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8월호

“경북에서 1명이라도 국회의원 만들어내는 게 목표”

‘영남 민주당’ 임미애

  • reporterImage

    박세준 기자

    sejoonkr@donga.com

    입력2022-07-27 10:00:01

  • 글자크기 설정 닫기
    • 민주화 항쟁 때 이화여대 학생회장, 돌연 농촌行

    • 어머니회 활동하며 지역 일꾼으로 성장

    • 학교 급식 문제 해결하다 다시 정치인의 길로

    • 기득권 내려놓는 방식으로 선거제도 고쳐야



    작품이 끝났고 배우는 무대에서 내려왔다.

    민주화 항쟁을 거쳐 1987년 대통령 직선제가 시작되자 이화여대 총학생회장이던 23세 임미애는 학생운동의 중심에서 내려왔다. 항쟁을 이끌던 다른 대학생 대표들이 대거 정치권에 진출한 것을 생각하면 이례적 행보다. 1988년 대학 졸업 후 김현권 경기에너지진흥원장을 만났다. 1992년 결혼 후 돌연 남편의 고향인 경북 의성군으로 향했다. 그러곤 십 수년을 농부로 살았다.

    농부이던 그는 어느새 다시 정치를 시작했다. 2006년 의성군의원을 시작으로 2018년에는 경북도의원이 됐다. 올해 6월 지방선거에는 경북도지사에 도전했다. 임 전 의원은 이 선거에서 22.04%를 득표했다.

    “어차피 정치를 할 것이었으면, 그대로 서울에 남는 편이 낫지 않았을까요”라고 묻자 임 의원은 “20대의 화려한 경력은 제가 노력해서 만든 것이 아닙니다”라며 말문을 열었다.



    “당시 시대적 상황이 있었고, 동료들이 도와준 덕에 잠시 스포트라이트를 받았을 뿐입니다. 이 경험을 바탕으로 바로 정치를 시작하고 싶지는 않았습니다. 설사 그때 정계에 입문했더라도 20대에 쌓아온 이미지를 소비하는 모습만 보였을 것 같아요.”

    임미애 전 경북도의원이 6월 23일 서울 서대문구 동아일보 충정로사옥에서 기자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지호영 기자]

    임미애 전 경북도의원이 6월 23일 서울 서대문구 동아일보 충정로사옥에서 기자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지호영 기자]

    ”정치 잊으려 서울과 연락도 끊었다“

    임 전 의원은 서울을 떠나며 학생운동을 하던 동료들과 연락을 끊었다. 그는 “그때 제 당면 과제는 의성에서 농부로 제대로 정착하는 것이었어요. 다른 것은 생각할 겨를이 없었습니다”라고 말했다. 현실의 벽은 높았다. 평생 도시에서만 살았던 사람이 농부가 되긴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생애 첫 농사의 결과는 어땠나요.

    “1992년 첫 사과 농사를 지었는데 당시 사과 값이 많이 떨어졌어요. 농사만 지어서는 먹고살 수 없을 수준이었습니다. 먹고살아야 하니 수확한 사과를 따서 트럭에 싣고, 전국 방방곡곡을 돌며 사과를 팔았습니다.”

    임 전 의원은 “두 아이가 태어나고도 상황은 나아지질 않았어요. 아이 둘을 트럭에 태워 사과를 팔러 다니다 더는 안 되겠다 싶었습니다. 호구지책으로 1990년대 말 의성에 보습학원을 하나 열었습니다. 다행히도 학원이 잘됐어요. 10년 정도 운영하다 학원을 접었습니다.”

    잘되던 학원을 왜?

    “농사를 지으러 내려온 사람이니까요. 농사를 다시 지으려 그만 뒀습니다.”

    사과 재배로 시작한 농사는 규모가 꽤 커졌다. 지금은 사과밭이 자두밭이 됐다. 소도 키운다. 임 전 의원은 “남편이 경기도로 가게 되니 혼자는 감당이 안 되더라고요. 지금은 규모를 조금 줄였습니다”라며 웃었다.

    농사를 지으며 살다 2006년 돌연 다시 정치를 시작했습니다.

    “아이들 다니던 학교에서 어머니회장을 하다 여기까지 온 것 같아요.”

    어떻게 어머니회장이 됐나요.

    “어느 날 학교에서 돌아온 아이들이 급식이 너무 맛없다고 불평하더군요. 마침 아이들 다니던 학교에서 ‘어머니 교실’이라는 행사가 열렸습니다. 이 자리에서 교장선생님이 학부모들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를 허심탄회하게 해보라고 하시더라고요. 그 자리에서 급식의 질을 높여달라 요구했습니다. 이때 다른 학부모들이 나를 유심히 본 것 같아요. 다음해에도 같은 행사가 있었는데 이 자리에서 학부모들의 추천으로 어머니회장이 됐습니다.”

    급식 문제 해결하다 다시 시작한 정치

    어머니회장이 군의원까지 이어진 건가요.

    “정확히는 급식 문제를 해결하다 보니 군의원이 됐습니다. 당시 의성군의 급식 재료는 거의 수입산 농산물이었습니다. 지역에서 좋은 농산물이 나는데도 아이들이 그것을 먹지 못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조사해 보니 단가가 문제였습니다. 급식 단가를 올리려면 행정적 지원이 필요했습니다. 급식 단가 지원 조례를 만들어보고자 2006년 군의원에 출마했습니다.”

    당선을 자신했나요.

    “당시 의성군에는 기초의원 자리가 세 자리였어요. 학부모들과 경북 지역 민주당 지지자들이 도와준다면 선거에 나가 3등은 할 수 있겠다는 계산이 섰습니다.”

    2006년 지방선거부터 기초의원에 한해 중대선거구제가 적용됐다. 소선거구제에서는 한 지역당 한 명의 의원이 선출된다. 특정 지역에 의석이 3개 있다면 지역구를 셋으로 나눠 각각 한 명씩 의원을 뽑는 방식이다. 중대선거구제는 특정 지역 전체를 대상으로 투표를 실시해 1등부터 3등을 의원으로 선출하는 식이다. 따라서 득표율 3위였던 임 전 의원도 군의회에 입성할 수 있었다. 이후 재선에 성공해 8년간 군의원으로 활동한 임 전 의원은 2018년에 경북도의원이 됐다. 단순히 살던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는 수준에서 본격 정치인이 된 셈이다.

    도의원에 도전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도의원, 도지사 선거 모두 나갈 사람이 없어서 제가 출마했습니다. 후보 자리를 비워두면 다른 기초의원 후보자들의 선거운동에 악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한 후보라도 더 당선시키자는 마음으로 출마했죠.”

    그런데 도의원에 당선이 됐습니다.

    “군의원 경력이 좋게 작용한 것 같아요. 주민들이 저를 ‘민주당 임미애’보다는 ‘지역 일꾼 임미애’로 보신 것 같습니다.”

    비결이 뭐라고 생각하나요.

    “민원에 대한 정확한 피드백인 것 같아요. 주민들 민원을 조례로 만들고, 통과가 안 됐다면 어떤 문제로 안 됐는지 투명하게 설명드리거든요. 그만큼 주민들을 자주 만나기도 하고요.”

    임 전 의원은 지금도 의성군 중심가에서는 차를 타지 않는다. 더 많은 주민을 만나기 위해서다. “중심가가 작아서 10분이면 군청에서 중심가 끝까지 걸어갈 수 있거든요. 그런데 주민들 만나서 인사하다 보면 그 짧은 길을 걸어가는 데 50분이 넘게 걸립니다.”

    중앙당 실책이 지방선거에도 악영향

    이제 도지사 선거 이야기를 해볼까요. 22.04%로 낙선했지만 열세 지역에서 잘 싸웠다는 평가가 주를 이룹니다.

    “좋은 결과를 내진 못했다고 생각해요. 그러나 경북도에서 민주당이 20년이 넘는 세월 고생한 성적표라기엔 너무 초라합니다.”

    출마할 때 목표는 당선이었나요?

    “당선은 바라지 않았죠. 그래도 25~30% 정도는 득표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제가 부족했던 거죠.”

    지금까지의 지방선거와 이번 선거는 조금 달랐던 것 같습니다.

    “경북은 투표율이 너무 낮았어요. 저희가 25% 이상 득표하려면 투표율이 65%는 나와야 합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투표율이 52%에 그쳤어요. 민주당을 지지하는 분들이 투표장에 나오지 않은 것 같습니다.”

    민주당 지지자들이 왜 투표를 포기했을까요.

    “군이나 지방정치에도 이유가 있을 테지만 민주당의 문제도 컸습니다.”

    중앙당의 실책이 있었다는 건가요.

    “경북 같은 민주당 열세 지역에서는 ‘지역 일꾼’으로 선거를 치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당과 무관하게 지역을 위해 일해 줄 사람을 뽑자는 분위기가 조성돼야 하죠.”

    그렇지 못했다?

    “선거운동 초반에는 상황이 좋았죠. 그런데 이재명 의원의 인천 계양을 출마와 송영길 전 대표의 서울시장 출마 등이 이어지며 유권자의 관심이 당 공천의 정당성으로 옮아갔습니다.”

    패착 있었다면 당이 사과해야

    민주당은 이 의원과 송 전 대표의 출마를 두고 ‘불가피한 결정’이라고 했는데요.

    “당 차원에서는 불가피한 선택일지 몰라도 유권자들의 생각은 다른 것 같습니다. 당의 결정에 실망해 투표하러 나오지 않는 분도 많았습니다.”

    민주당에서도 비슷한 내용의 분석이 나왔다. 민주당 싱크탱크 민주연구원이 7월 4일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민주당이 지방선거에 참패한 원인으로 ‘이재명, 송영길 등 공천 정당성 미흡’(23.2%)을 꼽은 이들이 가장 많았다.

    두 사람이 선거에 나오지 않았다면 더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었을까요.

    “지방선거 패배 책임이 두 분에게 있다고 보지는 않습니다. 다만 당은 책임을 져야 합니다. 당이 오류가 없는 존재는 아니잖아요. 오판이었으면 사과하고 반성해야죠.”

    당내에서는 계속 쇄신하겠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데요.

    “비상대책위원회가 구성됐으니 전당대회를 준비하며 다양한 쇄신안이 나오겠죠.”

    비대위 합류 제의를 받은 것으로 압니다.

    “지방선거 끝나고 경북도당위원장직에 도전하겠다고 공언했습니다. 저는 제 일을 해야죠.”

    중앙정치를 하는 편이 정치 경력에는 더 좋지 않을까요.

    “비대위원이 되더라도 운신의 폭이 크지는 않았을 것 같았어요. 오히려 험지에서 버텨온 제 이미지를 당이 쓰게 되겠죠. 그런 식으로 정치를 하고 싶은 마음이 없습니다.”

    정치인이라면 기득권 내려놓아야

    지방선거를 치른 정치인으로서 가장 먼저 바뀌어야 할 부분을 지적한다면?

    “선거제도죠. 이번 지방선거만 봐도 508명이 상대 후보가 없어 무투표 당선됐습니다. 경북 지역만 봐도 도의원의 40%가 무투표 당선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영남 지역 젊은 정치 지망생들에게 민주당원으로 정치를 계속하라고 말할 수가 없습니다. 무투표 당선을 줄이고 더 다양한 목소리가 기초의회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그는 잠시 말을 멈추고는 “저는 당내 기득권이라고 불리는 86세대예요. 민주화 과정에서 주목받으며 정치적으로 수혜를 본 세대입니다. 86세대의 숙제는 ‘87년 이후 체제’의 문제를 극복하는 것이라고 봐요. 선거제도도 마찬가지죠, 이를 고치지 않는다면 지역 구도는 영원히 허물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봅니다” 라고 말했다.

    선거제도를 고칠 때 가장 먼저 할 일이 뭘까요.

    “기득권을 내려놓아야죠. 민주당과 국민의힘은 선거제도를 바꾸고 싶지 않을 겁니다. 쉽게 의석을 얻을 수 있는 방편이니까요. 민주당이 2021년 국회 다수당이 됐을 때, 이 선거제도를 고쳐야 했다고 봅니다.”

    양대 정당이 기득권을 내려놓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기득권을 내려놓지 않고서는 사회를 바꿀 수 없습니다. 이를 내려놓는 과정에서 정당과 정치인의 진정성이 드러납니다.”

    향후 목표는요.

    “도당위원장이 돼 2년 뒤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경북 지역 중 한 군데에서라도 국회의원을 내고 싶습니다. 그 이후 도지사에 재도전할 생각입니다.”

    다음 도지사 선거 승산은?

    “정치는 모르는 일이죠. 일단은 열심히 준비해 볼 작정입니다.”





    박세준 기자

    박세준 기자

    1989년 서울 출생. 2016년부터 동아일보 출판국에 입사. 4년 간 주간동아팀에서 세대 갈등, 젠더 갈등, 노동, 환경, IT, 스타트업, 블록체인 등 다양한 분야를 취재했습니다. 2020년 7월부터는 신동아팀 기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90년대 생은 아니지만, 그들에 가장 가까운 80년대 생으로 청년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KAI “성능 문제없고, 폴란드 측 승인 기다리는 중”

    “어머니 사랑 안에서 지구촌의 화합과 평화 구현할 것”

    댓글 0
    닫기

    매거진동아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추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