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버드 공중보건대학의 가와치 이치로 박사가 42~77세의 남성 직업인 2만8369명을 대상으로 10년간 사교와 사망, 심장병에 관해 연구한 자료에 의하면 연구기간 중 1365명이 심장병, 암 등으로 사망했는데, 비사교적인 그룹의 사망률이 사교적 그룹보다 20% 이상 높았다고 한다. 그리고 비사교 그룹은 사교활동이 가장 왕성한 사람에 비해 심장 관련 질병으로 인해 사망할 확률이 59%나 높았고 사고사나 자살도 두 배가 많았다.
결론은 사교적인 사람이 사회적으로 고립된 사람보다 더 건강하고 장수한다는 것이다. 아마추어 골퍼들 중에는 늘 동년배 친구들과 라운드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10년, 20년씩 차이가 나는 선후배와 어울려 라운드하는 사람도 있다. 물론 후자가 훨씬 사교적인 사람들이고 장수의 가능성도 높다. 게다가 연장자는 젊은 사람으로부터 새로운 변화와 감각을 느낄 수 있고 젊은 사람은 인생 선배로부터 경험과 지혜를 배우는 기회가 된다.
이것이 바로 급변하는 사회의 대응전략이기도 하다. 기업에서도 이사회가 나이 든 사람들로만 구성되거나 젊은 사람들로 구성되는 것보다 30대에서 60대까지 골고루 섞인 경우가 높은 성과를 낼 수 있다.
경험의 힘
세계 일류기업인 독일 지멘스는 이사회 구성을 30대에서 60대까지 해야 한다는 불문율을 가지고 있다. 젊음의 패기와 도전정신을 살리되 경험과 원숙한 지혜를 함께 반영하여 의사결정을 하려는 것이다.
한때 우리나라에서도 벤처기업이 큰 붐을 이루다가 한꺼번에 거품이 꺼진 적이 있다. 30세 안팎의 젊은이들이 기술만 믿고 달려들었다가 쓴맛을 본 것이다.
이때도 대기업에서 충분한 경험을 쌓은 사람을 CEO나 경영고문으로 영입한 곳은 위험을 피할 수 있었다. 나는 기업경영이든 사교활동이든 ‘또래끼리’ 몰려다니는 것은 손해라고 생각한다. 젊어서 공군장교 시절에는 부관을 하면서 20년 차이 나는 장군을 모셨고, 10년 이상 된 영관급 참모들과 함께 근무했다. 사회에 나와서는 젊은 나이에 경영 컨설팅업계와 방송계에 뛰어들다 보니 나이 든 분들과 교류가 많았고 이분들로부터 소중한 경험과 지혜를 많이 전수받을 수 있었다. 요즘은 오히려 10년쯤 젊은 후배들이나 20년 이상 젊은 제자들과 어울려 지내는 시간이 많아져서 활력을 얻고 있다.
오바마와 오세훈의 공통점
얼마 전 동기생 골프모임에 나갔더니 그동안 자주 안 나왔다는 핀잔이 대단하다. 이미 반 이상이 은퇴한 친구들이라 현실경제를 벗어나 유유자적한 모습이었다. 자연히 이날의 화제는 중·고등학교 다닐 때 이야기로 돌아갈 수밖에 없었다.
“어이, 나는 1년에 두 번만 나올 게 좀 봐줘라! 바빠서 미치겠다.”
“너무 그렇게 살지 마라. 너 없다고 세상이 안 돌아가는 것도 아니잖아.”
“아, 나도 여유 있게 살고 싶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