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셔널리즘<br>강상중 지음/ 임성모 옮김<br>이산/ 224쪽/ 1만2000원
과거 역사를 둘러싸고 동아시아 삼국 사이에 분쟁이 발생하는 것은 이 책의 제목으로도 사용된 ‘내셔널리즘’의 작용과 반작용 때문이다. 재일교포 신분으로 일본 도쿄대학 정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저자는, 이 책에서 ‘내셔널리즘’ 일반이 아니라 메이지유신 이래 국민 동원 논리로 사용되고, 전후 미국과의 담합으로 재생산되어 냉전 해체 이후 새로운 논리로 재등장한 일본의 ‘국체(國體) 내셔널리즘’의 허구성과 기만성을 폭로 해체하려 한다.
이 책의 1부에서는 내셔널리즘이란 서구에서 국민국가가 등장한 근대 이후 나타난 특유의 현상으로서 국민/조국을 창출하는 ‘구원’의 논리이기도 하지만, 눈에 보이는 ‘가짜 자국민’으로부터 강박관념적으로 ‘진짜 자국민’을 창조하는 ‘병리적’ 현상이라고 파악한다. 일본의 경우 내셔널리즘은 “근대로의 전환기에 한반도의 왕권보다 우월하고 그것을 종속시킨 왕권으로서 ‘천황’ 칭호를 붙인” 공동체인 ‘국체’를 중심으로 구성되면서 ‘국체 내셔널리즘’이 성립됐다.
만들어진 ‘국민’
2부에서는 ‘국체 내셔널리즘’의 흐름을 크게 다섯 단계로 나누고 있다. 제1계기는 18세기 후반 국학자 모토오리 노리나가(本居宣長)에 의한 원형 창출기다. 그의 국학은 ‘타고난 진심’을 본성으로 하는 ‘감성적 낙관주의’를 취하고 있으며 고유 일본어로서 야마토말의 원형을 추출하여 일본어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고 한다. 이는 제2계기인 1880∼90년대의 ‘대일본제국헌법’ ‘교육칙어’ 등을 통해 천황을 창출하는 기초적 원리로 원용됐다.
제3계기인 1930∼40년대에는 국체가 광신적인 ‘비종교적 종교’로 등장하는데 이때의 국체 담론은 ‘서양의 개인본위사상’을 거부하고 국체의 순화를 통해 국가공동체의 결속을 이뤄야 한다는 주장을 담고 있었다. 그러나 이때의 ‘국체 명징’ 담론은 서구화=문명개화에 대한 맹종만 비판한 것이 아니라 완고한 ‘국수주의’도 비판하면서 구미문화의 섭취 순화에 힘쓰자고 해 오히려 ‘진보’ 또는 ‘진화’를 지향하고 있었다는 점을 놓쳐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제4계기는 패전 이후 1980년대까지다. 현인신(現人神)으로까지 받들어졌던 천황=국체는 패전과 항복으로 단절된 듯하지만, 미국과의 담합적 협조에 의해 ‘천황제 민주주의’라는 ‘상징적 군주제’ 형태로 ‘국체’ 전통을 존속시켜 국민의식 속에 제국의식의 잔존을 허용하였다고 한다. 그리하여 ‘국체’는 전후에 다양한 내셔널리즘 담론을 형성하게 만들었고, 저자는 이를 서너 명의 대표적 지식인의 담론 분석을 통해 보여준다.
첫째, 일본 국민의 실체는 동일한 언어·습속·역사·신념 등을 가진 문화공동체로서 늘 천황의 형상으로 살아 있는 전체성을 표현해왔다는 문화공동체적 국체론. 둘째, 천황제는 일본 민족의 결합을 근원적으로 지탱해왔으며 군민(君民) 일체의 일본 민족공동체가 지닌 불변의 본질이라고 보는 공동체 민주주의적 국체론. 셋째, 점령국 미국에 의해 국체가 조직적으로 파괴되어 허위의 역사를 살게 되었다는 국체 파괴론. 넷째, ‘국체’의 생리와 병리를 철두철미 비판하면서도 ‘허구의 민족성’으로서의 일본인의 역사적 정체성을 견지하고 좀더 순화된 근대를 민주주의에 의탁하는 형태로 실현하려 한 영구혁명론 등이 그것이다.
이 중에서 국체 파괴론은 제5계기인 1990년대 이후 냉전 해체와 세계화 담론이 지배하는 현재까지 살아남아 일본의 아시아 침략을 합리화하는 네오내셔널리즘을 등장시켰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