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단어만 외우게 하는 수능이 ‘ 진짜 영어’ 죽이는 주범

학원에서 아이들 가르쳐보니…

단어만 외우게 하는 수능이 ‘ 진짜 영어’ 죽이는 주범

1/4
  • 초·중·고교 영어교육이 개편된 지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우리 아이들이 외국인과 영어로 자연스럽게 대화하기란 여전히 힘들다. 어학원을 운영하는‘신동아’ 독자 안천구씨가 직접 아이들을 가르치며 느낀 학교 영어교육의 문제점을 정리해 보내왔다.
단어만 외우게 하는 수능이 ‘ 진짜 영어’ 죽이는 주범
과거의 문법 위주 영어교육이 이른바 죽은 영어교육이라 해서 독해 위주로 전환한 지 꽤 오랜 시간이 흘렀다. 그렇다면 지금 초·중·고생의 영어 실력은 좀 나아졌을까.

여전히 우리 아이들은 입으로 영어 한마디 옮기는 데 힘들어한다. 이러한 현실은 획기적인 변화가 없는 한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전문가들은 영어교육이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하면서도 무엇을 어떻게 바꿔야 하는지는 잘 모르고 있는 듯하다.

나는 서울에서 조그마한 어학원을 운영하면서 아이들을 직접 가르치는 원장 겸 강사다. 내 경험을 바탕으로 우리 아이들이 어려서부터 학교와 학원에서 긴 시간과 많은 돈을 투자해 영어를 배우면서도 입으로 간단한 생활영어 하나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까닭을 분석해봤다.

영어교육과에서 배우는 것

우선 예비 영어교사를 길러내는 대학 영어교육학과 교수들의 실력이 출중하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지만, 이들은 대부분 중·고생을 직접 가르쳐본 적이 없고 전공도 대부분 ‘영어교육’과는 거리가 멀다는 점이다. 한 예로 서울 모 대학의 영어교육과 교수 6명의 전공을 살펴보면 영어교육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사람은 단 한 명이고 나머지는 영미 시나 소설 등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영어를 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고 해서 다 영어교육과 교수가 된다면 문제가 있는 것 아닐까. 좀 지나친 비유일지 몰라도 가령 프랑스에서 미술공부를 해 불어에 능숙하다고 해서 한국에 와서 불어교육과 교수가 될 수는 없지 않은가.



더욱 걱정스러운 것은 그 6명 중에 중·고생을 실제로 가르친 경험이 있는 교수는 한 명뿐이라는 사실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실제 중·고생들이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 알지 못한 채 이론으로만 가르치는 교수들에게 배운 학생들이 교사가 되어 우리 아이들을 가르치는 셈이다. 적어도 사범대학의 교수가 되려면 중·고생을 가르쳐본 경험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 한다.

또한 영어교육학과와 영어영문학과에서 영어교사가 되기 위해 배워야 하는 영어과목은 두세 과목에 지나지 않는다. 4년 동안에 배우는 과목 대부분이 교육심리학 같은 교직 과목과 음성학 등 주로 이론 과목들로, 교육 현장에서 영어를 가르치는 데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학문 위주다. 현장에서 필요한 실무적인 부분은 부족할 수밖에 없다.

결국 영어교육과를 졸업하는 학생 대부분이 시중에 나와 있는 수십년 된 문법서를 가지고 공부해서 ‘검증되지 않은 문법’을 아이들에게 가르치니 예전의 영어나 지금의 영어나 다를 리 없는 것이다.

언어도 세월이 흐르면 변화하게 마련이다. 우리만 이러한 변화에 무감각하다. 악순환이 거듭되는 것은 이런 사정 때문이다.

1/4
안천구 TOP 어학원장
목록 닫기

단어만 외우게 하는 수능이 ‘ 진짜 영어’ 죽이는 주범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