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8월호

‘한 사람의 힘’은 어디까지 퍼져나갈 수 있는가

  • 정여울 │문학평론가 suburbs@daum.net

    입력2014-07-22 10:35:00

  •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 사람의 힘’은 어디까지 퍼져나갈 수 있는가

    척하는 삶<br>이창래 지음, 알에이치케이

    최근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 출신의 전범이 위안부 납치와 중국인 양민학살은 물론 일본군의 각종 악행을 고백해 화제가 된 바 있다. 스즈키 게이쿠라는 일본 전범은 1934년 6월 중국인 농민 두 명을 살해했으며, 1945년 7월까지 5000명이 넘는 중국인을 살해했다고 진술해 충격을 주었다. 1941년 안후이성 차오현에 위안소를 설치해 20여 명의 중국인 부녀자와 조선인 부녀자를 유괴해 위안부로 삼았다는 내용도 그의 ‘자백서’(‘日전범, 조선부녀자 등 20명 유괴, 군위안부 삼았다’, 연합뉴스, 2014.7.3.)에 포함돼 있다.

    아시아는 물론 전 세계의 패권을 노리는 중국의 외교적 책략의 일환으로서 일본에 대한 역사적 심판이 일종의 정치적 도구가 된다는 점도 간과할 수는 없다. 하지만 이 기사를 보면서 내 마음속에서 피어나는 화두는 바로 이것이었다. 어쩌면 한 사람의 힘으로도 역사는 바뀔 수 있다는 것. 이 고백이 정말 사실이라면, 그리고 그 고백의 진정성이 참으로 어떤 외압도 아닌 순수한 양심에서 우러나오는 것이라면, 바로 그런 한 사람의 힘이야말로 역사를 바꾸는 희망이 아닐까.

    자신의 행동을 뉘우치는 한 사람의 꾸밈없는 양심이야말로 우리 시대에 진정 필요한 한 사람의 힘이다. 그리고 누군가의 뜨거운 질문이 뿜어내는 사회적 파장도 바로 우리 시대가 반드시 요구하는 한 사람의 힘이다.

    이창래의 ‘척하는 삶’을 읽으면서 나는 바로 그 뜨거운 한 사람의 힘을 느꼈다. 위안부 할머니들의 1인 시위나 일본정치가들의 망언 관련 뉴스가 나올 때마다 나는 심각하게 고민했다. 과연 이 문제를 어떻게 풀어낼 수가 있을까. 이제는 당시 상황을 증언할 수 있는 생존자마저 하루하루 줄어가는 상황에서 이 문제를 과연 어떻게 사회적 의제로 바꿀 수 있을까. 이 작품은 일본군의 위안부 문제는 숨기고 감추고 떠밀어야 할 문제가 아니라 반드시 우리가 살아 있는 동안 풀어내야 할 숙제임을 일깨운다.

    ‘타인의 시선’이 만들어낸 감옥



    조선인 위안부를 착취하고 살해하기까지 했던 버마의 한 일본군 부대에서 군의관으로 일한 하타는 끔찍한 기억을 가슴에 묻은 채 미국으로 이주했다. 한창 전쟁 중일 때 20대 청년이던 그가 이제는 70대 노인이 되어 ‘훌륭한 미국 시민’으로 살아간다. ‘제스처 라이프(gesture life)’라는 상징적인 원제(原題)는 바로 이런 참혹한 역사적 상처를 끌어안고 사는 사람이 아무런 문제도 없는 ‘모범적인 시민인 척’ 살아가는 아이러니를 꼬집는다. 하지만 그것은 단지 하타에 대한 풍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가 ‘척하는 삶’을 유지하느라 버려야만 했던 수많은 인생의 가치를 환기하는 제목이기도 하다.

    그는 자신이 조선인 위안부 끝애의 집단 강간과 학살의 현장을 목격한 사람이라는 사실을, 그 누구에게도 말하지 않는다. 작품이 끝나는 순간까지도. 작가 이창래는 ‘누구에게도 말할 수 없는 진실을 끝까지 마음속에만 품고 사는 사람’의 이야기를, 타인에 대한 지극한 속죄의식과 모범시민의 완벽한 제스처라는 이중의 잠금장치로 봉인한다. 하타는 위안부 끝애를 사랑했던 과거를 잊지 않은 채, 누구도 끝애만큼 마음을 다해 사랑하지 못한 채, 한국인 소녀 서니를 입양해 자기보다 훌륭한 미국 시민으로 키워내는 것을 목표로 삼아 살아가고 있었다.

    이 인물의 내면은 실로 복잡미묘하다. 끝애에 대한 사랑과 죄책감이 그를 평생 혼자 살아가게 만들었으며, 끝애에 대한 연민을 서니에게 투사하면서도 서니를 모범적인 미국 시민으로 키워내려 하며, 서니에 대한 지극한 부성애를 느끼면서도 서니가 가출해 흑인 남자의 아기를 가졌을 때 딸을 완전히 ‘진짜 아버지’처럼 품어주지는 못한다.

    그는 어떤 순간에도 ‘타인의 시선’이 만들어낸 감옥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한다. 그는 스무 살도 안 된 서니가 만삭의 몸으로 나타나자 딸에 대한 걱정보다도 우선 ‘남들이 볼까봐’ 전전긍긍한다. 이런 태도는 서니를 덜 사랑해서가 아니라 서니를 자신처럼 ‘불안한 정체성의 감옥’에 가두지 않기 위한 안간힘이다. 그러나 일본인도 한국인도 아니며, 끝내 진정한 미국인도 될 수 없었던 그의 불안한 정체성이야말로 그가 이 소설의 주인공이 될 수 있는 최적의 자격요건이기도 했다. 그는 그렇게 그 누구에게도, 그 어디에도 속할 수 없는 사람이었기에 그 모든 이에게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는 존재로 성장해온 것이다.

    인간의 고결함

    전쟁 당시 군의관이던 하타가 끝애와 가까워질 수 있는 계기는 바로 ‘조선어’였다. 하타는 조선인 출신의 일본인 입양아였던 것이다. 끝애는 하타에게 간절히 부탁한다. 제발 나를 죽여달라고. 저들이 내 몸과 내 넋을 산산조각내기 전에, 나를 죽여달라고. 죽을 자유조차 박탈당한 조선인 위안부 끝애는 죽음과 가장 가까이 있는 일본인 군의관에게 자신을 좀 더 쉽고 빠르게 죽여줄 것을 부탁했다.

    하타는 훌륭한 의사가 되기 위한 탄탄대로를 걷고 있었고 ‘이런 일’로 자신의 경력을 망칠 수는 없었다. 그의 지상 과제는 일본인 양부모에게 인정받는 것, 진정한 일본인이 되는 것, 그리고 최고의 의사가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자신을 제발 죽여달라고 애원하는 조선 여인 끝애에게서 그는 자신이 잃어버린지도 모르는 인간의 고결함을 발견한다. 이제 그의 지상명령은 극적으로 돌변하게 된다. 그녀를 살리는 것. 그녀의 마음을 얻는 것. 그리고 그녀의 상처 입은 마음을 어루만지는 것. 이 과정은 결코 감상적이거나 로맨틱하지 않다. 그는 지극히 합리적이고 명철한 사람이기에, 결코 함부로 사랑에 빠지는 사람이 아니다. 그는 누군가에게 인정받기 위해 분투하는 세속적인 삶이 아니라 단 하나 남은 자신의 존엄성을 지키기 위해 목숨까지 내던지는 한 인간의 처절한 존엄을 발견한 것이다.

    그는 위안부 끝애를 ‘양호한 상태’로 보호해 상관이 지시할 때 그녀를 ‘제물’로 보내줘야 하는 끔찍한 운명에 처해 있었지만, 그녀를 보호하고 관찰하고 관리하는 동안 사랑에 빠져버렸다. 하타는 그녀에게 끝없이 이끌리는 자신의 마음을 ‘사랑’이라고 믿지만 그녀에겐 그것이 ‘폭력’으로 받아들여진다. 하타는 끝애에게 ‘결혼하고 싶다’고까지 고백하면서 그녀에게 육체적으로 다가갔지만, 남성의 육체를 혐오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해 있던 끝애는 그것을 폭력으로 받아들인다.

    하타는 전쟁의 종말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믿었기에 그녀가 ‘조금만 견뎌주기를’ 바랐다. 하지만 그녀는 조금도, 단 한 순간도, 위안부의 삶을 견딜 수 없었다. 함께 위안부로 끌려온 친언니마저 일본군에게 강간당하고 살해당한 상태에서, 그녀는 어떤 희망도 가질 수 없었던 것이다. 그는 온 힘을 다해 그녀를 지키고 싶었만, 끝내 그녀는 일본 군인들에게 도륙당하고 만다. 그는 어디가 땅인지 하늘인지도 분간할 수 없는 참혹한 고통 속에서 그녀의 시신을 수습한다.

    희망과 연대의 고리

    그 후 반세기가 지났지만, 그는 여전히 그 처참한 트라우마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의사의 꿈을 포기하고, 일본인이 되는 것조차 포기하고, 결혼은 물론 ‘정상적인 사람’으로 살아가는 것조차 포기한 그였지만, 그는 누구에게도 자신의 상처를 발각당하지 않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그는 그저 ‘모범 시민’으로서의 조용한 일상을 유지하고 싶어 하지만, 그의 주변 사람들은 그를 깊이 아끼고 배려한다. 하타가 자신의 모든 기억의 편린을 불태우고 싶어 하다가 집에 화재가 나자 그의 목숨을 구해준 것도 미국인 친구였고, 그가 비록 직업으로서는 의사가 아니었지만 그를 마음속 깊이 ‘진짜 의사’라고 생각해준 것도 미국인 이웃이었다.

    그는 진심으로 자신과 인연을 맺은 모든 사람의 건강과 안녕과 행복에 항상 예민한 마음의 안테나를 세우고 있었다. 그는 지울 수 없는 상처와 갚을 수 없는 죄책감 때문에 끝없이 자기 안으로 침잠해 들어갔지만, 가슴 깊숙이 지울 수 없는 사랑과 열정의 체온을 간직하고 있는 그의 진심을, 사람들은 끝내 알아봐주었던 것이다.

    그러나 하타가 원하는 것은 뜻밖의 구원이나 타인의 이해가 아니다. 그는 끝애와의 인연과 그 파국의 과정을 서니는 물론 그 누구에게도 말하지 않았다. 그는 자신의 모든 재산을 어려움에 처한 주변 사람들과 서니, 그리고 서니의 아들 토마스에게 주기로 결심하고 자신을 위해서는 아무것도 남겨놓지 않는다.

    하지만 그것으로 속죄를 다 했다고 믿는 것이 아니다. 한 여자를 지켜주지 못한 개인적 죄의식, 조선인 위안부 강간과 살해라는 끔찍한 사건의 본의 아닌 방조자가 되어버린 역사적 죄의식, 그 모두로부터 끝까지 도피하지 않는다. 그 죄를 생의 끝까지 자신의 심장에 품은 채, 그의 환상 속에서 ‘이 집에서 죽기는 싫어요’라고 고백하는 끝애를 마음속에 품은 채, 아무리 애를 써도 영원히 풀 수 없는 속죄의 길을 홀로 걸어가려 하는 것이다.

    이 소설은 우리에게 더 커다란 질문을 던진다. 비슷한 상황이 또다시 발생한다면? 우리는 우리의 딸들과 어머니들과 우리 자신들을 지킬 수 있을까. 걸핏하면 망언을 쏟아내는 일본 정치인들은 차치하고라도, 보다 양심적이며 진정으로 인권과 자유를 걱정하는 사람들끼리, 국적과 출신성분 그 무엇도 따지지 않은 채, 희망과 연대의 고리를 만들 수는 없을까.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