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휘청거리는 베트남 경제, 위기인가 기회인가

“성장통일 뿐 내년 1/4분기가 투자 적기”

  • 정인섭 / 건국대 겸임교수, 경영학 insubman@becco.co.kr

휘청거리는 베트남 경제, 위기인가 기회인가

1/4
  • 지난해 최고의 유망 투자처로 손꼽히던 베트남이 불과 1년 만에 과도한 무역적자,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경제위기에 처해 있다.
  • 베트남에 투자한 투자자들은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발을 빼야 할까, 아니면 지금을 바닥으로 보고 투자 기회로 여겨야 할까.
  • 베트남 경제를 속속들이 들여다보았다.
휘청거리는 베트남 경제, 위기인가 기회인가
불과 1년 전, 베트남 경제의 고속성장에 기대를 걸고 베트남펀드에 투자한 개인 투자자들은 지금 ‘베트남 위기설’ 때문에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현재 한국의 금융기관에서 운영하는 베트남펀드는 모두 21개로 총액이 1조9396억원에 달한다.

베트남이 주목받은 것은 2005년 골드만삭스가 BRICs(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다음의 유망 투자처로 베트남을 꼽으면서였다. 2005년 이후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던 베트남 증시 지수 ‘VN-index’는 2008년 6월 말 현재 409.61로 전년 최고점인 1158.27(2007년 3월13일) 대비 57% 하락을 기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지난해 한국 자산운용사들이 설정한 베트남펀드는 대부분 마이너스 30~50%의 수익률을 보이고 있다.

또한 한국의 많은 건설사와 시행사들이 베트남 부동산시장에 진출해 현재 40~50개의 부동산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부동산 역시 2008년 초반에 비해 매매가 기준 30% 이상 하락한 상태다. 이 글에선 베트남 경제 위기는 어떻게 왔으며,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국의 투자자들이 어떤 전략으로 베트남에 접근해야 할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베트남은 인구 8400만, 국토면적 33만㎢로 한반도 전체 면적의 1.5배에 달하는 국토를 가지고 있다. 1인당 GDP(국내총생산)는 720달러로 우리의 1970년대 수준. 하지만 추정 매장량 33억배럴의 원유(세계 석유소비량은 연간 8.2억배럴)와 추정 매장량 5조 입방피트의 천연가스를 가지고 있는 등 자원이 풍부한 나라다. 또한 연간 300만t 이상의 쌀을 수출하는 세계 2위의 쌀 수출국이기도 하다.

늘어나는 무역적자, 치솟는 인플레이션



베트남 경제 위기에 대해 처음 언급한 것은 지난 5월13일 일본 다이와증권 계열의 다이와종합연구소가 내놓은 ‘헬로우 IMF’라는 보고서였다. 이 보고서는 무역적자의 급증과 높은 물가상승률로 인해 베트남 경제가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무역적자는 2005년 46.4억달러, 2006년 48.1억달러, 2007년 124.4억달러로 가파르게 증가했다. 특히 올해 들어 1~4월까지 무역적자가 111억달러에 달했다. 주요 수입품은 산업기계류, 철강제품류, 석유화학제품류(정유 포함) 등 베트남이 산업화를 추진해가는 데 필요한 품목들이다.

무역적자의 급격한 확대로 인해 베트남의 대외채무 지급능력인 외환보유고에 의심이 생기기 시작했고, 베트남 정부는 지난해 중반부터 외환보유액을 공식적으로 발표하지 않고 있다. 이것이 다이와 같은 금융기관들이 베트남 경제를 불신하게 된 한 원인이다.

물가상승률은 2001년 0.8% 수준이던 것이 2004년 9.5%, 2005년 8.4%. 2006년 6.6%, 2007년 12.6%로 치솟았다. 올해 4월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대비 21.4% 상승했다. 이처럼 물가가 치솟은 것은 국제적인 원자재 가격상승에다 부동산가격이 폭등하고, 일부 사치품(자동차 수입이 전년 대비 333% 증가) 수입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물가상승은 향후 임금인상과 자산가격 상승을 일으킬 우려가 크다. 특히 무역적자를 개선하기 위해 동(Dong)화를 평가절하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수입물가 상승의 압박으로 작용할 것이기 때문에 베트남정부는 정책 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재 베트남이 처한 어려움은 1986년 도이모이 정책을 발표하고, 본격적인 산업화를 추진하면서 경제가 지속적인 성장을 구가했지만 이제는 근본적인 구조변화를 추진해야 할 시점에 다다랐음을 알려준다. 1990년대 베트남은 도이모이 정책을 통한 지속적인 개방과 산업화 정책으로 평균 7.6%의 경제성장을 이룩했다. 이는 1997년 동아시아 경제를 위축시킨 IMF위기 속에서 이룩한 것으로 상당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베트남이 본격적인 산업화를 추진하기 위해 필요한 SOC와 산업의 근간이 되는 일관 제철소, 정유공장, NCC (Naphtha Cracking Center) 공장 등이 아직 건설되지 않은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맞딱뜨린 세계적인 원자재가격 상승은 베트남 경제에 큰 위기가 될 것이다.

1/4
정인섭 / 건국대 겸임교수, 경영학 insubman@becco.co.kr
목록 닫기

휘청거리는 베트남 경제, 위기인가 기회인가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