소질이 없다’고 말했다”고 털어놓았다.

1/4
글: 송국건 영남일보 정치부 기자 song@yeongnam.com
목록 닫기

여권의 총선 출마자 영입 비화

댓글 창 닫기

2023/04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