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 금오공대 캠퍼스 운동장 터.
구미시 신평동 옛 금오공대 캠퍼스 터 9만432㎡. 마무리 공사가 한창인 현대식 건물들이 즐비하게 서 있다. 이곳은 국립 금오공대가 2005년 1월 구미시 양호동 새 캠퍼스로 이전한 뒤 국유재산으로 남았다. 구미시는 2011년 이 중 3만5000여㎡를 매입해 모바일융합기술센터, 구미시종합비즈니스지원센터, IT의료융합기술센터, 3D융합기술센터를 구축하고 있다.
이와 연계해 금오공대, 경운대, 구미대, 영진전문대는 옛 금오공대 캠퍼스 터 4만여㎡를 20년 무상 임차해 대학과 기업이 함께 배우고 일하고 휴식하는 산학융합지구(QWA 밸리)를 조성한다. 이 계획에 따라 교육관, 기업연구관, 평생교육원 등이 세워지고 있다. 또 경북산학융합본부도 이곳에 들어왔다. 최근 건물들이 완공되면서 4개 대학 관련 학과들이 통째로 옮겨오는 방식으로 학생 510여 명이 이곳에 상주하고 있다. 또 21개 기업도 입주해 1600여 명이 활동중이다.
구미지역 업계에 따르면 옛 금오공대 캠퍼스 일대는 미국의 실리콘밸리 같은, ‘금오테크노밸리’라는 연구거점지구로 변모한다. 여러 대학과 기업이 이곳에서 어우러져 미래의 먹을거리가 될 만한 고부가가치 기술·상품을 개발한다는 것이다. 이곳에 들어간 국책사업비는 4270억 원이다. 구미공단 입주업체 관계자는 “박근혜 정부가 내건 ‘창조경제’의 대표 모델이 금오테크노밸리”라면서 “침체된 대구·경북 경제를 살릴 미래 성장동력이라는 기대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생뚱맞은 발상”
그런데 옛 금오공대 캠퍼스 터의 나머지 땅 1만4000여㎡의 활용 방식을 놓고 파열음이 나온다. 취재진이 현장에 가보니, 이 땅은 이미 건물들이 올라간 산학융합지구와 붙어 있었다. 그도 그럴 것이 이 땅은 옛 캠퍼스의 운동장 터고 산학융합지구는 이 운동장을 병풍처럼 둘러싼 대학건물들이 있던 자리므로 두 곳은 경계를 나누기 어려운 하나의 땅으로 비쳤다. 운동장 터와 산학융합지구는 도로에서 들어오는 입구도 함께 쓴다.
최낙렬 금오공대 교수회장은 “대학 캠퍼스 터가 산학융합지구로 탈바꿈하는 것으로 이해했다. 입주 기업들과 대학들로선 당연히 자기들이 운동장 터도 사용하는 줄 알고 있었다”고 말했다. 금오공대는 2013년 8월 이 터의 사용승인을 교육부에 신청했다.
반면 경찰은 이 터에 구미경찰서를 신축하고자 했다. 경찰이 사용승인을 요청한 시점은 금오공대가 사용승인을 신청한 뒤었다. 이 터의 처분권을 가진 기획재정부는 9월 5일 구미경찰서에 사용을 승인했다. 부동산등기부상 이 터의 소유권도 경찰로 이전됐다. 기재부가 경찰의 손을 들어준 셈이다.
이런 움직임에 대해 구미지역 관련 업계, 대학, 시민단체에선 “정부가 창조경제를 한다면서 발등을 찍었다”는 반응이다. 이상재 경북산학융합본부 원장은 “산학융합지구엔 식당이라든지 휴게소 시설은 있는데 체육시설은 없다. 이 터가 운동장으로 남아 학생들과 근로자들이 사용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했다.
▼ 경찰서가 들어오면 어떤 문제가 있나.
“산학융합지구와 경찰서는 어울리지 않는 조합이다. 더구나 운동장 터가 경찰서 부지로 쓰기엔 좁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