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박종구 아주대학교 총장직무대행

“융합과 실용으로 글로벌 강소(强小)대학 도약”

박종구 아주대학교 총장직무대행

1/4
  • ●2018년 亞 50대大, 2023년 세계 100대大 진입
  • ●경쟁大 교수들과 상대평가해 교수 연봉 차등화
  • ●이공·경영·법학·의약 4대 성장축이 핵심역량
  • ●취업과목 다양…주요 대학 중 실질 취업률 4위
박종구 아주대학교 총장직무대행


아주대학교는 아담한 몸피에 참 다양한 얼굴을 하고 있다. 대학의 면모를 골고루 갖춘 것은 분명한데, 언뜻 기업처럼 보이기도 하고, 정부 조직 같은 인상을 풍기기도 한다.

예컨대 아주대가 학문의 융합과 통섭으로 학제 간 시너지 효과를 키워간다거나, 강의의 질을 높이고 취업률을 끌어올리기 위해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은 대학 본연의 자구 노력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교수들을 대상으로 다른 대학 교수들과 연구업적을 상대평가해 능력별 연봉제를 실시한다든지, 세부 항목까지 점수가 매겨진 강의평가 결과를 인터넷에 100% 공개한다든지, ‘성과에 따른 예산 배분’ 원칙을 표방하고 나선 것은 실적을 으뜸의 가치로 치는 기업적 발상에 가깝다.

그런가 하면 ‘아주비전 2023’ 같은 중장기 목표(2013년까지 국내 10대 대학 재진입, 2018년까지 아시아 50대 대학 진입, 2023년까지 세계 100대 대학 진입)를 설정해놓고 단계별 프로젝트에 ‘올인’한다거나, 다소간의 반발을 무릅쓰고 일련의 개혁 조치를 뚝심있게 몰아붙이는 것은 개발경제시대를 헤쳐나가는 신흥국 정부의 단호한 의지를 떠올리게 한다(‘경제개발 5개년계획’!).

대학·기업·정부 두루 경험



아주대가 이처럼 다양한 색깔을 드러내는 것은 박종구(朴鍾九·52) 총장직무대행의 독특한 커리어와도 무관하지 않은 듯하다. 미국 시러큐스대 경제학 박사인 박종구 총장직대는 1987년부터 아주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기획처장, 홍보실장, 교무부총장을 역임했다. 학계가 친정이지만, 경제학자이다보니 대한상공회의소, 전국경제인연합회 등의 연구·자문위원으로 기업들의 사정을 들여다볼 기회가 많았다. 존경하는 인물은 이병철 삼성그룹 선대 회장이고, 삼성경제연구소 ‘CEO 인포메이션’을 꼼꼼히 챙겨 읽으며 대학 행정에 삼성을 벤치마킹한다.

게다가 박 총장직대는 기업인 집안 출신이다. 고(故) 박성용 전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이 그의 맏형, 최근 경영 일선에 복귀한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이 셋째형이다. 5형제 중 막내인 그는 형제 중 유일하게 그룹 경영에 참여하지 않았으나 ‘어깨너머 수업’으로 이론과 현실의 합치점을 찾아보는 ‘필드워크’는 적잖이 축적했을 것이다.

관료 생활도 10년 넘게 했다. 1998년 개방형 직위공모제를 통해 정부 조직에 진출, 기획예산처 정부개혁실 공공관리단장(이사관)으로 포스코, KT, KT·G 등 굵직굵직한 공기업 민영화 작업을 주도했다. 이어 국무조정실에서 수질개선기획단 부단장(관리관), 경제조정관, 정책차장을 지냈고, 과학기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차관급)을 거쳐 2008년 교육과학기술부 제2차관에 올랐다. 당시 교과부 제2차관의 관장 분야는 연구·개발이 주를 이루는 고등교육(대학)과 과학. 지난 3월부터 아주대 총장직무대행을 맡아온 그는 “정부에서 일해본 경험이 대학 운영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고 했다.

“교육정책을 비롯해 정부 정책의 큰 흐름을 짚고 있으니까 그런 흐름 속에서 아주대를 어떻게 변화시켜야 할지 고민합니다. 저는 공직자의 자질과 역량을 높이 평가하는데, 그와 비교해 우리에겐 무엇이 부족하고 어떻게 보완할 것인지 아이디어도 얻고요. 정부는 철저하게 목적지향적인 조직이라 공공성, 생산성, 효율성, 신속성 등 대학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부분에 강점이 있거든요.

박종구 아주대학교 총장직무대행

경기 수원시 영통구 원천동 아주대학교 전경



1/4
이형삼│동아일보 신동아 편집위원 hans@donga.com│
목록 닫기

박종구 아주대학교 총장직무대행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