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Political Correctism

Political Correctism

2/6
컴퓨터의 glitch(전류의 순간적 이상으로 인한 사소한 고장)로 인해 ‘Smoking Room(흡연실)’이 ‘Smorking Room’으로 되었다고 치자. 하지만 Disabled Elevator(고장 난 승강기)는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아마 장애인용(for the Disabled·Resereved for the Disabled)을 그렇게 오역(誤譯)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러한 오역은 영어를 우리말로 옮기는 데도 나타난다. physically challenged·visually(=optically) challenged·vertically challenged·horizontally challenged·melanin challenged·mentally challenged·financially challenged 등을 우리말로 어떻게 옮겨야 정확할까?

the physically challenged를 대표적인 예로 살펴보자. 우리나라의 모든 인쇄매체(특히 신문기사나 교수들의 칼럼)에서 ‘신체적으로 도전받는 자’라고 일관되게 번역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명백한 잘못이다.

‘신체적으로 도전받는 자’라는 우리말을 보자. 그 주체가 누구이고 그 객체가 누구인가? 주체는 장애인이고 객체는 정상인이 된다. 다시 말해서 the disabled who are physically challenged by the able-bodied(정상인에게 신체적으로 도전받는 장애인)가 된다. 도전이란 ‘자기보다 나은 수준의 강자 또는 어려움에 싸움을 거는 것’이다. 이러한 번역은 명백히 장애인에 대한 차별이다. 이러한 번역은 PC용어의 목적과 취지에 정면으로 배치된다.

‘the physically challenged’의 바른 의미는 ‘신체적 결함에 스스로 도전하는 자’또는 ‘신체적 결함을 스스로 극복하는 자’이다. 다시 말해 ‘the disabled who are physically challenged by themselves’가 되어 주체도 객체도 모두 장애인이 되어야 한다. 신체장애라는 부정적인 면을 극복하는 도전정신을 적극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장애·좌절·절망·실의 등을 넘어서거나 이겨내어 그런 경험을 한 사람만이 갖게 되는 능력을 ‘negative capacity’라고 한다.



여기에서 ‘The American Heritage Book of English Usage. A Practical and Authoritative Guide to Contemporary English. 1996’의 설명을 보자.

The use purpose of challenged in combinations, such as physically challenged is to emphasize the positive aspect of the challenge that a particular condition presents over the negative aspect of hindrance or incapacity. (physically challenged와 같은 여러 복합어에서 challenged가 사용된 목적은 신체상의 특정한 조건이 일에 방해되거나 지장을 주는 부정적인 측면보다 그로 인한 도전이라는 긍정적인 측면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얼마 전 두 신문에서 각기 다른 교수가 short를 대체할 단어로 vertically challenged를 소개하며 ‘수직으로 도전받는’이란 우리말 설명을 달았다. 그러나 이 또한 ‘수직적인 여건에 도전하는’으로 옮겨야 맞다.

각종 PC Terminology

정신·학습 장애 관련 PC 용어

crazy·insane(미친)·psychotic(정신이상인) → mentally ill(정신적으로 병든) → mentally handicapped(정신적으로 장애가 있는) → mentally challenged(정신적 장애에 도전하는 자)

learning-disabled child(학습장애아)·retarded child(지진아) → child with learning difficulties(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아이)

slow learner·failing student(낙제생) → underachiever(낮은 성적취득자)

범죄 관련 PC 용어

dishonest(부정직한) → unethical(비윤리적인)

crime(범죄) → misdeed(나쁜 짓)

fraud(사기) → irregularity(불법·부정)

jail·prison(감옥·형무소) → correctional institution·penitentiary(교도소)

가족 관련 PC 용어

spouse(배우자) → life partner(인생 동반자)

broken home(결손가정) → single-parent family(한부모 가정)

pet(애완동물) → animal companion(동물 반려자)

2/6
저자 이윤재 / 편집기획·진행 구미화 || 일러스트 이우정
목록 닫기

Political Correctism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