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명사에 대한 또 다른 명사의 논평을 살펴보기 전에 다음의 두 문제에 답해보길 바란다.
[문제 1] If you knew a woman who was pregnant, who had 8 kids already - three who were deaf, two who were blind, one who was mentally retarded - and who she had syphilis, would you recommend that she have an abortion? (임신 중인 한 여인이 있다. 이미 8명의 자녀를 뒀는데, 그중 셋은 귀가 멀고, 둘은 장님이고, 한 명은 정신지체아이다. 그리고 그녀는 매독에 걸렸다. 당신은 그녀에게 낙태를 권하겠는가?)
[문제 2] It is time to elect a new world leader. Here are the facts about the two leading candidates. (세계를 이끌어 나갈 새 지도자를 선출할 때다. 다음은 2명의 유력한 후보에 관해 확인된 사실들이다.)
Candidate A: He was defeated in election five times, sleeps until noon, used opium in college and drinks a quart of whiskey every evening. (A후보: 선거에서 다섯 번 낙선했으며, 정오까지 잠을 자며, 대학시절 아편을 했고, 매일 저녁 위스키 1병을 마신다.)
Candidate B: He is a decorated war hero. He’s a vegetarian, doesn’t smoke, drinks an occasional beer and hasn’t had any extramarital affairs. (B후보: 훈장을 받은 전쟁 영웅이다. 채식주의자이고, 담배는 피우지 않는다. 이따금씩 맥주를 마시고 불륜관계도 없다.)
Which of these candidates would be your choice? Remember: Never be afraid to try something new. Amateurs built the Ark. Professionals built the Titanic. (이들 가운데 누구를 선택하시겠습니까? 주의: 새로운 인물을 찾으려고 애쓰지 마세요. 아마추어가 방주를 만들었고 프로가 타이태닉을 만들었답니다.)
[답 1] 그 여인에게 낙태를 권했다면, 베토벤이 세상에 나올 수 없었을 겁니다.
[답 2] A후보는 윈스턴 처칠이고, B후보는 아돌프 히틀러입니다.
베토벤이 태어난 시절에는 유아사망이 흔했고, 가까스로 살아남은 아이들에겐 더러 장애가 있었다. 과거에는 임신하면 출산하는 것이 당연지사로 여겨졌지만 요즘은 임신 중절 합법화 반대(pro-life)와 임신 중절 합법화 지지(pro-choice)가 대결 양상을 띠고 있다. [문제 1]은 베토벤이 태어난 시절과 지금의, 낙태에 대한 생각을 비교해보려는 의도에서 낸 문제다.
겉으로는 완벽해 보이는 역사적 인물의 퍼블릭 페르소나(public persona·외적 인격)는 그들의 진면목(true character)과 꼭 맞아떨어지지는 않는다. [문제 2]는 행위와 특성에 대한 전후배경 없이 단편적 사실만 갖고서는 어떤 인물을 재단(裁斷)할 수 없음을 일깨우기 위한 문제이다.
다음의 논평(comment)은 어디까지나 단편적 사실에 대한 단편적 견해이다. 논평엔 animating sense of humor(상대방을 고무하는 유머), sick sense of humor(상대를 기분 나쁘게 하는 유머), jest(농담), pun(재담), innuendo(풍자), sarcasm(빈정댐), putdown(혹평), vituperation(독설), curmudgeon comment(심술궂은 비평), word play(말장난), insult(모욕) 등 다양한 어조가 담겨 있다. 의학에서는 insult가 ‘손상’을 뜻한다. brain insult와 brain damage는 똑같이 ‘뇌 손상’을 가리킨다.
영국의 언론인이자 소설가였던 체스터턴(Gilbert Keith Chesterton)은 이렇게 말한 바 있다.
A good joke is the one ultimate and sacred thing which cannot be criticized. Our relations with a good joke are direct and even divine relations. (훌륭한 농담은 비평할 수 없는, 궁극적이고 신성한 것이다. 우리 인간과 훌륭한 농담과의 관계는 절대적이며 신성하기까지 하다.)
이와 비슷한 맥락으로 미국의 수필가 화이트(Elwyn Brooks White)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Analyzing humor is like dissecting a frog: Nobody really enjoys it and the frog generally dies as a result. (유머를 분석하는 것은 개구리를 해부하는 것과 같다, 그것을 좋아하는 사람은 단연코 없으며 결과적으로 개구리만 죽을 뿐이다.)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