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구미 산학융합지구 경찰서 신축 논란

“창조경제 한다면서 발등 찍은 격”
“국가사업 확정… 왈가왈부 말라” <경찰>

구미 산학융합지구 경찰서 신축 논란

2/2
▼ 경찰은 건축에 문제가 없다는 시각인 것 같다.

“경찰서 건물을 높이 올려야 한다. 주변 연구단지 위로 경찰서가 우뚝 서는 거니까 학생이나 연구하는 사람들로선 참 답답할 것 같다. 일반 시민도 ‘연구단지에 왜 경찰서를 집어넣나. 이상하다. 맞지 않다’고 말한다.”

▼ 운동장은 연구와 직접 관련된 용도는 아니지 않나.

“학생들과 기업체 직원들의 처지에선 가끔 운동도 해야 하고 최소한의 문화공간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배우고 연구하고 쉬는 정주(定住) 공간이 되어야 효율이 높아진다.”

▼ 정부가 이미 경찰서 사용 승인을 했는데.



“정부, 정치인, 지자체의 의지에 따라선 바꿀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것으로 안다. 경찰서를 다른 곳으로 이전하면 된다.”

한 구미지역 업계 관계자는 “기재부가 편의적으로 결정한 것으로 안다. 구미경찰서를 이전하고 그 토지를 팔아 빨리 국고에 편입하려고. 거기가 땅값이 좀 더 비싸니까…. 이런 이야기가 나온다”고 말했다.

혜택은커녕 도로 뺏어”

구미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1600여 명이 상주하는 교육연구복합단지 안에 경찰서를 이전하겠다는 것은 생뚱맞은 발상이다. 활용도가 낮은 공원과 구미경찰서를 교환하면 갈등 당사자가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대안”이라고 했다.

최근 금오공대는 경찰서 이전 대상부지로 검토된 공원부지의 지주 매매 동의서를 받아 구미시와 시의회에 대체부지 확보에 협조해 줄 것을 요청했다. 구미시의회 지역구 시의원을 부정적 입장 이라고 한다. 이에 대해 핵심기관이 뒷짐을 지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금오공대 학생들은 양호동 새 캠퍼스가 넓고 쾌적해서 금오테크노밸리로 학과를 옮기는 것을 내심 꺼렸다고 한다. 결국 산학융합이라는 좋은 취지를 살려야 한다는 차원에서 광시스템공학과와 메디컬아이티융합학과가 가는 것으로 결정 났다. 학교 측도 두 집 살림을 하는 것이라 예산이 훨씬 많이 든다고 한다. 금오공대 교수회는 “산학융합사업이 시작될 때부터 (운동장 터는) 마스터플랜에 포함돼 있었고 기획재정부의 권고로 사용 시기가 닥치는 시점에 사용 승인을 요청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최낙렬 금오공대 교수회장은 “나라에서도 산학융합이 필요하다고 하니 우리가 조금 희생하는 차원에서 참여했다. 없는 운동장이라도 만들어줄 줄 알았는데 경찰서로 쓰겠다고 하니 안타깝다”고 말했다.

“요즘 구미의 공장이 수도권으로, 해외로 빠져나간다. 젊은이들도 공단을 떠난다. 그래서 우리 학생들을 산학융합지구로 보내기로 한 거다. 거기서 기업과 같이 배우고 연구하다보면 공단에 끈이 생길 것이고 안착할 것이라고 봤다. 공단의 직원들도 직장과 배움터가 함께 있으면 일에 도움이 되고 삶의 질이 높아질 것이라고 여겼다.

우리 처지에선 학과를 통째로 옮기는 것이므로 산학융합지구를 교육기관, 즉 학교로 본다. 학교엔 운동장이라든지 문화시설이 당연히 있어야 한다. 학생들이 체육활동이나 문화활동을 새 캠퍼스까지 가서 할 순 없지 않나. 20년 동안 쓸 목적으로 산학융합지구를 조성한다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학생과 연구자가 끊임없이 유입될 만한 ‘지속가능한 환경’을 만들어줘야 한다.”

융합이 대세라지만…

구미지역 업계 일각에선 향후 금오테크노밸리로 대기업이나 외국기업을 유치하려면 유휴 토지를 남겨둬야 한다고 본다. 당장 이곳에서 대학생활을 보내야 하는 학생들은 정부와 경찰에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정지원 금오공대 총학생회장은 “학생들은 경찰서가 산학융합지구 내 운동장 터에 들어오는 것에 강하게 반대한다”고 말했다.

▼ 반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학교에 운동장이 없는 게 이상하다. 거기엔 체육 공간이 전무하다. 학교는 공부나 연구만 하는 곳이 아니며 인성도 함양하는 곳이다. 경찰서와 맞지 않다.”

▼ 반대 의사를 전달했나.

“기재부에서 시위도 해봤지만 안 만나 주고 불통이다.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통보한다. 왜 거기 경찰서를 둬야 하는지 설명도 별로 없다. 대통령이 미래 산업을 육성하라고 했고 학생들이 설득돼 거기로 가기로 한 것인데 혜택은커녕 도로 뺏고 있다.”

정부와 경찰은 예정대로 경찰서 신축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사용 승인을 해줬기 때문에 그 결정대로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구미경찰서 관계자는 “확정됐다. 국가사업으로 정해져 예산을 배정받았고 등기 이전됐고. 현재 설계용역을 줬다. 더 왈가왈부할 필요 없다”고 했다.

요즘 융합이 대세인 건 맞지만, ‘산학융합지구와 경찰서의 융합’은 어떻게 봐야 할까. 기재부는 부동산테크를 위한 ‘신의 한 수’라고 자평할지 모른다. 반면 연구자들은 “헐~”이라는 반응이다. 박근혜식 창조경제의 진정성이 이곳 금오테크노밸리에서도 시험대에 오른 듯하다.

신동아 2014년 11월호

2/2
허만섭 기자 │mshue@donga.com
목록 닫기

구미 산학융합지구 경찰서 신축 논란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