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오영(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수연구원)의 ‘조선후기 유림의 사상과 활동’(돌베개) 역시 저자가 그런 복합적 연구방식을 통해 발표해온 성과들을 보완하고 또 새로 첨가하여 한 권으로 묶은 것이다. 저자는 이미 이황과 최한기 등에 대한 계발적 연구성과를 제시한 바 있지만, 본 저서는 18∼19세기 조선 유학에 대해 저자가 그간 다듬어온 독법을 한눈에 보여주는 점에서 주목된다.
개항 이후의 조선후기 학계 분석
저서는 두 부분으로 이뤄져 있다. 1부에선 호락(湖洛)논변과 임헌회, 유신환, 김평묵, 정윤영 등 기호학계 인물들을 분석했다. 2부에서는 퇴계 학맥의 한 축을 이루는 안동지역 유림과 남명 학맥의 한 축을 이루는 강우지역 유림의 활동을 분석한다. 저자는 이를 통해 18∼19세기 조선 성리학계의 특성을 학단(學團)의 흐름과 연계해서 파악한다. 저자가 읽어낸 특성은 조선후기 학계가 지역과 학파의 다양한 분화를 통해 발전하다 개항 이후 반외세 투쟁을 통해 교류가 확대되고, 다시 지역성과 당파성을 넘어 통합의 길로 나아간다는 것이다. 저자는 그 점을 학통의 정통성을 획득하기 위한 학단들 사이의 쟁론과 그에 얽힌 정치적 이해를 세밀하게 추적하면서 밝혔다.
먼저 기호학파의 경우 저자는 호론과 낙론의 분열을 이론적 측면에서 검토한 다음, 화양서원묘정비 건립과 송시열의 영정 봉안, 그리고 한원진의 시호를 요청하는 과정에서 양측이 전개한 쟁론을 ‘이재난고(헊齋亂藁)’와 ‘화양서원묘정비(華陽書院廟庭碑)’ 등 자세히 연구되지 않은 새로운 사료들을 이용해 세밀히 추적했다. 또 송시열 이래 기호학통의 정통성을 자파에 두어 기호학단의 주도권을 획득하려는 양측의 노력을 사실적으로 기술하면서, 한편으로 양측의 이론적 입장이 정치적 태도와 연관되는 양상을 밝히고 있다.
낙론계 인물인 임헌회와 유신환의 활동에 관해, 저자는 임헌회를 중심으로 홍직필-임헌회-전우 라인과 이항로-유중교·김평묵 라인 사이의 학설과 출처를 둘러싼 쟁론을 분석하면서, 명덕(明德) 개념에 대한 주기와 주리의 대립, 임헌회와 김평묵 사이의 토론(星田夜話), 임헌회의 사후 학통을 둘러싼 쟁론 등을 자세히 드러냈다. 저자는 임헌회측이 김병기, 민규호 등 관료측과 가까이 지내면서 개항 전후 척사에 적극적 태도를 보이지 않았으며, 그 때문에 이항로-김평묵 라인으로부터 비판받았다고 본다. 그리고 임헌회측 역시 근본적으론 척사를 주장하는 보수적 유학자들이었지만, 학통과 사회적 처지를 지키는 것에 급급했기 때문에 당시 대내외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고, 척사운동 전개에 지장을 줬다고 파악한다.
‘영남만인소’ 초본 내용 등 새 자료 제시
김평묵과 정윤영의 연구를 통해 저자는 병자년(1876)과 신사년(1881)에 활발히 전개된 척사운동의 성격을 해명한다. 병자년 개항 시기 김평묵의 척사론은 반외세의 성격과 동시에 내부적으로 남인-소론-개화세력들에 대한 비판과 정치적 위기의식이 결합된 성격을 띠지만, 신사년에 이르면 반외세에 초점을 둔 근대 민족운동에 접근해간다는 것이다.
19세기 척사론의 성격에 대한 저자의 독법은 유치명 일파의 척사운동과 신사년 영남만인소에 대한 분석에서도 이어진다.
저자는 유장원과 남한조를 통해 이상정의 학통을 계승한 유치명이 이황-김성일로 이어지는 호학(湖學)을 영남학파의 정통으로 정당화하려는 노력들을 세밀히 추적한다. 호계서원에 이상정을 추향시키기 위한 일련의 과정, 고산서당 강회를 통해 자파의 세력을 확대하는 양상, 1855년 장헌세자 추숭을 요청하는 소(疏) 등을 상세히 기술한다. 그러면서 유치명이 남한조를 통해 안정복의 ‘천학문답(天學問答)’ 등의 영향을 받으며 척사의식에 접하고, 1848년 유건휴가 편찬한 ‘이학집변(異學集辨)’을 통해 구체적 인식을 가졌을 것으로 추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