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최상운의 지중해 편지

스페인 말라가

Costa del Sol, 안달루시아의 태양 한 줄기

스페인 말라가

2/3
스페인 말라가

열대 식물들이 늘어선 말라가 거리를 여유롭게 거니는 시민들.(좌) 무엇으로도 깨기 어려울 듯한 알카사바의 성벽.(우)

스페인 말라가

피카소의 고향답게 거리 곳곳에는 그의 그림이 걸려 있다.(좌) 햇빛이 풍부한 안달루시아에는 이국적인 과일과 채소가 많다.(우)

카르타고인, 로마인, 무어인

적색의 견고한 성채, 알카사바가 저 멀리서 발걸음을 재촉한다. 장식적인 요소는 찾아보기 힘들어 오로지 외적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만 튼튼하게 지어졌다는 느낌이 먼저 든다. 위용을 과시하며 언덕 위에서 도시를 내려다보는 것을 보니 ‘난공불락’이라는 말의 이미지 그 자체를 보는 것 같아 든든하게 여겨질 정도다.

스페인 말라가

알카사바의 층층이 쌓인 벽돌은 견고함의 상징마냥 듬직하다.

알카사바를 지나면 산 위에 히브랄파로 성이 있어 우선 그곳에 들르고 내려오는 길에 알카사바를 찾기로 했다. 그런데 그리 쉬운 길이 아니다. 이리저리 굽이지고 꽤 경사가 진 길을 한참 올라가야 한다. 게다가 이제는 뜨거워진 대기까지 가세하니 숨이 차오른다. 하지만 예상치 못한 등반을 잠시 멈추고 물 한 모금 마시며 옆을 보면 말라가 시내와 항구가 한눈에 들어온다. 땀방울이 씻겨 내려가는 듯한 시원한 풍경이다. 남부 스페인의 이 중요한 항구를 차지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사람이 피를 흘렸던가 생각한다.

말라가는 고대 페니키아인들이 말라카라는 이름으로 건설했고 그 후 카르타고인의 지배를 받았다. 카르타고와 로마가 지중해의 패권을 놓고 벌인 피나는 전쟁이 카르타고의 멸망으로 끝나자 말라가는 로마의 수중에 들어갔다. 711년 스페인을 정복한 무어인들에 의해 이 지역의 중요한 항구도시로 개발됐고, 다시 1487년 무어인들을 완전히 몰아낸 기독교인들이 이 도시의 지배자가 됐다. 현대에 들어와서는 1931년 스페인 내전 당시 프랑코 장군에 항거하는 공화주의자들이 1937년까지 투쟁을 벌이는 등 저항의 역사를 갖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역사는 역사일 뿐인가. 항구를 드나드는 배들은 그저 유유하다.

2/3
목록 닫기

스페인 말라가

댓글 창 닫기

2023/04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