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세기의 철녀들 ⑤

미국 국무장관 콘돌리자 라이스

‘흑인 여성’ 약점을 강점으로 바꾼 원동력은 실력과 원칙!

  • 허문명 동아일보 논설위원 angelhuh@donga.com

미국 국무장관 콘돌리자 라이스

1/5
  • 콘돌리자 라이스는 흑백갈등이 심한 앨라배마에서 자라고, ‘흑인은 열등하다’는 내용의 대학 강의를 들으면서도 좌절하지 않았다. 도리어 실력을 쌓아 “나는 베토벤을 연주할 수 있고, 프랑스어를 할 수 있다”고 당차게 말했다. 중요한 것은 인종이 아닌 실력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미국 국무장관으로 부시 왼손 역할을 하고 있는 콘돌리자 라이스의 뒷심은 어디에서 생겨난 걸까.
철의 목련(steel magnolia)이라 불리는 콘돌리자 라이스(이하 콘디) 미국 국무장관이 도널드 럼스펠드 전 국방장관 때문에 백악관 회의석상에서 눈물을 흘린 적이 있다고 미국의 전기 작가가 공개했다.’(중앙일보 9월22일자)

콘디가 2004년 2월 백악관 국가안보 보좌관으로 일할 당시 부시 행정부는 이라크 내 치안 상황 악화와 쿠바 관타나모 수용소 재소자 인권 유린으로 거센 비판을 받고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콘디가 정부 내 고위 관료들을 백악관에 소집했는데 럼스펠드 국방장관이 부(副)장관을 대리 참석시키는 방식으로 그녀를 무시했다는 것이다. 조지 테닛 당시 중앙정보국(CIA) 국장은 아예 “자리에 앉아 있으라”는 콘디의 말에 “개수작(bullshit)”이라고 욕설을 퍼부으며 회의장을 나가버렸고 순간 자제력을 잃은 콘디가 눈물을 쏟아냈다는 것.

‘!--DC type=bold DC-->약점을 장점으로 바꾼 원동력‘!--DC type=/bold DC-->

‘테러와의 전쟁’을 이끌면서 독재자들과 정면으로 승부한 강철 여인으로 알려진 그녀지만 역시 도처에 존재하는 적(?)때문에 마음고생을 했음을 알 수 있는 일화다. 콘디를 울린 럼스펠드는 2006년 물러났으니 결국 최후의 승자는 콘디인가.

클린턴의 20여 년 정치참모로 일하며 킹 메이커 역할을 했지만 최근 비판자로 돌변한 미국의 유명한 ‘스핀닥터(Spin Doctor·정치 선거 전략가)’ 딕 모리스는 2008 미 대선에서 만약 힐러리가 민주당 대선후보가 된다면 공화당 쪽에서는 콘디가 나와야 한다고 주장하는 책을 냈다. 힐러리가 경선에 패배해 주장이 현실화되지는 못했지만 그는 책 ‘콘디 대 힐러리’(국내 번역본 제목은 ‘나는 이기기 위해 도전한다’)를 통해 콘디의 경쟁력을 이렇게 말한다.



‘콘디는 대부분의 사람처럼 처음부터 위대하게 태어나지는 않았다. 게다가 야심이 큰 것도 아니다. 성공한 현대인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정치력이나 현란한 화술, 화려한 프레젠테이션, 공격적인 수사(修辭)도 그에게 없다. 단지 그녀는 자기 실력이 얼마나 대단한지 다른 사람들에게 알리지 못해 전전긍긍하는 대신 다른 사람들이 자신에 대해서 자연스럽게 느끼도록 내버려둘 뿐이다. 타인과의 경쟁을 통해 자신을 증명하려 하지 않고 자기 스스로 자신을 평가하려고 노력한다.’

‘자기 자신을 평가의 잣대로 삼는다’는 것은 곱씹을수록 무서운 말이다. 시간이 갈수록 사람들은 자신보다는 ‘타인의 시선’에 신경을 쓰고 타인의 마음에 맞춰 자기를 만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딕 모리스는 콘디가 실력과 함께 내면의 강한 힘을 지닌 사람이라는 점에서 매력적이라고 말한다.

남성에 비해 여성이 소수자인 분야에서 일해왔지만 그녀의 성취에 여성단체의 집단적 힘이나 인종단체의 후원 같은 것은 없었다. 이런 면에서 그녀의 삶은 ‘환경, 지역, 인종, 성별 심지어 가난과도 관계없이 개인에게 모든 것이 달려 있다’는 미국 공화당의 핵심적인 신념과 맞닿아 있다.

더구나 그녀는 태어날 때부터 ‘흑인’이라는 약점을 갖고 있었다. 게다가 여성이다. 이런 그녀가 그 모든 약점을 장점으로 바꾼 원동력은 ‘교육’과 ‘자기계발’이었다.

“흑인에게는 보여줄 수 없다”

콘디는 1954년 11월14일 앨라배마에서 태어났다. 1950~60년대 앨라배마는 미국 남부 지역 중에서도 가장 혹독하게 인종분리정책이 시행된 곳이다. 흑백갈등을 어린아이의 눈으로 그린 미국 현대문학의 걸작 ‘앵무새 죽이기’의 무대도 앨라배마다. 앨라배마 중에서도 콘디의 고향 버밍햄의 인종차별은 특히 심했다.

아직 콘디가 태어나기 전 일이지만 1952년 아버지가 투표 등록을 하러 갔을 때 등록부 직원이 콩이 가득 든 커다란 깡통을 가리키면서 “콩알 수를 알아맞히면 선거용지를 주겠다”고 빈정거릴 정도로 흑인들은 투표권을 보장받지 못했다.

콘디가 자서전이나 인터뷰를 통해 밝힌 경험도 몇 가지 있다.

초등학교 저학년 때 일이다. 어머니와 옷을 사러 백화점 의류매장에 간 콘디가 옷을 골라 탈의실로 향하자 백인인 백화점 점원이 옷을 빼앗았다. 그러면서 “탈의실은 백인 전용”이라며 “정 옷을 입어보고 싶으면 창고로 가라”고 퉁명스럽게 말했다. 그러나 콘디 모녀가 “여기서 옷을 사지 못한다면 다른 가게에 가서 웃돈을 얹고 사겠다”며 맞서자 결국 점원은 탈의실로 콘디를 안내했다.

콘디는 성년이 된 뒤 한 인터뷰에서 “당시 그 점원은 탈의실 밖에서 내가 옷을 갈아입고 나오기를 기다리고 있었다. 발각되면 일자리를 잃고 사회적으로도 매장될게 뻔했기 때문에 겁에 질려 있던 표정이 눈에 선하다”고 회상했다.

콘디는 친구와 보석가게에 들어갔다가 봉변을 당하기도 했다. 점찍어둔 물건을 보여달라는 콘디에게 점원이 “흑인에게는 보여줄 수 없다”며 버틴 것이다. 콘디는 낮은 목소리로 단호하게 말했다.

1/5
허문명 동아일보 논설위원 angelhuh@donga.com
목록 닫기

미국 국무장관 콘돌리자 라이스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