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택이라는 이데올로기<br>레나타 살레츨 저, 박광호 역, 후마니타스
인간은 누구든지 예측하지 못했던, 그리고 순응하고 싶지 않았던 요인들에 이끌려
현재의 처지에 놓여 있는 것입니다.
-새뮤얼 존슨 ‘라셀라스’ 중에서
그건 나의 선택이 아니야!
얼마 전 부다페스트에서 노트북컴퓨터를 잃어버린 나는 한 달 넘게 벙어리 냉가슴을 앓았다. 처음에는 노트북을 유레일 기차 선반에 올려놓고 깜빡해버린 나 자신을 무던히도 원망했고, 나중에는 온갖 e메일과 전화를 동원해 아무리 간절한 ‘SOS’ 신호를 보내도 답장이 없는 헝가리 철도청에 분노했으며, 그러다가 비로소 주인 없는 노트북을 발견하고서도 기차역이나 경찰서에 알리지 않은 이름 모를 사람에게 분노했다.
분노의 시간이 지나가자 상실의 시간, 걱정의 시간이 도래했다. 내 노트북에 저장된 그 수많은 자료는 다 어디로 갔을까. 내 온갖 자료, 특히 수년 동안 모아둔 소중한 사진들, 무엇보다도 미처 백업하지 못한 원고나 아이디어 메모가 가슴을 찢어놓았다. 그것은 지극히 인간적인 걱정이었다. 그런 걱정을 할 때조차 나는 ‘사람다운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상실의 시간이 지나가자 미쳐버릴 것 같은 불안의 시간이 도래했다. 그곳에 담긴 나의 개인 신상 정보가 걱정되기 시작했다. 그곳에 저장된 공인인증서를 누가 복사하면 어떡하지? 주민등록번호도 어딘가에 저장돼 있을 텐데. 국적도 나이도 신분도 알 수 없는 사람들이, 이제는 내 얼굴과 내 정보를 다 알고 있을 텐데, 하는 생각을 하니 잠을 이룰 수 없었다.
정말 어처구니없게도 그 소름끼치는 불안의 시간을 견디며 내가 가장 먼저 한 일은 노트북을 새로 산 것이 아니라 공인인증서를 폐기한 것이었다. 옛날 같았으면 그저 잃어버린 노트북과 똑같은 노트북을 삼으로써 상실감을 최소화하려 했을 것이다. 외국에서 공인인증서를 폐기하는 법을 몰라 온갖 관청에 다 전화를 해보고, 결국 엄청난 국제 전화 요금을 감당하며 무사히(?) 인증서를 폐기했다.
물론 그런다고 그 쓰라린 상실감과 불안감이 완전히 지워지지는 않았지만, 공인인증서를 폐기하는 그 복잡한 절차를 거치고 나서야 비로소 잠이 오기 시작했다. 잃어버린 것은 노트북이라는 사물이었는데, 나를 미쳐버리게 한 것은 그 잃어버린 물건이 아니라 도난당한 정보였다. 나는 이미 내 정보에 대한 ‘선택권’을 상실했다.
레나타 살레츨의 ‘선택이라는 이데올로기’는 ‘모든 것을 내 스스로 합리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고 믿는 자본주의의 신화를 파헤친다. 제목부터가 가슴을 찌른다. ‘선택이라는 이데올로기’는 내게 이렇게 묻는 것만 같다. 너는 정말 네 삶을 선택할 수 있는 힘이 있는 거니? 선택다운 선택을 해본 적이나 있는 거야? 네가 주체적인 선택이라 믿었던 것이 사실은 주변 사람들이나, 사회의 시스템이나, 아니면 ‘타인의 시선’이라는 무언의 압력에 굴복한 수동적인 적응은 아니었어?
한편으로는 속이 시원하기도 했다. 이 책의 원제가 ‘선택의 폭정(暴政·The Tyranny of Choice)’이기 때문이었다. 그래, 우리는 선택가능성이라 불리는 폭력적인 시스템 속에서, ‘내가 내 삶의 모든 것을 선택할 수 있다’는 환상 속에서 끝없이 ‘내가 뭔가 잘못 선택한 것은 아닐까’ 하는 강박을 견디며 살아가고 있는 것이구나. 처음부터 네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은 그리 많지 않았어. ‘선택할 수 있다’고 믿었던 네 환상이 바로 이 사회가 주입한 승자들의 이데올로기가 아니었을까. 나는 어느새 그렇게 스스로에게 질문하고 있었다.
사회의 선택을 망각하다
레나타 살레츨은 우리의 삶이 ‘개인의 합리적 선택’에 의해 바뀔 수 있다는 가능성에 의문부호를 붙인다. 그는 질문한다. 왜 의료보험의 혜택을 전혀 받을 수 없는 사람들이 의료보험 개혁 법안 통과를 반대할까. 왜 선택의 여지가 없는 사람들까지 ‘내가 선택에 실패해서 내 삶이 이렇게 됐다’는 생각에 시달리는 것일까. 사람들은 대학은 물론 직업, 직장까지 선택의 문제라고 생각한다. 사랑, 결혼, 출산의 문제까지 개인의 합리적인 선택의 문제라고 믿는 사람이 많아졌다.
하지만 우리 주변 사람들에게 하나하나 물어보자. 당신의 직업을 선택한 계기는 무엇입니까. 당신의 직장을 선택한 이유는 무엇인지요. 왜 그 사람을 사랑하게 됐나요. 그 당시 주변에 있던 수많은 이성 중에서 왜 하필 그 사람을 사랑하게 됐는지요. 이런 질문에 똑 부러지게, 합리적으로, 논리적으로 대답할 수 있는 사람이 몇 명이나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