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척추 질환 전문 인천 전병원 전영훈 원장.
척추와 관련된 각종 질환은 현재 MRI, CT 같은 최첨단 진단 장비로 정확한 조기 진단이 가능해졌고, 그 질환의 종류 및 증상에 따라 치료방법이 발전을 거듭해왔다. 그만큼 회복속도도 빨라졌다. 치료 후 일상생활에 즉시 복귀할 수 있을 정도. 하지만 한시라도 자리를 비우면 책상이 사라질 것 같은 중압감에 시달리는 직장인들은 척추 전문 병원을 찾아 검사를 받는 것조차 여의치 않다. 그중에는 척추에 일부 이상이 있다는 진단을 받고도 아픈 다리를 끌고 일하는 사람도 있다.
서울 강남의 한 업체에 이사로 근무하는 이상득(53·가명)씨도 그런 경우. 이씨는 15년 전부터 허리가 조금씩 아파왔지만 병원을 찾을 생각은 하지 않고 증상이 있을 때마다 파스를 바르고 이를 지나쳤다. 그냥 바쁜 일상 탓이려니 했던 것. 하지만 3개월 전부터 다리에 힘이 없고 무릎에서도 통증이 느껴졌다. 컴퓨터 앞에 앉아 있기가 힘들 정도로 통증이 심해지자 이씨는 그때서야 병원을 찾았다.
비수술적 치료가 먼저
그가 찾은 병원은 인천의 척추치료 병원인 전병원이었다. 진단명은 척추관협착증. 나이가 들면서 퇴화된 척추관(신경이 통과하는 관)이 사지로 가는 신경을 눌러 다리를 마비 일보 직전의 상태로 만들어놓았던 것이다. 다리가 아파 병원을 찾았지만 정작 문제가 있는 곳은 척추였다.
이씨는 직장생활을 그만둬야 한다는 생각에 위협감까지 느꼈지만 의외로 수술은 간단했다. 미세현미경을 이용해 굵어진 척추뼈를 제거한 이씨는 2주 후 회사에 복귀할 수 있었다. 수술 직후부터 화장실을 다닐 수 있었고, 다음 날 퇴원해 통원치료를 받은 그는 정식 출근 전에도 집에서 틈틈이 회사 일을 할 수 있었다.
전병원은 인천에서 약 18년간 척추 전문병원으로 이름을 알려온 곳. 그동안 척추와 관련돼 30여만명의 환자가 이곳에서 건강한 삶을 되찾았다. 전 병원은 질환별로 특화된 클리닉 운영과 과학적으로 검증된 체계적인 치료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척추디스크센터는 물론, 관절센터 등 전문화된 클리닉이 병원 내에 분화돼 있으며 이곳에는 첨단과학을 이용한 진단 및 치료 기기가 비치돼 있다.
하지만 인천 전병원의 전영훈 원장은 “우리 병원이 최첨단 수술기법과 경험을 가지고 있지만 가장 중요한 점은 최고의 시설과 수술 기술이 아니라 진정 환자에게 필요한 치료가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능력과 배려”라고 말한다. 그는 “수많은 환자가 척추수술의 권위자라며 전병원을 찾지만 정작 우리는 수술하지 않고 고치는 길을 먼저 생각한다. 수술은 그야말로 불가피할 때에 하는 것”이라고 잘라 말한다.
즉, 척추질환의 치료에 있어 가장 우선시돼야 하는 것은 비(非)수술적 치료라는 이야기. 전병원 척추센터가 무중력 디스크 감압치료기, 척추 근력 측정 및 강화 시스템( DAVID 시스템), 체외충격파치료기(ESWT), 최첨단 레이저 치료기 같은 비수술적 첨단 치료기기를 갖춘 비수술적 척추센터를 따로 개설하고 척추수술은 되도록 하지 않으려는 것도 바로 그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