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 한쪽 면도 책으로 빼곡하다. 법학서적, 문학서적, 통일·국제 문제 관련 서적이 많았다. 독일어, 영어 원서도 눈에 들어왔다. 누가 보내준 책들이 아니었다. 주인의 손때가 묻어났다.
“내 몸부터 반듯하게 한다”
권 의원은 집에도 그만큼의 책을 쌓아놓고 있다고 했다. 어려서부터 책 읽는 것을 좋아했다고 한다. 초등학교 3학년 때 동네 도서관의 책을 모두 읽어버리겠다고 결심했고, 이를 그리 길지 않은 기간에 이뤄냈다. 축약본이긴 해도 ‘제인에어’ ‘테스’ ‘쿼바디스’ 같은 문학서를 초등학생 시절 섭렵했다고 한다.
권 의원은 스타일리스트다. 머리는 기름을 발라 반듯하게 ‘올백’으로 빗어 넘겼다. 단정한 헤어스타일과 어울리는 금테 안경이 영리해 보이는 눈매 위로 반짝반짝 빛난다. 스트라이프 와이셔츠에 깔끔한 넥타이 차림이다. 주말, 휴일이면 마흔일곱 나이가 무색하게 진 바지에 감각 있는 재킷 차림으로 당사에 나타날 때가 많다. 당내 남성 의원들 가운데 그의 패션 감각은 수준급으로 꼽힌다.
“너무 부담스러워 보인다”며 헤어스타일을 바꿔보라는 주문도 들어온다고 한다. 그러나 그는 고개를 내젓는다.
“머리카락이 굵다 보니 이렇게 하지 않으면 뻗쳐서 엉망진창이 된다. 외모가 단정하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것을 천성적으로 싫어한다. 내 몸부터 반듯하게 하지 않으면 일이 안 된다.”
그의 이력은 그런 외모와 닮아 있다. 그는 모범생이었다. 4남3녀 중 여섯째로 태어나 식구들의 귀염을 받으며 컸다. 아버지는 고위 공무원을 지내다 5·16 군사정변 이후 공직을 떠나 개인 사업을 했다고 한다. “부유하지는 않았지만 그렇다고 가난했다고는 할 수 없는 어린 시절을 보냈다”고 그는 회고했다.
도서관을 좋아하던 소년 권영세는 1977년 서울대 법대에 들어갔고 1983년 사법시험에 합격했다. 이후 잘나가는 공안검사가 됐다. 군더더기 없이 깔끔한 인생이다. 어찌 보면 그의 표현대로 “인토네이션(intonation·억양) 없는 삶”일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