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현지 취재

연해주 고려인 농업정착촌에 영그는 ‘발해의 꿈’

“러시아인에겐 몹쓸 땅, 한국인에겐 온통 씨 뿌릴 땅”

  • 이경숙 머니투데이 기자 nwijo@naver.com

연해주 고려인 농업정착촌에 영그는 ‘발해의 꿈’

1/5
  • 연해주는 한국인에게 기회의 땅이 될 수 있을까. 러시아와 협력을 강화하고 북한의 노동력을 활용하면 극동지역에 새로운 평화의 싹이 틀 수 있을까. 그간 한국이 외면해온 고려인의 자활을 돕는다면 라시아에 퍼져 있는 한인 네트워크가 활성화될 수 있을까. 이런 의문을 풀기 위해 러시아 극동지역을 취재했다. 결론은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것!
연해주 고려인 농업정착촌에 영그는 ‘발해의 꿈’
눈길이 닿는 곳에 움직이는 것이라곤 새들뿐이다. 끝없이 이어지는 초원에 바람이 불자 지평선이 파도처럼 출렁인다. 차라리 수평선 같다. 모두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은 곳이다. 이 땅은 예나 지금이나 한반도인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어떤 이는 이 땅에 씨를 뿌리러 왔고, 어떤 이는 이 땅에서 사람을 키우러 왔다. 여기는 두만강을 사이에 두고 북한과 맞붙어 있는 땅, 러시아 연해주 우수리스크다.

6월3일, 울퉁불퉁한 비포장도로를 달린 끝에 우수리스크 우정마을에 도착했다. 일행 10여 명의 직업은 다양하지만 목적은 하나, ‘고려인 정착 지원’이다. 사회연대은행 이종수 운영위원장은 고려인 농업정착을 위한 마이크로크레디트(소액자금 대부) 기금 4만달러를 전달하러 왔다. 김규회가정의학과의 김규회 원장과 의료봉사대는 고려인 다수가 앓고 있는 당뇨병을 치료하러 왔다. 동북아평화연대를 통해 고려인 정착을 후원하는 회원들도 현장을 둘러보러 왔다. 차에서 내린 한 회원이 허리를 펴면서 한마디 던진다.

“아이고…강남 아줌마 한 트럭 실어와서 보여주면 엄청 좋아하겠네.”

농사의 씨앗, 사람의 씨앗

외지인이 연해주 땅에 서면 일단 두 가지에 놀란다. 하나는 광활함이요, 또 하나는 예상외로 기름진 흙이다. 땅 좁고 사람 많은 한국에서 온 사람에겐 이런 땅이 비어 있다는 것이 그저 신기할 따름이다. 연해주에서 3년째 고려인 정착을 지원하는 동북아평화연대 김현동 사무처장이 지평선 끝을 가리키며 말한다.



“러시아 사람들이 보기엔 몹쓸 땅이지만, 한국 농민들이 보기엔 온통 씨 뿌릴 땅이죠.”

1863년, 기근을 피하기 위해 조선인 13가구가 두만강을 건너 이곳에 와 씨를 뿌렸다. 이때부터 한인의 연해주 농사가 시작됐다. 조선왕조의 금지령에도 1867년까지 999명의 한인이 삶의 터전을 찾아 연해주로 흘러들었다.

1907년 이후엔 독립운동가들이 들어와 ‘사람의 씨’를 뿌렸다. 고종의 헤이그 특사 이상설 선생,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한 안중근 의사와 단지(斷指)혈맹 단원들이 연해주를 근거로 운동가를 양성했다. 이들이 유라시아 고려인의 시조다.

지금도 북한 주민들은 이 땅의 ‘기회’를 부러워하며 국경을 넘으려 한다. 그런데도 탈북자 수는 늘지 않는다. 김 처장은 “중국과 맞닿은 두만강은 폭이 좁지만, 러시아쪽 강폭은 수백m에 달한다”며 “운 좋게 강을 건너도 넓은 평원에서 길을 잃고 헤매다 러시아 경찰에 잡혀 탈북자 수용소로 압송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항공권과 여권이 있는 남한 사람에게 연해주는 활짝 열려 있다. 인천공항에서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 공항까지 비행기로 2시간20분, 블라디보스토크 공항에서 차를 타고 2시간만 달리면 우수리스크의 평원에 도착한다. 다 합쳐봐야 서울에서 부산까지 새마을호를 타고 가는 시간과 비슷하다. 항공료(90만원)가 비싸다면 배편(30만원)을 택해도 된다. 속초항에서 배로 17시간, 육로로 2시간 도합 19시간 만에 연해주에 도착한다.

강제이주 때 어린이 60% 사망

연해주에 발을 디딘 순간, 눈앞에 별천지가 펼쳐진다. 이곳은 사람보다 땅을 빌리는 게 더 쌀 만큼 땅이 넓다. 러시아 인부의 하루 일당이 우리 돈으로 1만원 안팎인데, 땅 1㏊(3000여 평)를 1년 빌리는 데엔 고작 1000원이다. 매입가는 1㏊에 300만∼400만원.

1/5
이경숙 머니투데이 기자 nwijo@naver.com
목록 닫기

연해주 고려인 농업정착촌에 영그는 ‘발해의 꿈’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