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3월호

‘탈북자 인터넷방송국’ 대표 김성민

글자크기 설정 닫기
‘탈북자 인터넷방송국’ 대표 김성민
“탈북자들의 삶을 이야기할 수단이 있었으면 하는 욕심을 갖고 있었습니다. 우리 목소리가 전달되어 북한 민주화를 앞당기고자 하는 것이 보다 큰 꿈이고요.”

2월16일 시험방송을 거쳐 4월15일 정식개국을 준비하고 있는 인터넷방송국 ‘자유북한방송(www.freenk.com)’의 대표 김성민(탈북자 모임 백두한라회 회장)씨의 말이다. 북한에는 인터넷 사용자가 드물지만 이들이 제작하는 프로그램은 VOA(미국의소리)나 RFA(자유아시아방송)의 라디오 전파를 통해 북한에도 송출될 예정이다.

김 회장이 인터넷방송을 만들기로 결심하게 된 건 지난해 8월 미국 RFA 본사를 방문하고 나서. 미국 정부가 지원하는 대북방송의 예산과 방송시간이 크게 늘어난 것을 보고 필요한 콘텐츠가 더욱 늘 것으로 판단했다고 한다. 겨울부터 본격적으로 준비한 서울 양천구 신정동의 20평 남짓한 사무실에는 2월 중순 방송장비 설치가 완료됐다.

“지난 설날에는 갈 곳 없는 탈북자들이 모여 페인트칠을 했습니다. 2000만원 남짓의 비용도 대부분 이들의 성금으로 충당했고요. 큰 뜻을 위해 만드는 공간이지만 저희들의 사랑방이라는 의미도 큽니다.”

지난 1999년 남한에 내려온 김 회장은 K-TV 등에서 방송경험을 쌓은 데다 최근에는 진행요원 두 사람이 몇몇 PD들로부터 아나운서 훈련도 받고 있어 “방송진행에는 나름대로 자신 있다”며 웃어 보였다.



“고민이라면 관계당국의 반응이 곱지 않다는 겁니다. ‘공연히 왜 그런 걸 만들어 시끄럽게 하느냐’는 거죠. 그런 걱정이 기우가 될 수 있도록, 불만을 쏟아내는 방송이 아니라 일반인도 함께 즐길 수 있는 방송을 만들기에 노력하겠습니다.”



He & S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