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정기준은 법무·검찰의 경우 대검차장, 중수부장, 서울지검장, 법무부 검찰국장 등 법조계에서는 이미 최고의 실세 자리로 검증받은 이른바 ‘빅4’에 해당하는 인사들만 포함시켰다. 군도 합동참모본부장과 육·해·공군참모총장, 한미연합사령부 부사령관 등 대장급 장성 5인방으로 제한했다. 또 각 부처에서는 차관보와 기획관리실장 등 요직으로 분류되는 자리를 중심으로 부처 안팎의 평가와 성향 등을 고려해 동아일보 출입기자들의 추천을 받아 선별했다.
그 결과 아직 인사가 끝나지 않은 문화관광부와 연공서열이나 승진시기에 맞춰 인사가 이뤄져 노무현 정권의 파워엘리트로 꼽을 만한 공직자가 없는 것으로 평가된 행정자치부 등 2개 부처는 제외됐다. 이같은 기준을 통해 선정된 각 부처 1급 및 핵심공직자는 모두 63명이다.
먼저 이번에 포함된 장·차관급 인사 8명을 연령대로 보면 40대 2명, 50대 3명, 60대 3명 등으로 비교적 골고루 분포돼 있다. 하지만 50대 3명은 모두 차관급인 반면 40대 2명이 장관급 인사로 발탁됐다는 점에서 노무현 정권의 파격인사의 단면을 엿볼 수 있다.
또 지역별로는 8명 중 경남·북이 4명으로 절반을 차지해 노대통령과 지역이 같은 영남출신 인사들로 최고위층이 채워졌음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나머지 4명은 서울과 경기, 충북, 강원 출신으로 각 1명씩이다. 호남출신은 없다.
노정권의 공직사회가 젊어졌다는 사실은 각 부처 1급 및 핵심공직자들에 대한 연령별 분석에서도 분명하게 나타난다.
각 부처 1급에 해당하는 고위공직자 63명 가운데 50대가 51명으로 절대 다수를 차지했지만 40대도 12명으로 20%에 달했다. 50대 장관에 40대 1급이면 자연스러운 현상처럼 보이지만 50대 중·후반이 1급 이상을 거의 점령했던 과거 공직사회와 비교하면 엄청나게 젊어진 것이다.
지역별로 보면 부산·경남 14명, 대구·경북 11명 등 영남출신이 25명이고, 광주·전남 17명, 전북 6명 등 호남이 23명으로 영·호남간 그다지 큰 지역적 편향을 보이지는 않았다. 하지만 두 지역을 합해보면 기타 지역들이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핵심 1급 인사 63명 가운데 영·호남출신은 모두 48명으로 76%의 점유율을 나타낸다. 나머지 지역은 서울 6명을 포함해도 대전·충남 5명, 충북 3명, 강원 1명 등 15명으로 25%에 불과하다.
출신학교별 분포를 보면 역시 서울대가 27명으로 독보적이다. 특기한다면 성균관대가 6명으로 연세대 5명, 고려대 3명 등 전통적인 사립명문을 제쳤다는 점이다. 인수위에 이어 청와대 비서실에 진출한 386 운동권 출신 실무 행정인력 중에도 성균관대 출신이 상당수 포함돼 있어 노정권과 함께 약진한 사립대로 꼽을 만하다. 육사 출신은 4명, 경북대와 영남대가 각각 2명, 전북대와 부산대, 충남대 등 14개 대학 출신들이 각 1명씩이다.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