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주인의 주 생활무대인 광채와 뒷마당. 가지런히 널린 빨래와 장독대가 풍요롭게 느껴진다.
학봉의 애국심은 직계 후손들과 제자들에게 전승됐다. 학봉의 학통을 이어받은 제자이자 11대 종손인 서산 김흥락(西山 金興洛·1827∼99)은 항일독립운동에 가담해 정부로부터 훈장을 받은 제자 60여명을 배출했다. 이들 중에는 학봉의 직계 후손이 11명이나 된다. 또한 학봉의 13대 종손 김용환(金龍煥·1887∼1946)은 일생을 항일운동에 바치기로 작심하고 대대로 내려오던 전답 700두락, 18만평의 전재산(현 시가로 180억원)을 독립군 자금으로 내놓았다.
이처럼 국가를 위해 물심양면 애국심을 보인 학봉종가의 정신은 ‘현재진행형’이다. 초·중·고교 교사들을 유난히 많이 배출했는데, 집안에 교장만도 무려 30여명이나 된다. 아마도 그의 후손들은 전통사회에서 산업사회로 변화하는 조국을 위해 선비 집안의 후손이 할 수 있는 가장 뜻 있는 일로 후학 양성을 꼽았던 것이 아닐까.

①②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안경과 가죽신발 등 선조의 유품들.<br>③손님에게 내놓은 소박한 다과상. 안동식혜가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