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길따라 맛따라

여유로워 역동적인 바닷마을 거제도·통영

천혜의 閑麗물길 따라 펼치는 징검다리 섬들의 푸른 群舞

  • 글: 강지남 기자 layra@donga.com 사진: 김성남 기자 photo7@donga.com

여유로워 역동적인 바닷마을 거제도·통영

1/3
  • 남으로 남으로 여섯 시간을 내달려 거제와 통영에 닿았다.
  • 제법 쌀쌀한, 그러나 속 맑은 새벽 공기를 온몸에 듬뿍 담으며 오른 거제도 망산. 붉은 해가 둥실 떠오르자 짙푸른 바다 위를 점령한 셀 수도 없이 많은 섬들이 제 모습을 드러낸다. 한려수도다.
여유로워 역동적인 바닷마을 거제도·통영

거제도 계룡산에서 내려다본 한려수도 전경.

지난 1월의 끝자락, 남쪽으로 차를 내달렸다. 설 연휴를 꽁꽁 얼어붙게 한 심술궂은 동장군(冬將軍)의 기세가 한풀 꺾인 덕분일까. 차창으로 들어오는 햇살이 따사롭다. 입춘을 열흘이나 앞뒀고, 맵게 겪어야 할 꽃샘추위도 아직 멀었건만 벌써 봄을 맞은 듯한 기분이다.

대전과 진주를 지나 달리기를 여섯 시간쯤. 할머니의 새하얀 머리칼 같은 굴양식장의 부표가 표표히 떠 있는 짙푸른 바다, 누군가 육지에 있는 산을 뚝 떼어다가 바다에 흩뿌려놓은 듯한 크고 작은 푸른 섬들이 눈앞에 펼쳐진다. 한려수도(閑麗水道)의 땅 통영, 그리고 거제다.

거제대교를 사이에 두고 지척으로 붙어있는 통영과 거제도는 한려해상국립공원에 속한다. 전남 여수시에서 경남 통영까지 무려 480여㎢에 달하는 한려해상국립공원은 더 설명할 것도 없이 널리 알려진 해양 관광지. 멋스러운 굴곡을 자랑하는 해안, 징검다리처럼 놓인 가지각색의 섬들, 한가로이 서 있는 등대, 그리고 가까이 다가간 사람에게만 제 속을 보여주는 맑고 짙푸른 바다. 그 앞에서 탄성을 내지르지 않을 이가 몇이나 될까.

거제도는 제주도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섬이다. 거제대교로 육지와 연결되어 있기에 섬이라는 사실을 종종 잊는다. 700리에 이르는 해안도로가 서울보다 조금 더 큰 거제도를 감싸고 있는데, 명승지마다 쉬엄쉬엄 들러가며 한 바퀴 도는 데 서너 시간이 걸린다.

한낮의 따사로운 날씨 때문일까. 두터운 겨울 외투를 벗고 간편한 차림을 한 어촌 사람들이 바닷가로 나와 저마다의 일을 하느라 부산하다. 지난해 여름 태풍 ‘매미’에 부서진 낡은 배에 정성스레 페인트를 칠하던 초로의 사내는 “태풍이 어찌나 거세던지 산 중턱까지 날아간 배를 끌고 내려왔다”며 너스레를 떤다. 바닷가 곳곳에 수북이 쌓인 굴 껍데기를 손질하는 일은 굴의 속살처럼 하얗게 머리가 센 노인들의 몫이다. “굴을 떼어낸 빈 껍데기는 버리는 게 아니요. 손질을 좀 해서 굴 양식장에 다시 가져가 쓰지.” 소일 삼아 쉬엄쉬엄 일한다는 노부부의 손목은 갈대처럼 가늘지만 호미 끝으로 굴 껍데기를 찍어내는 솜씨는 야물다.



여유로워 역동적인 바닷마을 거제도·통영

① 겨울철에 제 맛을 자랑하는 감성돔 회.<br>② 구이굴은 날것보다 더욱 고소한 맛을 낸다.



1/3
글: 강지남 기자 layra@donga.com 사진: 김성남 기자 photo7@donga.com
목록 닫기

여유로워 역동적인 바닷마을 거제도·통영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