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틀, 전쟁의 문화사’<br>존 린 지음/이내주ㆍ박일송 옮김/청어람미디어/780쪽/2만8000원
그런데 군대나 전쟁의 다양한 면모를 알아야 하는 나라가 바로 한국이다. 오늘도 수십만의 젊은이가 군복을 입고 있으며, 한때 군복을 입었던 사람까지 합치면 군대와 관련있는 사람의 수는 기하급수로 불어난다. 우리 역사는 지난 세기 전반기 내내 크고 작은 전쟁이 그치지 않았고 현재도 세계에서 가장 많은 병력이 밀집해 있는 동북아에서 살고 있다. 싫든 좋든 우리는 군대와 전쟁을 도외시할 수 없다.
군대와 전쟁의 참모습을 알려면 맨 먼저 군대와 전쟁의 과거를 알아야 한다. 역사는 지식의 바탕이다. 우리는 군대와 전쟁의 역사를 얼마나 알고 있을까? 안타깝게도 잘 모른다. 일단 군관계 기관에 소속된 연구자들을 빼면 군사사를 전공하는 학자가 거의 없다. 그러니 군사사 지식이 일반인 사이에 스며들지 못했다. 그렇다고 해서 한국인이 전쟁사에 흥미가 전혀 없는 건 아니다. 오락·연예 사이트에 버금갈 정도로 조회 수가 많은 사이트가 군사 관련 사이트이며, 그런 사이트에는 꼭 전쟁사 게시판이 있고 누리꾼들이 갑론을박을 벌이고 있게 마련이다. 하지만 그 관심이 협소한 전투사에 한정되는 바람에 전쟁과 군대를 넓고 깊은 맥락에서 인식하려는 노력이 충분하지 않다는 점이 아쉽다.
전쟁의 중요한 요소, ‘관념’
군대와 전쟁의 다양한 속성을 설명해주는 역사서가 필요한 이유다. 다행히 최근 들어 윌리엄 맥닐, 존 키건, 리처드 오버리, 안토니 비버, 빅터 핸슨 등 서구에서 인정받은 학자들의 뛰어난 군사사 저술이 속속 우리말로 옮겨져 소개되었고, 그 책들이 출판시장에서 그런대로 팔리고 있다. 군사사를 역사학의 당당한 분과 학문으로 곧추세우려고 애쓰는 국내 연구자들에게 힘을 실어주는 흐름이 형성되고 있는 듯하다.
이런 가운데 이름난 역사학 교수이며 미국 군사사학회 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존 린(John Lynn)의 탁월한 저작이 우리말로 옮겨져 선을 보였다. 군사사 연구가 얼마나 심오할 수 있는지 한 수 가르쳐주겠다는 양 나온 이 책의 제목은 ‘배틀, 전쟁의 문화사’다. 이 책의 고찰대상은, 시기적으론 기원전 7~6세기부터 21세기 벽두에 일어난 9·11테러까지이고, 공간적으론 유럽에서 중동과 인도를 거쳐 중국과 드넓은 태평양에 이른다.
린처럼 탁월한 학자에게도 동서고금을 종횡무진 오가며 전쟁의 양상을 구명하는 작업은 버거운 일이 아닐 수 없었을 것이다. 그런데도 근대 초 유럽의 군사사 연구로 입지를 굳힌 저자가 “공간적으로는 전세계, 시간적으로는 인류의 역사 전반에 걸쳐서 광범위한 사례들”을 다루는 위험한 모험에 나선 목적은 전쟁에서 ‘관념’이라는 요소가 중요하다는 점을 입증하기 위함이었다.
린은 ‘배틀, 전쟁의 문화사’ 각 장 첫머리를 역사의 마디마디에 아로새겨진 이름난 전투에 관한 묘사와 서술로 장식한다. 그 목적은 삶과 죽음이 엇갈리는 싸움터의 극적 긴장과 묘한 짜릿함을 전하기보다는 전쟁의 수행 방식과 군대의 효율성은 무기나 기술의 수준보다는 군인의 정신으로 결정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데 있다.
린에 따르면 전쟁의 양상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물질이 아니라 정신이다. 여기서 말하는 정신이란, 군인이라면 불을 뿜는 기관총 앞에서도 ‘닛폰도(刀)’를 빼어 들고 ‘반자이(만세)’를 외치며 돌격할 수 있어야 한다는 대일본제국 육군의 무사도식 정신력이 아니라 전투를 벌이는 군인의 사고방식과 가치 체계다. 전쟁이 수행되는 양식은 무기나 기술이 아니라 전투를 벌이는 군인이 사물을 보고 판단하는 방식에 따라 정해지는 현상이 역사 속에서 드러난다는 것이 저자의 일관된 주장이다.