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면도 꽃지 해수욕장 할미·할아비 바위 사이로 해가 지는 모습. 전국 3대 낙조 중 하나로 꼽힌다.
77번 국도를 따라 안면대교를 건넌 후 서쪽 해변가로 접어들면 횟집과 포장마차가 즐비하게 늘어선 백사장 항구가 나온다. 9월 말부터 자연산 대하가 앞바다에서 잡히는데, 이 무렵이면 쫄깃쫄깃하고 고소한 맛의 대하를 찾아 전국의 미식가들이 안면도로 몰려든다. 축제는 10월 초에야 시작되지만, 9월 하순이면 갓 잡은 대하를 그물에서 떼어내는 어부들과 경매장에서 낙찰가를 외치는 상인들, 그리고 소주 한잔 곁들이며 소금 뿌린 번철에 대하를 탁탁 구워내는 손님들이 백사장 항구를 들썩이게 한다.
“소금을 얹어놓고 대하를 구우니까 타지도 않고 간이 잘 배어 맛도 좋지요. 비싸고 품이 많이 들어서 그렇지, 대하 샤브샤브도 일품 요리입니다.”
15년간 고깃배 선장을 했다는 삼호횟집(041-673-5592) 박삼용 사장의 말이다. 소금을 가득 얹은 번철에 10∼15cm 길이의 큼지막한 대하를 가득 올리면서 그는 “대하 머리통을 그냥 버리는 손님들이 많은데, 머리통이 가장 고소한 부분”이라고 귀띔한다. 대하구이와 곁들이는 푸짐한 꽃게찜은 뱃속을 얼큰하게 채워준다.
대하와 꽃게가 미각을 만족시키는 안면도의 맛이라면, 여행객들의 시선을 사로잡는 건 꽃지 해수욕장의 낙조다. 슬픈 전설을 지닌 채 안타까이 마주보고 서 있는 할미·할아비 바위 사이로 해가 떨어지는 장관은, 낙조 방향과 날씨가 맞아떨어져야만 볼 수 있는 귀한 기회다. 낙조를 가장 잘 볼 수 있는 지점에 옹기종기 모여 카메라 셔터를 만지작거리던 여행객들은 해가 떨어지는 모습을 숨죽이며 지켜보다 둥그런 해의 밑동이 해안선에 닿는 순간 누가 먼저랄 것 없이 “아!” 하고 감탄사를 내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