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3년 3월 경기벤처협회 회장에 선출된 전순득 회장은 “협회의 위상을 높이는 게 선결과제”라고 말했다.
“그동안 일궈놓은 사업이 어느 정도 궤도에 올랐고, 이제 사회를 위해 뭔가 해야 할 시기라고 생각하던 차에 마침 협회장 선출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제가 협회장을 맡겠다고 했습니다.”
경기벤처협회는 경기지역 중소·벤처기업들이 경영·기술·마케팅 등 상호 정보교류를 통해 공통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고, 회원 기업의 경영활성화를 도모해 지역경제 발전에 공헌하는 것을 목적으로 1999년 10월 설립됐다. 현재 회원 수는 정회원·준회원을 통틀어 2190개 업체. 이 가운데 여성CEO가 이끄는 곳은 5% 남짓하다. 조직 구성은 물론이고 네트워크 역시 남성 중심이던 협회 분위기를 감안하면 전회장의 도전과 열정 외에 뭔가 ‘그녀만의 특별한 능력’이 있음직하다.
“최근 우리나라 기업환경은 산업구조조정기에 들어섰고 여기에 심리적 경기침체, 중국의 도약에 따른 상대적 위축 등 삼각파고에 휩싸여 있습니다. 특히 중소기업은 인력채용, 수출단가, 금융대출에 있어 매우 어려운 실정입니다. 경기도는 국내 벤처기업의 25% 이상이 소재하고 있고 국가 전체 경제규모에서 약 30%를 차지하는 경제 중추지만 지방이라는 한계 때문에 정부나 중앙기구의 경제정책에서 소외돼 더욱 형편이 어렵습니다. 이런 시기에 두 손을 놓고 가만히 있을 수 없었습니다.”
경기도가 우리나라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위상에 비해 정책수립과 관련한 발언권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 전회장의 지적이다.
“이런 실정을 타개하기 위해 협회 위상을 높이는 게 선결과제라고 생각합니다. 정부와 경기도는 정책과 미디어에서 소외돼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방벤처 현실을 직시하고 하루빨리 공식 채널을 만들어 활로를 열어줘야 합니다. 경기도내 벤처기업들이 제대로 된 정책지원을 받아 성장할 수 있는 연결고리를 찾고 싶고, 이를 위해 협회 차원에서 적극 나설 계획입니다.”
자본금 500만원으로 사업을 시작해 연 수십 억 매출을 올리는 기업을 일구면서 업계 부동의 1위를 고수하고 있는 전회장에게 협회측이 거는 기대는 남다르다.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기업환경과 사회환경에 발빠르게 대처해 사업기반을 탄탄하게 다져온 능력은 물론이고, 무슨 일에든 적극적으로 매달려 끝내 결실을 보는 그의 수완과 열정을 인정하기 때문이다. 지난 3월 협회장에 취임한 전회장은 기대에 부응하듯 중요한 일을 해냈다. 협회 차원에서 도지사를 만나 중소벤처기업 지원시책을 건의한 결과 최근 도정에 반영되는 성과를 거둔 것이다.
“건의사항은 크게 두 가지였습니다. 우선 경기가 호황일 때는 지원기준을 강화하고 불황일 때는 지원기준을 완화해 경기 침체시 벤처기업을 보다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지원시책을 탄력적으로 운용할 것을 건의했습니다. 또 벤처기업은 재무제표에 의한 현재가치보다 향후 미래가치가 큰 특성을 가진 만큼 시장성과 성장성을 고려해 미래가치가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신용에 의한 보증혜택을 줄 것과 이에 따른 경기도의 보증기금액 증액을 건의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