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진삼 회백이 동양적 외모를 살려 그린 아틸라 초상화.
아시아 동북부 일원에서 고구려가 막강한 중국에 맞서 수백 년간 영토를 확장하며 위세를 떨쳤기 때문일까. 한국 사람들은 멸망한 대국, 고구려에 강한 매력을 느낀다. 고구려는 지리적 여건이 불리했음에도 한때 한민족 사상 가장 광대한 영토를 확보했다. 광개토대왕(375∼413) 재위 당시 고구려 영토는 서쪽으로는 요하, 북쪽으로는 개원, 동쪽으로는 옥저와 예, 그리고 남쪽으로는 한강 유역에 이르렀다. 역사학자들은 일반적으로 광개토대왕과 장수왕(413∼491) 시대에 고구려가 고조선이 차지했던 영토를 거의 모두 되찾은 것으로 추정한다.
현대의 과학문명은 유럽에서 시작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기원전 500년경 그리스에 이어 로마가 정치적, 군사적으로 ‘세계의 중심’이 된 이후, 세계 역사는 유럽 중심으로 흘러왔다. 로마가 유럽을 지배하던 시대에 몇몇 아시아 민족이 유럽에 진출하긴 했지만, 로마를 완전히 정복하는 데는 실패했다.
그러나 로마를 멸망시킨 세력은 다름아닌 아시아 민족인 훈족(Huns). 서기 375년, 기마 민족인 훈족이 볼가강을 건너와 게르만족의 한 갈래인 동고트를 공격했고, 동고트는 서고트를 공격했다. 이에 서고트는 로마제국의 영토로 들어가 보호를 요청했다.
게르만족이 로마 영토에서 살게 된 지 100년 후인 476년, 서로마제국은 결국 게르만족의 수장(首長) 오도아케르에 의해 멸망한다. 이후 게르만족이 서유럽과 아프리카 북부 등 여러 지역으로 갈라지면서 유럽에는 새 국경이 그어졌다. 이때 성립된 국경은 대부분 현재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훈족은 한민족의 일파
그런데 최근 서유럽에서 게르만족의 이동을 촉발시키고 로마제국을 풍전등화의 운명속으로 몰아넣은 주인공인 훈족이 실은 한민족의 일파임이 세계 각지에서 발굴된 유물과 사료를 통해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놀라운 역사적 주장에 흥미를 갖는 사람도 많지만, ‘무슨 얼토당토 않은 소리냐’는 반응을 보이는 사람도 적지 않다. 훈족이란 이름 자체가 우리에게 생소할 뿐더러, 교통이 발달하지 않은 서기 4∼5세기경 한반도에 살고 있던 한민족이 어떻게 유럽을 공격할 수 있었겠느냐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훈족이 한민족의 일파라는 역사적 주장이 곧 한민족이 유럽을 직접 공격했다는 것을 의미하진 않는다. 훈족은 흉노(匈奴, 북방 기마 민족을 통칭한다)의 한 분파로, 기원전 3세기부터 서기 4세기까지 약 700년간 중원 지역을 놓고 중국과 각축전을 벌였다.
이 과정에서 흉노는 끊임없이 부침을 거듭했다. 이때 흉노에 속해 있던 한민족 원류 중 일부가 서쪽으로 진출하면서 훈족으로 성장했고, 또 한 부류는 한반도 남부지역까지 진출해 현재의 한민족의 일부가 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은 다음과 같은 점을 근거로 하고 있다.
프랑스 등 서유럽에 살고 있는 훈족의 후예들에게서 몽골반점이 발견되고 있다. 몽골반점은 꼬리뼈 높이의 엉덩이에 나타나는 색소 변색으로 유전학적으로 몽골계통의 민족에게서 나타나는 신체적 특징이다. 몽골반점이 한민족에게만 나타나는 특징은 아니지만, 훈족 후예들이 몽골반점을 갖고 태어난다는 점을 미루어볼 때 한민족과 훈족은 친척의 인연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훈족은 그들 특유의 예맥각궁(濊貊角弓)을 사용했다. 예맥각궁은 만드는 데만 5년, 제대로 쏘기 위해 활을 익히는 데만 10년이 걸리지만, 1분 안에 15발 이상 쏠 수 있다고 알려진 활이다. 훈족이 예맥각궁을 사용했다는 것은 이탈리아 북부 지역인 아퀼레이아에 자리한 크리프다 아프레시 교회의 프레스코화가 말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