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1970년대 ‘충무로 누벨 바그’ 윤여정

“조영남 만나 인생 끝냈기에 배우로 부활할 수 있었다”

1970년대 ‘충무로 누벨 바그’ 윤여정

1/9
  • 세상에는 불과 두 세 작품으로 평생 영화배우가 되는 이들이 있다. 제임스 딘이 그랬고 이 여자 윤여정이 그렇다. 1971년 ‘화녀’로 영화계에 데뷔한 이래 지난해 ‘바람난 가족’으로 18년 만에 컴백하기까지 그녀가 주연한 영화는 다섯 손가락을 간신히 헤아린다. 그러나 ‘화녀’를 본 관객들이라면 잊을 수 없으리라. 섹스를 생각할 때마다 두 손 두 발을 뒤틀고, 음흉한 눈길로 남의 집 침실을 엿보던 가정부 명자를.
1970년대 ‘충무로 누벨 바그’ 윤여정
김기영 감독의 진정한 페르소나로 불리는 윤여정은 스크린에서 지독히도 강렬한 이미지의 팜므 파탈로 출발했다. 물론 그녀의 팜므 파탈은 순한국형이어서, 스스로 주체가 되기 위해 남성들을 살인의 골짜기로 밀어넣는 서양형과 달리 결혼 제도 바깥에서 정실부인이 되려는 욕망으로 가득 찬 요부였다. 1960년대 막 신흥계급으로 떠올랐던 중산층에 대한 동경과 한국인 특유의 정실부인 콤플렉스가 결합된 이 역할로 그녀는 신인으로는 전무후무하게 대종상과 청룡상, 시체스 영화제 여우주연상을 휩쓸었다. 그녀는 1970년대 초반, 문희 윤정희 남정임의 트로이카 시대가 저물 무렵 혜성처럼 나타난 신인 여배우였다.

순진하면서도 명민한 그녀의 얼굴은 신화가 되기에는 ‘1인치’ 모자랐으나 그 자긍심이나 연기력은 여타 여배우들보다 ‘1인치’ 높은 잣대를 지니고 있었다. 어쩌면 청바지 차림으로 윤형주 이장희 조영남과 어울려 카페 ‘쎄시봉’을 드나들던 당대의 ‘문화 지식인’인 그녀가 부박한 영화판을 등지고 더 부박한 미국 생활을 택했던 것은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그 후 13년, ‘1960년대의 김희선’에서 사랑과 이국생활 모두에 진력이 나버린 중년부인으로 변해 갑자기 나타난 윤여정은 전설과 현실이 부정교합된 브라운관의 틈바구니에서 기어올라와 다시금 안방을 무혈점령하게 된다. 이상하게도 그녀는 김수현의 배우로 기억되지만 실제로는 아니다. 윤여정은 노희경의 배우이기도 하고 인정옥의 배우이기도 하며, 무엇을 해도 윤여정 그 자체인 그런 배우다. ‘사랑이 뭐길래’에서 속사포처럼 한 무더기의 대사를 집어삼키며 팔팔 뛰어도, ‘내가 사는 이유’에서 인생이 아프다고 울부짖는 주인공에게 말 한 마디 없이 담배만 피며 위로할 때도, 그녀는 삶의 질긴 열정과 텅 빈 허망함을 동시에 표현할 수 있는 그런 배우였다. 연기의 밀물과 썰물을 동시에 가르며, ‘여배우의 주름살은 삶이 주는 훈장’이라는 명언을 입증하며, 그 충만한 에너지와 자의식으로, 신경질적이면서도 바늘 끝에 서 있는 듯한 섬세함과 부드러움으로, 그녀는 대한민국의 중견 탤런트란 세상에서 가장 뛰어난 배우임을 줄기차게 예증하고 있다.

내가 그녀를 인터뷰 한 날도 그녀는 변함없이 TV 드라마를 찍은 후였다. 30여년 전 긴 생머리에 청바지를 입은 처녀였던 그녀는 아직도 청바지를 입고 허심탄회한 목소리로 당당하게 자신의 삶을 뒤돌아보았다.

아르바이트 삼아 시작한 탤런트



-저는 두 가지 면에서는 윤여정씨를 존경합니다. 첫 번째는 당시로는 드물게 자의식이 있는 여배우상을 보여줬다는 거고, 또 하나는 어쨌든 10년 넘게 일을 안 하실 수 있었다는 점입니다. 일을 그만두겠다고 결심하고, 또 그 일을 다시 시작했을 때 멋지게 재기한 점.

“다른 배우는 자의식이 없나요 뭐. (웃음) 한국에 돌아올 때는 저도 고민 많이 했어요. 가정적으로도 실패했고, 잘 안 돼서 돌아간다는 것도 우습고. 그렇지만 결과적으로 볼 때 그런 경험이 없었다면 내가 연기자로 다시 설 수 없었을 거예요. 그 무렵에는 단역이래도 나오라는 대로 다 나갔어요. 돈이 급했으니까요. ‘애들을 벌어 먹여야 되는데, 깍지 끼고 평생을 살자고 맹세했던 사람한테도 당했는데, 돈 주고 나오라는 곳을 내가 왜 안 가나’ 그런 마음이었어요.

결혼하자마자 연기를 그만뒀던 것도 그래요. 내가 배우가 된 동기가 사실 참 불순했어요. 하고 싶어서 한 게 아니거든요. 내가 이화여고를 나왔는데 명문대에 못 들어갔어요. 웃기는 얘기지만 그때는 그러고 나면 동창들 사이에서건 집에서건 낙오자 취급을 받던 때였어요. 후기로 대학을 갔는데 엄마한테 등록금 달라기가 너무 미안한 거예요. 그래서 아르바이트 삼아 나가기 시작한 게 텔레비전이었어요. 그런데 이런 얘기 막 해도 되는 건가. (웃음) 그래서 늙는다는 게 참 좋아요. 내가 마흔만 됐어도 이런 얘기 안 했을 텐데 요즘은 뭐든 다 얘기해요.”

-원해서 시작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쉽게 그만둘 수 있었다….

“사람이 그런 거예요. 우습지만 그때 나는 배우가 된 동기가 불순하다는 걸 자랑스럽게 생각했어요. 원래 배우가 될 사람이 아닌데 어쩌다 됐다고 생각했으니까. 그런데 우리 때만 해도 여배우가 뜨면 ‘선데이서울’에 수영복을 입고 사진을 찍어야 했어요. 하지만 난 그걸 한번도 안 했어요. 돈을 아무리 많이 준대도 못 하겠더라고요. 여기를 빨리 떠나야 된다는 생각뿐이었죠. 그 수단이 결혼이었어요. 행복하게 결혼했기 때문에 일에는 아무 미련이 없었어요.”

1/9
글: 심영섭 영화평론가 chinablue9@hanmail.net
연재

한국영화를 빛낸 스타들

더보기
목록 닫기

1970년대 ‘충무로 누벨 바그’ 윤여정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